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연화문(蓮花紋)을 모티브로 한 현대패션디자인 연구
Research on modern fashion design using the Chosun Dynasty's Lotus pattern as the motif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4 no.1, 2010년, pp.116 - 131  

조예석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의상디자인학과) ,  간호섭 (홍익대학교 섬유미술.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ur world is becoming more and more globalized, nations tend to turn their interests towards their unique legacy and traditional cultur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re-illuminate the Korean beauty through the Lotus Pattern, a traditional factor, from the Chosun Dynasty, and at the same time, 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화는 어떤 식물이며 생장시기는? 연화는 수련과에 속하는 수생의 초본식물로서 늪이나 못에서 자라 7,8월에 꽃이 핀다. 연화는 인도가 원산지이며 이집트 티벳지역을 비롯 중국과 일본, 대만 그리고 한국 등 동양권에 고르게 재배되고 있다.
불교의 상징적인 꽃으로 알려진 연화가 불교의 성립 이전부터 이집트에서 이용되었다고 보는 사례는 무엇인가? 이집트 제4왕조 카프리(Knafre, B.C 2900-2 750) 의 조상에 통일 이집트(B.C 3200년경)의 상징인 파피루스와 연화가 새겨진 왕좌가 나타나고 있음을 볼 때 이집트에서는 기원전부터 왕실의 꽃으로 국가를 상징하고 상대 이집트의 표상으로 연화가 쓰여 졌음을 알 수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 연화가 상징하는 것은? 고대 이집트에서의 연화는 재생과 창조를 담당하는 이집트 신화의 대지의 신 오시리스가 들고 있으며, 태양은 연화에서 태어나 왕관을 쓰고 연화 속에 앉아있는 젊은이로 묘사되고 있다. 따라서 연화는 태양을 상징하는 신성시한 문양 중의 하나로 절대군주를 의미하는 권력자를 나타내는 것이다. 연화는 이집트의 국화이며, 국왕의 대판식 때 파피루스와 함께 신에게 반드시 바쳐지는 꽃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리그베다(RIG.VEDA BC 2000-BC800년),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적 문헌으로 브라만교의 근본경전인 4베다 중 첫째문헌이며, 리그는 성가, 베다는 경전을 뜻함", 네이버두산백과사전, 자료검색일 2008. 10. 20, 자료출처 http://100.naver.com 

  2. 임영주(1998), 한국전통문양, 예원, p. 347 

  3. 부혜진(2002), "고려시대 연화문을 이용한 직물 디자인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0. 

  4. 이경숙(2005),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연화의 양식 특징과 상징성에 관하여",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5. 

  5. 임영주(1998), 한국전통문양, 예원, p. 34. 

  6. 김옥철(1994), 한국전통문양집6, 안그라픽스, p. 15. 

  7. 김재열(2000), Korean art book I, 예경, p. 350. 

  8. 김효형(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I 직물, (주)눌와, p. 57. 

  9. 이경자(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열화당, p. 146. 

  10. 심연옥(2006), 한국직물문양 이천년, 고대직물연구소출판부, pp. 280 -281. 

  11. 박현숙(2004), "한국 도자기에 나타난 연화문과 모란문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 

  12. 윤열수(2000), Korean art book, 예경, p. 160. 

  13. 한연선(2006), "조선시대 연화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