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대기 중 극미세입자와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ze of Ultrafine Particles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6 no.6 = no.117, 2010년, pp.480 - 495  

조태진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전혜리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윤형선 (순천향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이미영 (순천향대학교 의료생명공학과) ,  손부순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distribution of the concentrations of nano-particles and heavy metals (08-Pb, Cr, Zn, As, Fe, 09-Pb, Cr, Zn, Cu, Ni, Mn) in Seoul, Chungnam A and Gwangyang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08 5 times each in the Seoul area, 5 times in and Chungnam A area and from August to No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단 임펙터인 Micro-Orifice Uniform Deposit Impactor Model-110(MOUDI-110)을 이용하여 대도시와 중소도시, 공단지역의 일반 대기 중 극미세입자의 중량 농도와 중금속 농도를 산출하여 두 지역 간의 나노입자의 농도와 금속성분의 조성을 비교하고 극미세입자에 의한 대기오염 관리 대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5 µm 이하의 미세입자는 어떠한 건강장해를 초래하는가? 3) 일반적으로 2.5 µm 이하의 미세입자의 경우 호흡기 깊숙이 침입하여 폐에 염증을 일으키고 2차적으로 혈액에 영향을 주어 호흡기 및 심장질환을 초래하거나 조기사망 등 여러 가지 건강장해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특히 극미세입자는 큰 입자, 미세입자보다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흡입에 의해 쉽게 폐포 깊숙이 침투가 가능하며, 입자의 화학적인 조성 (Chemical Compounds), 입자의 형태(Shape), 구조 (Structure), 표면적(Surface Area), 전기적 성질(Surface Charge)에 따라 인간에게 건강영향을 주는 잠재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기 중 입자상 물질은 무엇에 따라 구분되는가? 대기 중 입자상 물질은 입자의 직경에 따라 Nucleation Range(3-100 nm), Accumulation Range (100-1,000 nm), Coarse Range(1-20 µm)로 구분하며 앞의 두 범주를 미세입자(Fine Particle), Nucleation Range의 입자를 구분하여 극미세입자(Ultrafine Particle) 또는 극미세입자(Nano Particles)라고 한다. 극미세입자의 경우 직경이 100 nm 이하인 Nucleation Range에 속하며, 화산폭발, 화재,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발전소 등을 통해 자연적으로 발생되거나 산업적 필요에 의해 인위적으로 생산된다.
Nucleation Range의 입자 중 극미세입자는 어떻게 발생 또는 생성되는가? 대기 중 입자상 물질은 입자의 직경에 따라 Nucleation Range(3-100 nm), Accumulation Range (100-1,000 nm), Coarse Range(1-20 µm)로 구분하며 앞의 두 범주를 미세입자(Fine Particle), Nucleation Range의 입자를 구분하여 극미세입자(Ultrafine Particle) 또는 극미세입자(Nano Particles)라고 한다. 극미세입자의 경우 직경이 100 nm 이하인 Nucleation Range에 속하며, 화산폭발, 화재,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발전소 등을 통해 자연적으로 발생되거나 산업적 필요에 의해 인위적으로 생산된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Lee, M. Y. : Development of molecular level biomarkers against the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the air-borne nanoparticles through metalloproteomic technology, 2008. 

  2. Thomas, K. and Sayre, P. : Research strategies for safety evaluation of nanomaterials, Part I: Evaluating the human health implications of exposure to nanoscale materials. Toxicological Sciences, 87(2), 316-321, 2005. 

  3. Montaya, L., Lawrence, J., Murthy, K., Sarnat, J., Godleski, J. and Koutrakis, P. : Continuous measurements of ambient particle deposition in human subjects.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38, 980-990, 204. 

  4. Kang, G. U. :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and health effect assessment of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s during asian dust storm episod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35(1), 21-35, 2009. 

  5. Yoon, C. S. : Potential health risks and issues of nanoparticles,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News, 8-21, 2007. 

  6. Fang, G. C., Wu, Y. S., Wen, C. C., Lin, C. K., Huang, S. H., Rau, J. Y. and Lin, C. P. : Concentrations of nano and related ambient air pollutants at a traffic sampling site. Toxicology and Industrial Health, 21, 259-271, 2005. 

  7. Muller, J., Huaux, F., Moreau, N., Misson, P., Heilier, J. F., Delos, M., Arras, M., Fonseca, A., Nagy, J. B. and Lison, D. : Respiratory toxicity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Toxicology and Applide Pharmacology, 207, 221-231, 2005. 

  8. Allen, A. G., Nemitz, E., Shi, J. P., Harrison, R. M. and Greenwood, J. C. : Size distributions of trace metals in atmospheric aerosols in the United Kingdom. Atmospheric Environment, 35, 4581-4591, 2001. 

  9. Donaldson, K. and Macnee, W. : Potential mechanisms of adverse pulmonary and cardiovascular effect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PM10).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3, 411-415, 2001. 

  10. Kim, K. H. : Air Pollution Test Methods for Environmental Analysis, Donghwa Technology, 313-364, 2000. 

  11. Cabada, J. C., Rees, S., Takahama, S., Khlystov, A., Pandis, S. N., Davidson, C. I. and Robinson, A. L. : Mass size distributions and size resolved chemical composi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at the Pittsburgh supersite. Atmospheric Environment, 38, 3127-3141, 2004. 

  12. Cheng, Y., Ho, K. F., Lee, S. C. and Law, S. W. : Seasonal and diurnal variations of $PM_{1.0}$ , $PM_{2.5}$ and $PM_{10}$ in the roadside environment of Hong Kong. China Particuology, 4(6), 312-315, 2006. 

  13. Kim, K. H., Kim, M. Y., Shin, J. Y., Choi, G. H. and Kang, C. H. : $PM_{2.5}$ , $PM_{10}$ , TSP, based on observations over time of dust particles during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the four stations around Seoul, a 2001 case study on the duration of the spring dus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8(5), 419-426, 2002. 

  14. Park, K. H. and Peter, H. McMurry : Studies on sizeresolved hygroscopic properties of fine aerosol particles in the atlanta ambient atmosphere. Korea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6. 

  15. Lee, H. B. :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aerosols in Chungnam, Korea. Sangmyung University of Graduate School, 2007. 

  16. Gong, M. H. : Asan and Seoul in some areas fine particles (PM2.5)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metals, Soonchunhyang University of Graduate School, 2002. 

  17. Choi, D. M. : A sourc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by the airborne heavy metals of cement factory outskirts area inhabitants. Hanyang University of Graduate School, 2008. 

  18. Baek, S. O., Heo, Y. K. and Park, Y. H. : Characterization of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in the atmosphere of Pohang A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0(3), 302-31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