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과 효모균 배양액 함유 액비 시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ed Medium of Lactobacillus sp. and Saccharomyces sp.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원문보기

한국잔디학회지 = Kore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v.24 no.2, 2010년, pp.138 - 144  

김영선 (에이엠잔디연구소) ,  함선규 (에이엠잔디연구소) ,  이상진 (KFM자연환경)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연구는효모균(Saccharomyces sp.)과유산균(Lactobacillus sp.)을 포함하는 미생물배양액에 기능성성분이 포함하는 기능성비료의 시비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잔디품질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비료의 종류에 따라 무처리구(NF), 대조구(CF), 미생물배양액(MO; CF+MO),철 함유 미생물배양액(MO-Fe; CF+MO-Fe), 그리고 황함유 미생물배양액(MO-S; CF+MO-S)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pH는 시험 후에 전보다 모든 처리구에서 약간 증가하였고, 시험 종료 후 처리구간의 토양화학성은 비슷하여 공시비료의 시비는 토양환경에 거의영향을 미치지않았다. 잔디생육 조사결과,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는 무처리구와 비교할 때, 관행구와 처리구에서 높았고, 관행구와 처리구들 사이에는 조사시기별 변화경향은 비슷하나 MO처리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잔디뿌리는 MO와 MO-Fe에서 더 길었다. 잔디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을 조사결과, 지상부에서는 MO와 MO-S가, 지하부에서는 MO와 MO-S가 관행구보다 높았으며, MO처리가 NF와 CF보다 각각 26%와 6%증가하여 MO처리가 잔디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T/R ratio는 모두 무처리구보다 증가였으나 처리구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잔디 지상부 지하부의 무기성분함량을 CF와 비교할 때, 지상부에서는 CF보다 MO, MO-Fe 및 MO-S 처리구에서 질소와 인 함량 증가하였고, 지하부에서는 인 함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산균과 효모균의 처리는 크리핑벤트그래스의 뿌리생육과 양분흡수를 촉진하여 잔디품질과 성장을 향상시키는 잔디성장촉진 기능이 있는 비료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ctobacillus sp. and Saccharomyces sp. on turf quality, shoot and root growth of creeping betgrass in golf course by measuring turf color index, chlorophyll content,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T/R ratio and root length. Fertilizer treatment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효모균(Saccharomyces sp.)과 유산균(Lactobacillus sp.)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액에 기능성 성분이 포함하는 기능성 비료의 시비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잔디 품질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효모균(Saccharomyces sp.)과 유산균(Lactobacillus sp.)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액에 기능성 성분이 포함하는 기능성 비료의 시비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잔디 품질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농업이란 무엇인가? 친환경농업은 농업과 환경의 조화로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을 유도하여 환경보전을 통한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을 말한다(양과 이, 2001; 배, 2003). 골프코스에서의 친환경적 관리는 화학비료와 유기합성농약을 적절히 사용하는 양분종합관리(INM: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와 병해충종합관리(IPM: Integrated Pest Management)를 포괄하는 저투입 농업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양과 이, 2001; 배, 2003; 박, 2003; 양 등, 2008).
친환경적인 골프장 관리의 개념은? 친환경적인 골프장 관리의 개념은 산림수림 등의 천연자원을 최대한 보존하고, 물, 공기, 토양의 오염을 최소화 하며, 투입자재인 농약과 비료를 적절하게 관리사용하여 지속적인 코스품질을 유지하고 생태계를 보존함과 동시에 골프플레이어의 안전성을 충족시키는 관리 형태를 말한다(한국잔디연구소, 2005). 골프코스에서 친환경적 관리는 조성단계에서부터 관리까지 친환경적인 요소를 모두 포함하게 된다.
친환경관리를 통해 비료사용량을 감소해야 하는 이유는? 2010). 즉, 친환경 자재를 사용 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여 비료의 효율성을 높여 비료사용량의 감소(순성분량의 감소)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시비관리가 골프코스에서 연못물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배, 2003; 김과 함.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기선. 2010. 잔디산업현황과 전망 및 공익적 기능. 2010골프코스관리 국제세미나-한국잔디연구소. p. 55-194. 

  2. 김영선, 이규승, 함선규. 2003. 아미노산 액비가 벤트그라스잔디(Bentgrass)의 생장과 토양에 미치는영향. 한국잔디학회지 17(2):147-154. 

  3. 김영선, 함선규, 김택수, 정현석. 2008a. 유산균(Lactobacillus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배양액함유액비의 시용이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영향. 한국잔디학회지 22(1):49-56. 

  4. 김영선, 김택수, 함선규, 베어크리크G.C 코스관리부. 2008b. 골프코스에서의 월동 전 크리핑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한국잔디의 부위별 양분함량. 한국잔디학회지 22(2):141-148. 

  5. 김영선, 함선규, 김택수, 정현석. 2008c. 유산균(Lactobacillus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배양액 함유액비의 시용이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22(2):185-196. 

  6. 김영선, 함선규. 2009. 골프코스에서 강수량, 관수량 및 시비관리가 연못의 수질변화에 미치는영향. 한국잔디학회지 23(1):1-8. 

  7. 김영선, 김택수, 함선규, 방수원, 이창은. 2009a. 완효성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십지가 토양 중 질소함량변화 및 켄터키불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영향. 한국잔디학회지 23(1):101-110. 

  8. 김영선, 김택수, 함선규, 방수원, 이창은. 2009a. 완효성 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십지가 토양중질소 함량변화 및 켄터키불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23(1):101-110. 

  9. 농업과학기술원. 1998. 토양화학분석법. 농촌진흥청. 

  10. 박문희. 2003. 친환경농업의 추진실태 및 연구방향. 한국환경농학회 2003년춘계전문학술 Workshop. p. 51-98. 

  11. 배원길. 2003. 2003년도 친환경농업 육성정책. 한국환경농학회 2003년 춘계전문학술 Workshop. p. 23-49. 

  12. 양재의, 정종배, 김장억, 이규승. 2008. 농업환경학. 도서출판씨아이알. 

  13. 양재의, 이규승. 2001. 농업환경. 한국환경농학회. 

  14. 유민준. 2009. 골프코스관리비용 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유민준, 이재필, 주영규, 김두환. 2009. 골프코스관리 비용 분석. 한국잔디학회지 23(1):61-76. 

  16. 안용태, 김성태, 김인섭, 김진원. 김호준, 심규열, 양증원, 이정재, 함선규. 1992. 개정 Golf 장 관리의 기본과 실제, 한국잔디연구소. 

  17. 한국잔디연구소. 2005. 친환경적 골프장 관리기술 개발 및 보급방안. 한국잔디연구소. 

  18. 함선규, 김영선, 김택수, 김기선, 박치호. 2009. 저농도SCB액비의 시용이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23(1):91-100. 

  19. 함선규, 김영선, 박치호. 2010. SCB저농도액비의 시용이 크리핑벤트르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24(1):56-61. 

  20. 현해남. 2010. 비료의 친환경적 관리 방안. 부산물유기질 비료의 친환경적 활용 워크숍. 한국토양비료학회. p. 1-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