$\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한 광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배지 종류에 따른 실내 관엽식물들의 광합성 반응
Photosynthetic Response of Foliage Plants Related to Light Intensity, $CO_2$ Concentration, and Growing Medium for the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19 no.4, 2010년, pp.203 - 209  

박신애 (건국대 환경과학과) ,  김민지 (건국대 환경과학과) ,  류명화 (건국대 환경과학과) ,  오명민 (충북대 원예과학과) ,  손기철 (건국대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관엽식물 4종을 배지종류,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달리하여 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환경 조절에 효율적인 식물을 선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로는 싱고니움, 디펜바키아, 쉐프렐라 홍콩, 드라세나를 사용하였으며, 성분과 성질이 다른 두 배지(peatmoss, hydroball)에 각각 재배하였다. 광도는 PPFD 0, 30, 50, 80, 100, 200, 400, $600{\mu}mol{\cdot}m^{-2}{\cdot}s^{-1}$의 수준으로 조절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0, 50, 100, 200, 400, 700, 1000, $1500{\mu}mol{CO_2}{\cdot}mol^{-1}$의 수준으로 처리하였다. 광도 및 엽육내 $CO_2$ 농도변화에 따른 관엽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조사한 결과, 약광에서의 광합성 능력을 나타내는 순양자수율은 쉐프렐라 홍콩과 디펜바키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두 실내식물은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환경에서도 다른 두 식물에 비해 높은 광합성율을 기록했다. 드라세나 와네키는 두 조건 모두에서 가장 낮은 광합성 효율을 보였다. 두 배지 처리에 따라서는 각각의 관엽식물에서 엇갈린 광합성 반응이 관찰되었다. 쉐프렐라 홍콩은 피트모스 배지에서 광과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라 하이드로볼 배지에 비해 높은 광합성 속도를 보였지만, 디펜바키아는 그와는 정반대로 하이드로볼 배지에서 더욱 높은 광합성율을 기록했다. 싱고니움의 경우는 광처리에 의해서는 피트모스 배지에서 높은 광합성율을 보였지만 이산화탄소 처리에서는 배지간 차이가 없었다. 가장 낮은 광합성 효율을 보인 드라세나 와네키는 광에 의한 배지간 차이가 없었으며, 이산화탄소 증가시에는 피트모스에서 다소 높은 광합성율을 보였다. 따라서 실험한 4가지 관엽식물 중 광합성 효율이 가장 높았던 쉐프렐라 홍콩이나 하이드로볼 배지에서 높은 효율을 보인 디펜바키아가 실내 공기정화 및 실내 환경조절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photosynthetic responses of 4 foliage plants in relation to light intens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media, and to select efficient plants for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Four foliage plan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Syng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 많이 재배되는 관엽 식물 4종을 선정하여 피트모스를 기본으로 한 혼합배지와 다공성배지인 하이드로볼 배지에 각각 재배함으로써 배지에 따른 실내 식물들의 실내 공기정화 능력과 연관된 생리적 반응들을 검정하고, 또한 배지별로 식물의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광도와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량에 대한 생리적 반응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를 수집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관엽식물 4종을 배지종류,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달리하여 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환경 조절에 효율적인 식물을 선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로는 싱고니움, 디펜바키아, 쉐프렐라 홍콩, 드라세나를 사용하였으며, 성분과 성질이 다른 두 배지(peatmoss, hydroball)에 각각 재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 공기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대인들은 실내에서 하루의 80% 이상의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깨끗한 공기를 함유한 쾌적한 실내 환경은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Jenkins 등, 1992; Shin 등, 1993; Zhang과 Smith, 2003). 실내에서 사용되는 연소기구, 건축자재, 각종 생활용품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 담배연기,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라돈,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등이 실내 공기 오염(Yoon과 Spengler, 1995)과 빌딩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보고되었다(Burge et al., 1987; Carpenter, 1998; Mendell and Smith, 1990).
실내공간에 식물을 도입하는 경우 어떤 이점이 있는가? 한편 식물은 광합성이나 호흡과 같은 생리 작용에서 일어나는 가스 교환 시 잎의 기공을 통해 오염물질을 흡수함으로써 대기환경을 정화시킬 수 있는 잠재적 효과가 보고됨에 따라(Sehemel, 1980),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염물질들을 제거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Han과 Lee, 2002; Kim 등, 2008; Park 등, 1998; Son 등, 2000; Woleverton 등, 1989). 또한, 실내공간에 식물을 도입함으로써, 쾌적한 공간의 연출을 통한 심리적 안정과 스트레스 경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Bales, 1995; Relf와 Dorn, 1995), 광합성 작용과 증산 작용을 통한 실내공기의 온습도 조절 효과(Son과 Kim, 1998; Snyder, 1990)와 음이온 발생 효과(Park 등, 1998) 등을 얻을 수 있다.
하이드로볼(hydroball) 배지가 가진 장점은 무엇인가? 대부분 실내식물의 분토양은 피트모스(peatmoss)를 기본으로 한 배지를 사용하고 있지만, 최근 들어 식물의 수분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하이드로볼(hydroball) 배지를 이용한 수경재배 용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Son, 2004). 하이드로볼 배지는 일반 배양토 대신에 황토를 구워 둥근 입자모양으로 만든 것이므로 토양의 입자가 매우 크기 때문에 토양 공극 내에 항상 많은 공기를 함유할 수 있다(Korean Floricultural Research Society, 2002). 따라서, 하이드로볼 배지를 이용하면 뿌리의 일부는 물 속에 잠기더라도 일부는 공기 중에 노출되어 식물이 생육하는 데 지장이 없게 되며, 배수공이 없는 다양한 디자인의 화분 용기들은 실내 장식품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Son, 2004). 하지만, 수분 관리에 편리한 하이드로볼을 사용한 실내 식물의 공기 정화 능력 검정에 대한 자료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saumi, H., H. Nishina, H. Nakamura, Y. Masui, and Y. Hashimoto. 1995. Effect of ornamental foliage plants on visual fatigue caused by visual display terminal operation. J. SHITAI 7:138-143. 

  2. Asaumi, H., H. Nishina, N. Masui, and Y. Hasimoto. 1993. Measurement of transpiration rate, stomatal resistance and shading ratio of 'amenity plants'. J. SHITAI 4:131-138. 

  3. Balse, S.F. 1995. The kitchen garden. Raised beds and electric chairs. Horticulture 73:34-39. 

  4. Burge, S., A. Hedge, S. Wilson, B.J. Harris, and A. Robertson. 1987. Sick building syndrome: A study of 4373 office workers.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31:493-504. 

  5. Carpenter, D.O. 1998. Human health effect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New insights. Env. Monitoring and Assessment 53:245-258. 

  6. Farquhar, G.D., von S. Caemmerer, and J.A. Berry. 1980. A biochemical model of photosynthetic $CO_{2}$ assimilation in leaves of C3 species. Planta 149:78-90. 

  7. Han, S.W. and J.S. Lee. 2002. Purification efficiency of $O_{3}$ and $SO_{2}$ by some oriental orchids. J. Kor. Soc. Hort. Sci. 43:487-491 (In Korean). 

  8. Jackson, W.A. and R.J. Volk. 1970. Photorespiration. Annual Review Plant Physiology 21:385-432. 

  9. Jang, H.S., S.G. Lee, J.H. Moon, and C.H. Park. 2010. Growth of Syngonium podophyllum in drainless containers fitted with drainage layers. Kor. J. Hort. Sci. Technol. 28:192-199 (In Korean). 

  10. Jenkins, P.L., T.J. Phillips, E.J. Mulberg, and S.P. Hui. 1992. Activity patterns of Californians: Use of and proximity to indoor pollutant sources. Atmospheric Env. 26A:2141-2148. 

  11. Kim, K.J., M.J. Kil, J.S. Song, E.H. Yoo, K.C. Son, and S.J. Kays. 2008. Efficiency of volatile formaldehyde removal by indoor plants: Contribution of aerial plant parts versus the root zone. J. Amer. Soc. Hort. Sci. 133:521-526. 

  12. Kim, M.G., C.O. Park, Y.J. Kwon, Y.K. Lee, and D.W. Lee. 1997. Variations of concentration level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indoor air due to floor waxing. J. KAPPA 13(3):221-229. 

  13. Kim, P.G. and E.J. Lee. 2001.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1: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intercellular $CO_{2}$ pressure on photosynthesis. Kor. J. Agr. Forest Meteorology 3:126-133 (In Korean). 

  14. Kim, P.G., Y.S. Yi, D.J. Chung, and S.Y. Woo. 2001.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photosynthetic activity of shade tolerant and intolerant tree species. J. Kor. For. Soc. 90:476-487 (In Korean). 

  15. Kok, B. 1948. A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quantum yield of chlorella-photosynthesis. Enzymologia 13:1-16. 

  16. Korean Floricultural Research Society. 2002. Floricultural and Horticultural Treatises. Moon Woon Dang Press. Seoul. p. 264. 

  17. Mendell, M.J. and A.H. Smith. 1990. Consistant pattern of elevated symptoms in air-conditioned office buildings: A re-analysis of epidemiological studies. Amer. J. Public Health 80:1193-1199. 

  18. Park, S.H., Y.B. Lee, G.Y. Bea, and M. Kondo. 1998. Anion Evolution in plants and its involved factors. J. Kor. Soc. Hort. Sci. 39:115-118 (In Korean). 

  19. Relf, D. and S. Dorn. 1995. Horticulture: Meeting the needs of special population. HortTechnology 5:94-103. 

  20. Sehemel, G.A. 1980. Particle and gas deposition. Atmos. Env. 14:983-1011. 

  21. Shin, H.S., Y.S. Kim, and G.S. Heo. 1993. Measurements of indoor and outdo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oncentrations in ambient air. J. KAPPA 9(4):310-319. 

  22. Snyder, S.D. 1990. Building interiors, plants and automation.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USA. p. 5-29. 

  23. Son, K.C. 2004. Indoor plants for human well-being. Joongang Life Publishing Co., Seoul, Korea. p.125-127. 

  24. Son, K.C. and M.K. Kim. 1998. Influences of indoor light, temperature, absolute humidity, and $CO_{2}$ concentration on the changes of transpiration and photosynthesis rate of Pachira aquatica and their statistical modeling. J. Kor. Soc. Hort. Sci. 39:605-609 (In Korean). 

  25. Son, K.C., S.H. Lee, S.G. Seo, and J.E. Song. 2000. Effects of foliage plants and potting soil on the absorption and adsorp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J. Kor. Soc. Hort. Sci. 41:305-310 (In Korean). 

  26. Woleverton, B.C., A. Johnson, and K. Bounds. 1989. Interior landscape plant for indoor air pollution abatement. NASA Report. p. 1-2. 

  27. Yoon, D.W. and J.D. Spengler. 1995. Standards for indoor air pollutant levels and ventilation rat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9(6):12-18 (In Korean). 

  28. Zhang, J.J. and K. R. Smith. 2003. Indoor air pollution: A global problem. British Medical Bul. 68:209-2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