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성자 방사화분석에 의한 5세기 옹관의 산지 연구
A Study on Provenance of the 5th Century Jar Coffin using Neutron Activation Analysi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6 no.4, 2010년, pp.459 - 465  

정광용 (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최초로 5세기 대 옹관을 생산하는 가마가 나주시 오량동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이 가마는 영산강 중류에 입지하고 있으며 고대사회 장묘연구에 있어서 생산과 유통구조 그리고 소비체계를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따라서 이 가마에서 생산되는 옹관이 어디로 소비되었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인근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대표적인 옹관 고분유적 5기와 4세기 대 만동유적에서 발굴된 옹관유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성자 방사화분석법을 이용하여 각 유물들의 미량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판별분석을 이용한 통계분석으로 산지의 동일성을 추정하였다. 나주 오량동 가마에서 생산된 옹관은 교역과 유통을 통하여 나주 반남고분, 영암 옥야리고분, 그리고 함평 반암고분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고창 만동유적과 무안 인평고분의 옹관은 나주 오량동 가마에서 생산된 것이 아니라 다른 산지의 옹관 가마로부터 교역과 유통을 통해 유입되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5th century kiln that produced pottery coffins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located in the Oryang-dong remains in the city of Naju. This kiln,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Yeongsan River, provides important data for research on mortuary practices in prehistoric society, includ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세기 대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옹관의 분포와 이동에 관한 공간적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산지연구를 시도하였다.
  • 고대 토기, 옹관, 도자기 및 기와의 자연과학적 연구는 동일시대, 지역 그리고 많은 양의 시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문화재 시료의 한계로 인하여 중성자 방사화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 분구는 방대형으로 지금까지 순수한 옹관고분에서 서로 높이가 다른 원통형 토기가 출토된 최초의 예이다. 옹관의 상하 중층 매납과 함께 분구 토층, 원통형 토기의 배치상태로 확인한 결과 분구는 한번 이상 수직 확장된 것을 알 수 있어 이 지역 옹관 고분의 축조 특징을 살피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 된다.

가설 설정

  • 셋째 분산-공분산(variance-covariance) 행렬의 동질성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예측변인의 모든 쌍이 선형적 관계에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나친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없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촌리 9호분에서 출토된 유물은? 신촌리 9호분은 전라남도 나주시 신촌리 산41번지 일원에 저평한 구릉 정상부에 위치하며 옹관 11기와 금동관, 금동신발, 환두대도 등이 출토되었다. 분구는 방대형으로 지금까지 순수한 옹관고분에서 서로 높이가 다른 원통형 토기가 출토된 최초의 예이다.
판별분석이란? 고고학 발굴조사 현장에서 발굴된 유물들의 지역적 집단(group)과 통계분석을 통하여 구분된 통계적 집단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여 유물의 산지를 판별할 수 있다. 판별분석은 연속형 자료로 구성된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IV)의 선형조합을 이용하여 모든 케이스(case)들을 집단변수(group variable: GV)인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 DV)로 분류하고 예측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계기법이다.
영암군 옥야리고분은 어떤 시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인가? 고분의 연대는 14호분과 6호분 3호 독널의 축조시기가 3세기 후반경으로, 6호분의 나머지 독널은 4세기 전반에서 후반경으로 추정된다. 이 고분군은 독널고분이 등장하는 시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 Lee, O. C. Kwon, D. I. Jung, I. C. Lee and N. B. Kim, Bull. Kor. Chem, Soc., 7, p438, (1986). 

  2. C. Lee, H.T. Kang and S. Kim, Bull. Kor. Chem, Soc., 9, p223, (1988). 

  3. K.Y. Chung, M.J. Kim,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14, p476-485, (2001). 

  4. 강형태, "중성자방사화분석에 의한 한국 고대 토기 및 자기분류".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5. 정광용, HANARO Workshop 2003. 한국원자력연구소, 25, (2003). 

  6. 정광용, 김명진, 정용삼, 한국분석과학회 제30회 한국분석과학회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90, (2003). 

  7. M. S. Tite, Archaeometry, 7, p131-144, (1969). 

  8. D. G. Hong, S. B. Yi, R. B. Galloway, T. Tsuboi, T. Hashimoto, J. of Radioanal. and Nucl. Chem., 247, p179-184, (2000). 

  9. 목포대박물관?동신대박물관, "나주시 오량동 가마유적 발굴조사 약보고". (2002). 

  10.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안리 고분". 한국고고학사전(상), (2001). 

  11. 국립문화재연구소, "신촌리 9호분". 한국고고학사전(상), (2001). 

  12. 국립문화재연구소, "옥야리 고분". 한국고고학사전(상), (2001). 

  13. 목포대학교박물관, "무안 인평고분군". 목포대학박물관총서, 제60책, (1999). 

  14. 국립목포대학교박물관, "반암 고분군". 30, (1993). 

  15. J. I. Kim, J. Radioanal. Chem., 63, p121, (1981). 

  16. (재)호남문화재연구원, "만동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 (2002). 

  17. L.A. Currie, Anal. Chem., 40, p586, (1968). 

  18. KAERI/NAA, Power-NAA Operation Manual (1999) The Unified Software Program for NAA, 2, Reg.00-01-12- 2395, (2000). 

  19. G. Erdtman, Neutron Activation Tables, IAEA, Handbook on Nuclear Activation Analysis Data, IAEA Tec. Rep. No. 273(1987); Michael D. Glascock, Tables for Neutron Activation Analysis, 4th ed., University of Missouri, (1996). 

  20. 양병화,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p133-139, 학지사, 서울,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