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가속 수명 시험에 관한 연구
Life Estimation of Organic Light Emission Diode by Accelerated Test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2 no.4, 2010년, pp.61 - 66  

최영태 (경희대학교) ,  조재립 (경희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has been developed fast from 1963 when electric light emitting phenomenon was discovered. PMOLED(passive matrix OLED) is producted earlier than AMOLED(active matrix OLED). PMOLED is mainly mounted at sub display, but AMOLED is mounted at main display. Nowadays AM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수명 평가에 있어서 장시간 평가의 어려움과 고휘도 및 고해상도로 발전해 가는 시장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가속 수명에 대한 모형을 제시하여 설계단계에서부터 가속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상품화의 가치를 빠르게 판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물질의 전기적 발광현상은 어떤 물질에서 처음 발견되었는가? 유기물질의 전기적 발광현상은 1963년 안트라센 물질에서 처음 보고 되었다[1].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1982년 Eastman Kodak의 C.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Tang의 연구진에 의해 빛을 내는 기능 이외의 전하를 운송하는 물질을 개발 하여 다층구조의 발광 소자가 제작된 이후로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1987년에는 정공 운송층(Hole Transfer layer)과 발광층(emission layer)의 2층형 소자(Alq3, α-NPP)가 개발되어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2], 10년 뒤인 1997년에 일본 동북 파이오니아에서 단색 OLED로 자동차用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여 상품화하였다. 2000년에 SNMD(現SMD)에서 Color PMOLED로 휴대폰 Sub 디스플레이로 상품화하고, 2007년에 SDI(現SMD)에서 AMOLED로 휴대폰 Maim 디스플레이 상품화를 하였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비교적 사용시간이 짧고 교체 주기가 빠른 휴대폰, MP4등의 모바일 제품 중심으로 채용이 되고 있지만, 최근 업계에서는 모니터, TV 등장시간 사용되는 제품으로 확대할 준비를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M. Pope, H.P. Kallmann, and P, Magnate(1963), J.Chem, Phys., 38, 2042. 

  2. C.W. Tang, S. A. Van Slyke(1987),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s", Appl. Phys. Lett. Vol 51, No. 12, pp.913. 

  3. 박태용.이철희.하영호(2008), "모바일폰용 TFT-LCD와 AMOLED의 색재현성 평가", 전자공학회 논문지 제45권 제1호, pp.29-37. 

  4. 이준엽, 김성현, 장정식(2007), "백색 OELD 기술현황", 한국공업학회, Volume 10, No.2. 

  5. 산업자원부 신뢰성전문위원회(2007), "4.5인치 이하 소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6. Chan, H. Anthony (EDT)/ Englert, Paul J. (EDT) (2004). AcceleratedStressTestingHandbook. WILEY. 

  7. 한정인.문대규(2001), "유기EL 디스플레이기술(Organic EL Display Technology)", 방송공학회지 제6권 제4호, pp.66-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