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증 외상 환자의 입원 결정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공동진료시스템
Factors Affecting the Delay of a Decision to Admit Severe Trauma Patients and the Effect of a Multidisciplinary Department System: a Preliminary Study 원문보기

大韓外傷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numatology, v.23 no.2, 2010년, pp.113 - 118  

강문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  신태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  심민섭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  조익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  송형곤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rolonged sta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the time interval from the ED visit to a decision to admit, might be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for trauma patients and with overcrowding of the ED. Therefore, we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delay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5) 따라서 중증 외상 환자에서 응급실 체류 시간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고, 최근 국내에서도 응급의료기관 평가에서 이를 평가기준 중 하나로 이용하고 있다.(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증 외상 환자의 응급실체류 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입원 결정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본원에서논의 중인 공동진료시스템(multidisciplinary department system)을 가상으로 적용하여 외상팀 또는 외상 전문의가 없는 상태에서 외상 환자의 입원 결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16) 하지만 국내에서는 경제적, 인력적 문제로 아직까지 많은 병원에 외상팀과 외상 전문의 시스템이 없는 것이 현실이며(17,18) 본원 또한 예외는 아니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으로서 공동진료시스템(multidisciplinary department system)을 구상하게 되었고, 이것은 기본적으로 다발성 외상 환자의 입원 결정을 빠르게 하고 협진을 긴밀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실제 임상에 적용하기 전에 본 연구의 대상 환자군에 대하여 가상으로 적용해 보았는데,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구한 가상 입원 결정 시간은 실제 입원결정 시간에 비해 약 3시간 단축되어 보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할 때 입원 결정 지연 환자는 전체 중 3.
  • 이는 외상 전문팀 또는 외상 전문의가 없는 상태에서 입원 결정 및 응급실 체류 시간을 줄이고 기존의 단순 협진 시스템보다 각 진료과의 진료 참여와 책임 정도를 높여서 진료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공동진료시스템을 가상으로 적용한 가상 입원 결정 시간을 구하여 실제 입원 결정 시간과의 차이를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진료시스템이란 무엇인가? 공동진료시스템(multidisciplinary department system)이란 본원에서 도입 예정인 시스템으로 중증 외상 환자가 내원하였을 때 먼저 응급의학과에서 진료를 시행하고, 이 후 주진료과와 공동진료과를 설정하여 주진료과와 공동진료과에서 모두 동시에 입원장을 발부하여 입원 후에도 일정기간 주진료과와 공동진료과의 주치의와 지정의가 진료를 지속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외상 전문팀 또는 외상 전문의가 없는 상태에서 입원 결정 및 응급실 체류 시간을 줄이고 기존의 단순 협진 시스템보다 각 진료과의 진료 참여와 책임 정도를 높여서 진료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외상은 어떠한 원인으로 꼽히는가? 외상은 신생물과 순환기계 질환과 함께 주요 사망원인으로 꼽히며, 인적 손실이나 경제적 손실 측면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 또한 국내의 경우 외상 환자의 사망률은 매우 높고, 특히 예방 가능한 사망률도 선진국에 비해 높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공동진료시스템의 목적은 무엇인가? 공동진료시스템(multidisciplinary department system)이란 본원에서 도입 예정인 시스템으로 중증 외상 환자가 내원하였을 때 먼저 응급의학과에서 진료를 시행하고, 이 후 주진료과와 공동진료과를 설정하여 주진료과와 공동진료과에서 모두 동시에 입원장을 발부하여 입원 후에도 일정기간 주진료과와 공동진료과의 주치의와 지정의가 진료를 지속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외상 전문팀 또는 외상 전문의가 없는 상태에서 입원 결정 및 응급실 체류 시간을 줄이고 기존의 단순 협진 시스템보다 각 진료과의 진료 참여와 책임 정도를 높여서 진료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공동진료시스템을 가상으로 적용한 가상 입원 결정 시간을 구하여 실제 입원 결정 시간과의 차이를 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eath rates for the causes of death: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vailable at: http://www.nso.go.kr/. 

  2. Kim Y, Jung KY, Cho KH, Kim H, Ahn HC, Oh SH, et al. Preventable Trauma Deaths Rates and Management Errors in Emergency Medical System in Korea. J Korean Soc Emerg Med 2006;17:385-94. 

  3. Bernstein SL, Aronsky D, Duseja R, Epstein S, Handel D, Hwang U, et al. The effect of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on clinically oriented outcomes. Acad Emerg Med 2009;16:1-10. 

  4. Kang KH, Kim GT, Kim MJ. Factors Affecting Emergency Department Length of Stay in Traumatic Surgical Critically III Patients. J Korean Soc Emerg Med 2006;17:170-9. 

  5. Lee YJ, Song HS, Kim IB. Effects of Emergency Department Length of Stay on Prognosis for Critically III Patients Undergoing Traumatic Emergency Surgery. J Korean Soc Emerg Med 2006;17:607-14. 

  6. Available at http://www.khidi.or.kr/etcsite/medicalnotice 

  7. Kulla M, Fischer S, Helm M, Lampl L. [How to assess the severity of the multi-system trauma in the emergency-room -- a critical review]. Anasthesiol Intensivmed Notfallmed Schmerzther 2005;40:726-36. 

  8. Osler T, Rutledge R, Deis J, Bedrick E. ICISS: a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9 based injury severity score. J Trauma 1996;41:380-6; discussion 6-8. 

  9. Suarez JI, Zaidat OO, Suri MF, Feen ES, Lynch G, Hickman J, et al. Length of stay and mortality in neurocritically ill patients: impact of a specialized neurocritical care team. Crit Care Med 2004;32:2311-7. 

  10. Varon J, Fromm RE, Jr., Levine RL. Emergency department procedures and length of stay for critically ill medical patients. Ann Emerg Med 1994;23:546-9. 

  11. Fromm RE, Jr., Gibbs LR, McCallum WG, Niziol C, Babcock JC, Gueler AC, et al. Critical car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time-based study. Crit Care Med 1993;21:970-6. 

  12. Svenson J, Besinger B, Stapczynski JS. Critical care of medical and surgical patients in the ED: length of stay and initiation of intensive care procedures. Am J Emerg Med 1997;15:654-7. 

  13. Davis B, Sullivan S, Levine A, Dallara J. Factors affecting ED length-of-stay in surgical critical care patients. Am J Emerg Med 1995;13:495-500. 

  14. Seong Hwa Lee MD, Suck Joo Cho, M.D., Seok Ran Yeom, M.D., Ph.D., Ji Ho Ryu MD, Jin Woo Jung, M.D., Sang Kyun Han, M.D., Yong In Kim MD, Maeng Real Park, M.D., Young Dae Kim, M.D. Effect of the Emergency Trauma Team's Management o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ultiple Severe Trauma. Korea Journal of traumatology 2009;22:172-8. 

  15. Davis KA, Cabbad NC, Schuster KM, Kaplan LJ, Carusone C, Leary T, et al. Trauma team oversight improves efficiency of care and augments clinical and economic outcomes. J Trauma 2008;65:1236-42; discussion 42-4. 

  16. Seong Hwa Lee MD, Suck Joo Cho MD, Seok Ran Yeom MD, Ph.D., Ji Ho Ryu MD, Jin Woo Jung MD, Sang Kyun Han MD, et al. Effect of the Emergency Trauma Team's Management o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ultiple Severe Traum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Traumatology 2009;22:172-8. 

  17. Kug Jong Lee MD, Jae Yong Kim, M.D., Kang Hyun Lee MD, Gil Joon Suh, M.D., Yeo Kyu Youn, M.D. General Scheme for the Level I Trauma Center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Traumatology 2005;18:1-16. 

  18. Kug Jong Lee MD. The Necessity for a Trauma Surgeon and the Trauma Surgeon's Role in the Trauma Care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Traumatology 2008;21: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