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기허(脾氣虛)로 인한 내습(內濕)의 발생과 사군자탕(四君子湯)
Study on the Endogenous Dampness Caused by Gi Deficiency of the Spleen and Sagunja-tang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4 no.6, 2010년, pp.903 - 906  

정한솔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응용의학부) ,  하기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응용의학부) ,  신상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응용의학부) ,  이광규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leen is the source of gi, blood, body fluid and plays a vital role in maintaining life. The function of the spleen is to transform food nutrients and water, and to transport them to the heart and the lung. The movement of splenic gi is marked by elevation. The spleen governs the activity of 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脾臟의 機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生理를 이해해야 한다. 生理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內經》에 서술되어 있는 脾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脾臟의 生理와 濕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 이러한 認識論을 바탕으로 臟象論을 형성하는 여러 臟腑 中消化器 系統에 中心軸을 구성하는 脾臟의 機能에 대해 古典에 있는 文獻을 中心으로 살펴보고 脾의 기능이 떨어졌을 때 나타나는 水濕의 停聚, 이에 대한 치법으로써 健脾除濕의 의미를 담고 있는 四君子湯의 적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濕의 특징은 무엇을 중심으로 痠沈, 重着, 小便의 混濁, 溏便不爽, 白帶下, (下部)浮腫, 濕疹 등이 나타나는가? 濕의 특징은 困重感을 중심으로 痠沈, 重着, 小便의 混濁, 溏便不爽, 白帶下, (下部)浮腫, 濕疹 등이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들이 오랫동안 지속된다. 濕은 氣의 循環을 阻滯시키거나 혹은 陽氣를 소모시켜 氣虛나 陽虛를 발생시킨다.
濕이 발생시키는 것은? 濕의 특징은 困重感을 중심으로 痠沈, 重着, 小便의 混濁, 溏便不爽, 白帶下, (下部)浮腫, 濕疹 등이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들이 오랫동안 지속된다. 濕은 氣의 循環을 阻滯시키거나 혹은 陽氣를 소모시켜 氣虛나 陽虛를 발생시킨다. 脾氣虛로 인해 升淸機能이 失調되면 失調過程에서는 水濕이 발생되고, 失調過程의 結果로는 營衛의 虛弱證이 발생한다.
『和劑局方』에 수록된 四君子湯의 主治症을 근거로 하면 白朮과 人蔘을 爲主로 處方이 구성되어야 한다고 본 이유는? 『實用中藥配伍應用大全』에서는 白朮을 重心으로 人參이 만나면 脾氣의 升淸機能을 고무시키고, 白朮을 重心으로 茯笭과 配合하면 健脾除濕을 위주로 한다37,38)고 하였다. 따라서 『和劑局方』에 수록된 四君子湯의 主治症을 근거로 하면 白朮과 人蔘을 爲主로 處方이 구성되어야 하고, 오늘날의 脾氣虛로 인해 升淸과 運送機能失調로 (內)水濕爲主의 症狀이 발생되었을 때는 白朮과 茯笭을 爲主로 한 四君子湯이 구성되어져야 한다고 사려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祝世訥. 中醫系統論. 重慶, 重慶出版社, pp 104-105, 1990. 

  2. 禹元洪, 鄭遇悅. 臟腑論의 現代的再認識. 大韓東醫病理學會誌 12(2):1-7, 1998. 

  3. 송지청, 정헌영. 肺主氣에 관한 고찰. 東醫生理病理學會誌 23(4):761-764, 2009. 

  4. 任應秋. 黃帝內經章句索引. 서울, 一中社, p 69, 74, 241, 1986. 

  5. 任應秋. 黃帝內經章句索引. 서울, 一中社, p 21, 34, 55, 124, 1986. 

  6. 任應秋. 黃帝內經章句索引. 서울, 一中社, p 67, 126, 1986. 

  7. 任應秋. 黃帝內經章句索引. 서울, 一中社, p 21, 323, 1986. 

  8. 任應秋. 黃帝內經章句索引. 서울, 一中社, p 90, 291, 1986. 

  9. 張登本. 難經通解. 西安, 三秦出版社, pp 269-279, 2001. 

  10. 王琦. 中醫臟象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372, 1997. 

  11. 柳道坤. 東醫生理學講義. 익산, 圓光大學校出版局, p 272, 1996. 

  12. 柳道坤. 東醫生理學講義. 익산, 圓光大學校出版局, p 339, 1996. 

  13. 王琦. 中醫臟象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p 376-377, 1997. 

  14. 楊醫業. 中醫學問答.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15, 1985. 

  15. 陳潮祖. 中醫治法與方劑.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367, 1995. 

  16. 柳道坤. 東醫生理學講義. 익산, 圓光大學校出版局, p 342, 1996. 

  17. 楊醫業. 中醫學問答(上卷).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50, 1985. 

  18. 韓方病理學敎材編纂委員會. 韓方病理學. 韓醫文化社, pp 52- 54, 2007. 

  19. 楊醫業. 中醫學問答.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50, 1985. 

  20. 楊醫業. 中醫學問答.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29, 1985. 

  21. 陳潮祖. 中醫治法與方劑.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256, 387, 1995. 

  22. 邢玉瑞. 中醫方法全書. 西安, 陜西科學技術出版社, pp 442- 447, 1997. 

  23. 韓方病理學敎材編纂委員會. 韓方病理學. 韓醫文化社, p 94, 2007. 

  24. 陳潮祖. 中醫治法與方劑.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257, 1995. 

  25. 謝文光. 中醫配方學.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p 107, 2000. 

  26. 陳師文, 裵宗元. 增廣太平惠民和劑局方卷三. 北京, 海南出版 社, p 126, 2001. 

  27. 汪昻. 醫方集解. 台北, 大方出版社, p 22, 1978. 

  28. 吳昆編著, 洪靑山校注. 醫方考.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p 125, 2007. 

  29. 李?. 新對譯編注醫學入門. 서울, 法人文化社, p 2066, 2009. 

  30. 許浚. 新對譯東醫寶鑑. 서울, 法人文化社, p 257, 2007. 

  31. 許濟群. 方劑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p 227-228, 1995. 

  32. 陳潮祖. 中醫治法與方劑.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321, 1995. 

  33. 上海中醫學院編. 方劑學. 香港, 商務印書館, p 225, 1975. 

  34. 孫世發. 名方配伍分析及應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308, 2002. 

  35. 楊醫業. 中醫學問答(上卷).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421, 1985. 

  36. 謝文光. 中醫配方學.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pp 45-46, 2000. 

  37. 張娟. 實用中藥配伍應用大全. 山西, 山西科學技術出版社, p 42, 1998. 

  38. 何秀川. 中藥配伍應用心得,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449, 456, 2004. 

  39. 張娟. 實用中藥配伍應用大全. 山西, 山西科學技術出版社, p 11,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