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D (Light Emitting Diode)는 인가된 에너지 대비 15%가 빛으로, 나머지 85%가 열로 변환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최근 LED칩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LED칩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는 LED 제품의 성능저하와 수명단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산업계에서는 고출력 LED 칩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어하기 위해 제품설계구조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또한, 부가적으로, 기존의 알루미늄, 접착제 및 구리를 사용하는 MCL(Metal Clad Laminate)구조에서 저가형 FR4 및 구리를 사용하는 CCL (Copper Clad Laminate)로 변경하여 원가절감을 하고자 하는 대체 소재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가형 CCL에 열방출 극대화를 위하여 열비아(thermal via)를 디자인별로 형성한 후 1 W급 LED 칩을 실장하여 열저항(thermal resistance)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최적의 열방출을 위한 열비아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D (Light Emitting Diode) is 85% of the applied energy is converted into heat that is already well known. Lately, LED chips increasing the capacity as result delivered to increase the heat of the LED products and module that directly related to life span and degradation. Thus, in industry the h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통 CCL구조와 MCL구조에서의 열방출의 차이점을 잠깐 살펴보자면 상대적으로 열방출이 좋은 MCL구조는 substrate 전체가 열전도율이 좋은 Al을 사용하고 CCL구조는 비교적 열전도도가 낮은 폴리머에 Cu박판을 양쪽으로 붙여놓은 clad를 사용한다. 가격이 높지만 낮은 thermal resistance를 가지는 MCL구조의 LED를 가격은 낮지만 thermal resistance가 MCL구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CCL구조의 LED의 열비아를 통해서 MCL구조만큼 낮은 thermal resistance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를 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일한 시편에 형성된 9종류의 열비아 형성된 새로운 LED모듈을 제작하였으며 열저항이 12.
  • 기존의 고출력 LED모듈은 MCL (Metal Clad Laminate)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왔으나 원자재가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가형 FR4 및 구리층 구조의 CCL (Copper Clad Laminate)를 이용하여 열방출의 극대화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열비아(thermal via)를 LED 패키지주위에 인위적으로 여러 가지모양으로 형성하여 최적의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열비아 구조가 고출력 LED 칩의 열방출 제어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전산모사로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디자인별로 열비아를 설계하여, LED 모듈의 열저항과의 상관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CL에 열비아구조를 형성하여 LED모듈의 열저항을 평가 및 분석하였다. 보통 CCL구조와 MCL구조에서의 열방출의 차이점을 잠깐 살펴보자면 상대적으로 열방출이 좋은 MCL구조는 substrate 전체가 열전도율이 좋은 Al을 사용하고 CCL구조는 비교적 열전도도가 낮은 폴리머에 Cu박판을 양쪽으로 붙여놓은 clad를 사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D칩의 발생 열의 문제는? 그러나, LED칩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LED칩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더욱 증가하게 되었으며3-4) 이는산업적으로 반드시해결해야할 문제점으로 고려되고 있다. LED칩의 발생 열은 최종제품의 광효율 감소, 수명 감소 등의 제품불량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기존의 고출력 LED모듈은 MCL (Metal Clad Laminate)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왔으나 원자재가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MCL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존의 고출력 LED모듈의 단점은? LED칩의 발생 열은 최종제품의 광효율 감소, 수명 감소 등의 제품불량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기존의 고출력 LED모듈은 MCL (Metal Clad Laminate)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왔으나 원자재가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가형 FR4 및 구리층 구조의 CCL (Copper Clad Laminate)를 이용하여 열방출의 극대화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열비아(thermal via)를 LED 패키지주위에 인위적으로 여러 가지모양으로 형성하여 최적의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열비아가 없는 경우, LED 모듈 중앙은 102.9oC, 가장자리는 102.4oC로 온도차이가 0.5oC로 해석되었으며, 크기 0.5 mm, 피치 1.6 mm인 열비아가 삽입된 구조의 경우, LED 모듈 중앙은 114.4oC, 가장자리는 104.2oC로 온도차이가 7.2oC로 분석된 원인은? 2oC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LED 칩으로 발생한 열이 인위적으로 구성된 열비아를 통하여 LED 칩 주위의 하부로 우선적으로 방출되었기 때문이다. LED chip에서 발생한 열과 LED bottom에서 발생한 열의 차이가 중요한 것이고 각각의 LED에서 발생한 열은 상대적인 결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 S. Lee, S. H. Son and C. S. Lee, "Thermal Management of LED Assembled PCB Through Via Design Optimization", Proc. EUROMAT 2009, Glasgow, E13-1, The Institute of Materials, Minerals & Mining (2009). 

  2. M. Arik, C. Becker, S. Weaver and J. Petroski, "Thermal Management of LEDs: Package to System", Proc. SPIE, 5187, 64 (2004). 

  3. A. C. Brombacher, "Reliability of Design: CAE Techniques for Electronic Components and Systems", Microelectron. Reliab., 32, 1046 (1992). 

  4. J. D. G. Lacey, D. V. Morgan, Y. H. Aliyu and H. Thomas, "The Reliability of $(Al_{x}Ga_{1-x})_{0.5}In_{0.5}P$ Visible Light-emitting Diodes", Qual. Reliab. Engng. Int. 16, 45, (2000). 

  5. N. A. A. Karim, P. A. A. Narayana and K. N. Seetharamu, "Thermal Analysis of LED Package", Microelectron. Int., 23(1), 19 (2006). 

  6. M. Arik, J. Petroski and S. Weaver, "Thermal Challenges in the Furture Generation Solid State Lighting Applications: Light Emitting Diodes", Proc. ITHERM 2002, San Diego, 113, IEEE (2002). 

  7. Y. Gu, N. Narendran and J. P. Freyssinier, "White LED Performance", Proc. of SPIE, 5530, 119 (2004). 

  8. R. S. Li, "Optimization of Thermal Via Design Parameters Based on an Analytical Thermal Resistance Model", Proc. ITHERM '98, Seattle, 475, IEEE (1998). 

  9. H. G. Kang, J. K. Park, C. H. Kim and S. C. Choi, "Fabrication of Red LED with Mn Activated $CaAl_{12}O_{19}$ Phosphors on InGaN UV Bare Chip", J. Microelectron. Packag. Soc., 16(4), 87 (2009). 

  10. T. H. Lee, U. J. Whang and M. H. Shin, "Thermal Analysis of GaN-based LEDs Using Thermal Resistance Measurement", The Korean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KMEPS) 2004 Fall Meeting Abstracts, Daejeon, 29, KMEPS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