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분이 추가된 SCB저농도액비가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veloped SCB Liquid Fertilizer on th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원문보기

아시안잔디학회지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v.25 no.1, 2011년, pp.73 - 78  

함선규 (에이엠잔디연구소) ,  김영선 (에이엠잔디연구소) ,  임혜정 (에이엠잔디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CB 저농도액비에 질소, 인산, 칼륨 성분을 첨가한 개량SCB액비(DSCB)의 시비에 따른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화학비료를 시비한 대조구(CF), 유안으로 질소성분을 보정한 DSCB를 80% 시비한 처리구 1(DSCB-A1), 유안으로 질소성분을 보정한 DSCB를 100% 시비한 처리구 2(DSCB-A2), 요소로 질소성분을 보정한 DSCB처리구(DSCB-U) 그리고 대조구에 SCB를 시비한 처리구(CF+SCB)로 설정하였고, 각 처리구는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및 잔디의 양분함유량을 조사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처리구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DSCB와 SCB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를 조사한 결과, NF보다 각각 1~2%와 19~24% 증가하였고, CF와는 비슷하였다. CF와 비교할 때, 잔디생육량은 CF와 비교할 때, DSCB-A1와 DSCB-A2는 CF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DSCB-U와 CF+SCB는 각각 36%와 10% 증가하여 DSCB-U와 SCB처리에 의해 잔디생육량이 증가하였다. 잔디품질과 잔디생육이 가장 우수한 처리구는 DSCB-U였고, 시비효율이 가장 우수한 처리구는 DSCB-A1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켄터키블루그래스에서 DSCB의 시비는 화학비료와 비슷하거나 양질의 잔디품질을 보여 골프코스관리에서 DSCB가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eveloped SCB (DSCB) liquid fertilizer produced by adding N, P and K at SCB liquid fertilizer on th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Two different N sources used in DSCB were ammonium sulfate (DSCB-A) and urea (DSCB-U), respectively. Fertilizer treat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2)로서 SCB저농도액비를 이용하여 좋은 잔디품질을 제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코스관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양분함량이 일정한 액비의 공급시설과 대량으로 살포하기 위한 살포시스템 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SCB저농도액비를 골프코스에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 질소, 인산, 칼륨을 첨가한 SCB저농도액비 (DSCB)를 켄터키블루그래스에 처리하였을 때, 품질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CB 저농도액비에 질소, 인산, 칼륨 성분을 첨가한 개량SCB액비(DSCB)의 시비에 따른 켄터키블루그 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 화 학비료를 시비한 대조구(CF), 유안으로 질소성분을 보정 한 DSCB를 80% 시비한 처리구 l(DSCB-Al), 유안으로 질소성분을 보정한 DSCB를 100% 시비한 처리구 2(DSCBA2), 요소로 질소성분을 보정한 DSCB처리구(DSCB-U) 그리고 대조구에 SCB를 시비한 처리구(CF+SCB)로 설정하 였고, 각 처리구는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 Y.T., S.T. Kim, I.S. Kim, J.W. Kim, H.J. Kim, K.Y. Shim, S.W. Yang, J.J. Lee, S.K. Ham. 1992. Standard and practice for management in golf course. KTRI. 

  2. Baeg, C.O., S.G. Kang, and K.S. Lee. 1996. A status of agricultural water quality and improvable countermeasure i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15(4:)506-519. 

  3. Ham, S.K., Y.S. Kim, T.S. Kim, K.S. Kim, and C.H. Park. 2009. The effect of SCB(slurry compostion and biofilter) liquid fertilizer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Kor. Turfgrass Sci. 23(1):91-100. 

  4. Ham, S.K., Y.S. Kim, and C.H. Park. 2010. The growth effects of creeping bentgrass by SCB(slurry composting and biofilteration) liquid fertilizer application. Kor. Turfgrass Sci. 24(1):56-61. 

  5. Han, K.W, J.Y. Cho, and S.J. Kim. 1997. Effects of fanning on soil contamination and water quality in Keum river districts. Korean J. Environ. Agric. 16(1):19-24. 

  6. Jung, Y.S., J.E. Yang, Y.K. Joo, J.Y. Lee, Y.S. Park, M.H. Choi, and S.C. Choi. 1997. Water quality of streams and agricultural wells related to different agricultural practices in small catchments of the han river basin. Korean J. Environ. Agric. 16(2):199-205. 

  7. Kang, B.K., H.H. Jung and K.S. Kim. 2010. Effect of Slury Composted and Biofilterated Solution and an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Zoysiagrass. Hort. Environ. Biotechmo. 51(6):507-512. 

  8. Kim, Y.S., T.S. Kim, and S.K. Ham. 2008. Investigation of nutrient contents at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and zoysiagrass in early winter. Kor. Turfgrass Sci. 22(2): 141-148. 

  9. Kwon, S.I., K.R. Kim, M.K. Kim, C.B. Jung, S.G. Hong, J.D. Shin, W.K. Park, K.S. Seong, and D.B. Lee. 2010. Nutrient transfer in the application of the swine slurry liquid fertilizer in rice paddy. J. of KORRA. 18(4):77-85. 

  10. Lee, K.B., J.K. Kim, Y.K. Shin, D.R. Lee, S.B. Lee, and J.D. Kim. 2005. Effects of livestock compost and soil conditioner application on greenhouse gases emission in paddy soil. Korean J. Environ. Agric. 24(2):117-122. 

  11. Lee, K.H., J.H. Yoo, E.J. Park, Y.I. Jung, S.C. Tipayno, C.C Shagol, and T.M. Sa. 2010. Effect of swine liquid manure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rice(Oryza sativa L.). Korean J. Soil Sci. Fert. 43(6):945-953. 

  12. Lee, S.E. and Y.M. Yun. 2008.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loads and material recycling of the nutients my the livestock wastewater origination from imported feeds. Proc. Trop. Korean J. Soil Sci. Fert. 41(2):100-115. 

  13. Lee, J.S., J.K. Kang, and J.G. Kim. 1993. Studies on the Irrigation water quality along the Seomjin river. Korean J. Environ. Agric. 12(1):19-25. 

  14. Lim, T.J., S.D. Hong, S.H. Kim, and J.M. Park. 2008. Evaluation of yield and quality from red pepper for application rates of pig slurry composting biofilteration. Korean J. Environ. Agric. 27(2):171-177. 

  15. NIAST. 1998. The chemical analysis of soil. NIAST. 

  16. Park, B.K. 2000. Usage of livestock manure for fertilizer and environment. Soil and fertilizer 1:32-40. 

  17. Park, J.H., J.K. Yeo, Y.B. Koo, W.W. Lee, H.C. Kim, and C.H. Park. 2008. Effects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on growth characteristic of poplar clones in a reclaimed land mounding soil. Korean J. Soil Sci. Fert. 41(5):318-323. 

  18. Park, J.M., T.J. Lim, S.B. Kang, I.B. Lee, and Y.I. Kang. 2010. Korean J. Soil Sci. Fert. 43(5):488-493. 

  19. RDA. 2007. Treatment and recycling of livestock manure. Agricultural standard guide. RDA 109. pp. 224. 

  20. Sa, D.M., J.B. Jung, and K.H. Han. 2008. Effect of livestock manure on yield of plant and change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oil. Proc. Trop. Korean J. Soil Sci. Fert. 41(2):63-75. 

  21. Yang, J.E. and K.S. Lee. 2001. Agricuture and Environment.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pp 11-32. 

  22. Yang, J.E., J.B. Jung, J.U. Kim, and K.S. Lee. 2008. Agricultural environmentology. CIR. pp 1-49.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