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푸시-메시 구조 기반의 효율적인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기법
An Efficient Peer-to-Peer Streaming Scheme Based on a Push-Mesh Structure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5 no.3, 2010년, pp.81 - 89  

김진성 (홍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동일 (홍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은삼 (홍익대학교컴퓨터공학과) ,  배성일 (홍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어투피어 방식의 스트리밍 기법은 크게 트리-푸시 구조와 메시-풀 구조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트리-푸시 구조는 트리를 재구성하는 지연 시간이 상당히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고, 메시-풀 구조는 서버와의 재생 시간차가 크며, 초기 재생 시작이 지연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트리-푸시 구조와 메시-풀 구조의 장점을 동시에 사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푸시-메시 구조의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에서는 기본적으로 메시-풀 구조를 기반으로 높은 네트워크 업로드 성능을 가지는 피어를 최대한 활용한다. 또한, 소스 서버와 수퍼 피어 및 수퍼 피어와 특정 수의 일반 피어들 사이에 푸시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초기 재생 지연 시간이 메시-풀 구조보다 감소하였고, 소스 서버와의 시간차는 트리와 비슷하며, 재생 연속성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 on peer-to-peer streaming schemes has largely focused on tree-push and mesh-pull structures. However, the tree-push structure has a defect that the tree restructuring time is long, and the mesh-pull structure has long startup delay and lag time from source servers. In this paper, we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트리-푸시 구조와 메시-풀 구조의 장점을 동시에 활용하여 푸시-메시 구조의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에서는 높은 네트워크 업로드 성능을 가지는 피어를 최대한 활용하여 초기 재생 지연 시간 및 소스 서버와의 시간차를 줄이고 연속 재생률을 증가시킨다.
  • 피어투피어 기술은 확장성과 저비용으로 인해 실시간 스트리밍 기술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트리-푸시 구조에서 피어 이탈시 트리를 재구성할 때 발생하는 오버헤드 문제와 메시-풀 구조에서 초기 재생 지연 시간과 소스 서버와의 재생 시간차가 크다는 단점을 극복하기위해 새로운 구조인 푸시-메시 기반의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법은 네트워크 업로드 성능이 우수한 수퍼 피어를 통해 푸시와 풀 구조의 장점을 동시에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에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 어떤 구조가 일반적이었는가? 현재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초고속통신망이 일반화되고 방송 컨텐츠가 디지털화됨에 따라 기존의 방송서비스와 통신서비스를 융합하는 새로운 차세대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기존에는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 CDN(Content Distribution Network) 등과 같은 서버-클라이언트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확장성이 높고 저비용으로 인프라를 구성할 수 있는 피어투피어 방식의 스트리밍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방식은 어떠한 방식을 기반으로 발전되어 왔는가?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방식은 크게 트리-푸시(tree-push) 기반과 메시-풀(mesh-pull) 기반으로 발전되어 왔다. 트리 기반 구조에서는 네트워크 상에 가상의 오버레이 트리 구조를 생성한 후 부모 피어가 자식 피어들에게 데이터를 푸시(push)해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1,2,3,4,5].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방식은 트리 기반 구조에서 어떤 방식을 사용하였는가?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방식은 크게 트리-푸시(tree-push) 기반과 메시-풀(mesh-pull) 기반으로 발전되어 왔다. 트리 기반 구조에서는 네트워크 상에 가상의 오버레이 트리 구조를 생성한 후 부모 피어가 자식 피어들에게 데이터를 푸시(push)해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1,2,3,4,5]. 일단 트리가 생성되면 전송 지연 시간이 짧기 때문에 효과적이지만 각 피어가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탈퇴할 때마다 트리를 새롭게 구성해야하는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 A. Tran, K. A. Hua, and T. Do, "ZIGZAG: An Efficient Peer-to-Peer Scheme for Media Streaming," Proc. IEEE INFOCOM, pp.1283-1292, 2003. 

  2. M. Castro, P. Druschel, A. M. Kermarrec, A. Nandi, A. Rowstron, A. Singh, "SplitStream: High-Bandwidth Multicast in Cooperative Environments," Proc. ACM SOSP, pp.298-313, 2003. 

  3. A. Mondal, Y. Lifu, and M. Kitsuregawa. "P2PR-Tree: an R-Tree-based Spatial Index for Peer-to-Peer Environments," Proc. EDBT Workshops, pp.516-525, 2004. 

  4. A. Crainiceanu, P. Linga, J. Gehrke, and J. Shanmugasundaram, "P-Tree: a P2P Index for Resource Discovery Applications," Proc. World Wide Web, pp.390-391, 2004. 

  5. B. Hudzia, M. T. Kechadi, and A. Ottewill, "TreeP: a Tree based P2P Network Architecture," Proc. IEEE Cluster Computing, pp.1-15, 2005 

  6. X. Hei, C. Liang, J. Liang, Y. Liu and K. . Ross, "a Measurement Study of a Large-Scale P2P IPTV System," Proc. IEEE Multimedia, vol. 9, no. 8, pp.1672-1687, 2007. 

  7. X. Liao, H. Jin, Y. Liu, L. M. Ni, and D. Deng, "AnySee: Scalable Live Streaming Service based on Inter-Overlay Optimization," Proc. IEEE INFOCOM, pp.1663-1674, 2006. 

  8. X. Zhang, J. Liu, B. Li, andT. P. Yum, "CoolStreaming/DONet: a Data-driven Overlay Network for Peer-to-Peer Live Media Streaming," Proc. IEEE INFOCOM, pp.2102-2111, 2005. 

  9. Z. Li, J. Cao, G. Chen, "ContinuStreaming: Achieving High Playback Continuity of Gossip-based P2P Streaming," Proc. IEEE IPDPS, pp.1-12, 2008 

  10. F. Wang, Y. Xiong, J. Liu, "mTreebone: a Hybrid Tree/Mesh Overlay for Applicationlayer Live Video Multicast," Proc. IEEE ICDCS, pp.49-49, 2007. 

  11. M. Zhang, J. G. Luo, L. Zhao, and S. Q. Yang, "a Peer-to-Peer Network for Live Media Streaming Using a Push-Pull Approach," Proc. ACM Multimedia, pp.287-290, 2005. 

  12. Y. Liu, L. Guo, F. Li and S. Chen, "A Case Study of Traffic Locality in Internet P2P Live Streaming Systems", Proc. IEEE ICDCS, pp.423-432, 2009. 

  13. C. Wu, B. Li and S. Zhao, "Diagnosing Network-Wide P2P Live Streaming Inefficiencies", Proc. IEEE INFCOM, pp.2731-2735, 2009 

  14. 김종경, 최성욱, "P2P 환경에서 복합 스트림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스케줄링",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Vol. 13, No. 6, 233-241쪽, 2008년 11월. 

  15. 정의현, "다중 피어 결합을 이용한 P2P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프로토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제 11권, 제2호, 253-261쪽, 2006년 5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