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LED TV Panel의 전류가속열화시험 설계
Electric Current Accelerated Degradation Test Design for OLED TV 원문보기

신뢰성응용연구 = Journal of the applied reliability, v.17 no.1, 2017년, pp.22 - 27  

유지선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  이득중 (LG display 품질센터) ,  오창석 (LG display 품질센터) ,  장중순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ife time of OLED TV panel through electric current ADT(Accelerated Degradation Test). Methods: We performed accelerated degradation test for OLED TV Panel at the room temperature to avoid high temperature impact on the luminance. Results: we g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LED TV의 수명을 평가하기 위해서 과거에는 주로 온도와 전류를 이용하여 가속열화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온도는 여러 가지 이유로 OLED TV panel의 휘도에 영향을 미치고 휘도는 OLED TV panel의 수명을 산출하는데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이번 절에서는 상온 조건(25℃)에서 전류만을 가속인자로 사용한 가속 수명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시할 것이다.
  • 따라서 본 논문은 정확한 OLED TV Panel의 수명산출을 위해, 온도를 가속인자에서 제외한 후 상온조건에서 전류만을 활용해 OLED TV Panel의 가속열화 시험을 실시하고 그로부터 수명을 산출하려고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그러나 두 인자 간의 교호작용이 발생해 온도에 따른 입력 전류값에 대한 증가, 신뢰성 불량(화면이상 등)을 야기 시켜 한가지 가속인자를 활용해 시험을 실시할 때 보다 시험 시간이 길어지거나 수명산출시 수명이 더 길게 예측되는 등의 부정확한 시험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류밀도 한가지인자만 활용해 OLED TV Panel의 가속시험을 실시하였고 수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를 뺀 한 가지 인자만을 사용하여 인자간의 교호작용이 제거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수명을 예측할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류밀도 한가지인자만 활용해 OLED TV Panel의 가속시험을 실시하였고 수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를 뺀 한 가지 인자만을 사용하여 인자간의 교호작용이 제거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수명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향후 연구과제로는 상온 가속시험 계획 시 전류밀도 스플릿에 대한 검토 연구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속열화시험에서 살펴보아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가속열화시험은 정상조건보다 가혹한 조건에서 시험을 실시하기 때문에 각 가속 조건의 가속성이 성립하는지, 각 가속 조건에 대한 고장 메커니즘이 같은가를 살펴봐야 한다. 가속성이 성립하는지 확인하고 수명산출을 위해 제 3.
전류를 일정하게 공급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자의 열화에 의해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OLED TV panel의 밝기(휘도)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는데, 전류를 일정하게 공급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자의 열화에 의해 OLED TV panel의 평균 휘도는 떨어지게 된다. OLED TV의 수명을 평가하기 위해서 과거에는 주로 온도와 전류를 이용하여 가속열화시험을 실시하였다.
OLED의 가속시험 시 두 개 이상의 가속인자를 사용할 경우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한, Lee, Kim, and Park[5]의 연구에서도 같은 인가전압에서 온도가 증가할수록 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OLED 가속시험을 실시할 때 온도를 포함한 두 개 이상의 가속인자를 활용하게 되면, 두 인자간의 교호작용이 발생해 온도에 따른 입력 전류 값에 대한 증가, 신뢰성 불량(화면이상 등)을 야기시켜 한 가지 가속인자를 활용해 시험을 실시할 때 보다 시험시간이 길어지거나 수명산출시 수명이 더 길게 예측되는 등의 부정확한 시험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부정확한 시험 결과 사례로는 A社의 LED Pakage 수명시험 시 고온조건에 의한 휘도상승으로 인해 활성화 에너지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i, Y. T. and Cho, J. R. (2008). "A study on OLED device's accelerated lifetime test".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Vol. 10, No. 3, pp. 73-79. 

  2. Moon, J. C., Park, H. K., and Choi, C. S. (2012). "Evaluation of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a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OLED) Using an Accelerated Life Test (ALT)". Journal of the KOSOS, Vol. 27, No. 4, pp. 13-19. 

  3. Kim, H. E., Kang, B. S., and Cho, Y. H. (2012). "Study on Acceleration Factor Model with Accelerated Stress Interactions".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36, Issue 7, pp. 751-757. 

  4. Chesterman, F. E., Piepers, B., Tom, K., Patrick, D. V., and Kristiaan, N. (2016).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Steady State and Transient Luminance of an OLED Display". Journal of Display Technology, Vol. 12, No. 11, pp. 1268-1277. 

  5. Lee, H. S., Kim, G. Y., and Park, Y. P. (2007). "Electrical Conduction Properties of OLED Device with Varying Temperatu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1, No. 12, pp. 2361-2365. 

  6. In, H. J. (2010). "External compensation methods of OLED degradation and driving TFT deviation for AMOLED displays". HanYang University. 

  7. Ishii, T. (2002).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drive current on degradation mechanisms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80, No. 18, pp. 3430-3432. 

  8. Kim, I. K. and Kim, H. S. (2005). "A study of highly accelerated life test for lcd tv".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Journal, Vol. 30, pp. 57-70. 

  9. Kim, J. G. and Song, J. M. (2011). "Research Results and Trends Analysis on Accelerated Testing for Ensuring High Reliability".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Vol. 1, pp. 419-432. 

  10. Kim, J. T., Paek, K. K., and Ju, S. H. (2009). "Luminescent Properties of OLEO Devices with Various Substrate Temperatur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22, No. 11, pp. 956- 960. 

  11. Lee, W. D. amd Cho, G. H. (1996). "A Study on Goodness of Fit Test in Accelerated Life Tes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7, No. 1, pp. 37-46. 

  12. Hong, W. S., Song, B. S., Jeong, H. S., and Jeong, H. S. (2009). "Reliability Assessment Criteria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Journal of Applied Reliability, Vol. 9, No. 2, pp. 131-1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