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화호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Sihwa Constructed Wetland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2 no.2, 2010년, pp.25 - 33  

최돈혁 (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환경환리센터) ,  강호 (충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최광순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대 인공습지인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해 수립된 3개의 방안 (물 흐름 개선방안, 혐기성환경 개선을 위한 산소공급장치 설치방안, 탁도유발 물고기 제어방안)에 대한 효율평가 및 습지의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인공습지 하류구역(가로 122m${\times}$세로 103m)에 설치한 물 흐름 유도시설에 의한 BOD, SS, TN, TP의 평균 제거효율은 12.8~7.4%로 나타났으며, BOD가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이는 습지내 물흐름이 수질정화기능 향상에 매우 중요하며, 시화호 인공습지와 같이 규모가 큰 습지의 경우 유출부의 일부 구간에 물 흐름 개선만으로도 습지의 수질정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산소공급장치 가동 후 DO농도 증가율이 산기식폭기장치에서 15.5%과 표면폭기장치에서 37.2%를 보였고, 습지내 DO 농도가 낮은 구역에 한하여 새벽시간에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물고기를 포획을 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 탁도가 6.2 NTU와 10.6 NTU로 물고기 포획에 의해 41.5%의 탁도 제거효율을 보였다. 습지내 어류현황과 하류부의 탁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체계적인 어류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plans(induction of water flow, supply of oxygen into water, control of fish causing resuspension of solids) proposed to improv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Sihwa Constructed Wetland(CW) were estimated by considering the their efficiency and application to the wetland. After constru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화호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해 수립된 물 흐름 및 혐기성환경 개선방안과 탁도유발 물고기 제어방안 대한 효율평가 및 습지관리의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습지내 원활한물 흐름은 처리수를 식생대로 유도하여 정화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 이외에 용존산소 공급을 원활히 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처리용 인공습지의 설계기준에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요인이다.
  • 수처리를 목적으로 조성된 인공습지는 조성 이후 내외적인 환경변화에 의해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수질정화기능 평가와 함께 개선방안의 수립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화호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해 수립된 방안들에 대한 검증실험을 토대로 각 방안에 대한 효율 평가 및 습지관리의 적용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질정화용 인공습지의 목적은 무엇인가? 수질정화용 인공습지는 1960년대부터 미국과 유럽에서 주로 생활하수와 축산 및 공장폐수를 처리할 목적으로 조성되어 왔다(USEPA, 2000). 우리나라의 경우는 90년초부터 다양한 수생식물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검증하기 위한 소규모 연구시설들이 조성되었고(김, 1993, 이와 이, 1994; 전, 1994, 안과 공, 1995, 윤 등, 1999), 실제 현장에 처리시설로의 인공습지는 90년 중반부터 시화호와 주암호 등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해 상류부에 조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인공습지의 제거효율은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인공습지에서 오염물질의 제거는 주로 침전, 분해, 흡수, 흡착, 응집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며(Reddy and DeBusk, 1987), 제거효율은 습지의 형태, 식재식물의 종류, 토양환경, 처리수의 농도, 그리고 수리학적 특성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USEPA, 2000). 또한 조성 후 습지의 운영기간이 길어질수록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주요 원인을 표층퇴적토에 유기물의 과도한 축적 등에 의한 습지내 환경변화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USEPA, 2000; Kadlec and Knight, 2001; 농림부와 농업기반공사, 2004; Song et al.
시화호 인공습지는 어떻게 나누어져 있는가? 1). 인공습지는 반월천습지(415,952 m2), 동화천습지(265,999 m2)및 삼화천습지 (68,972 m2)로 3개의 습지로 나뉘어져 있다. 반월천습지와 동화천습지는 습지 조성 지역의 지형 특성상 고습지(바닥고 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관계부처합동 (2004). 물관리 종합대책의 추진강화를 위한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 국무조정실, 행정자치부, 농림부, 산업자원부, 환경부, 건설교통부, 산림부. 

  2. 김도선 (1993). 인공습지를 이용한 군부대 오수 정화 효율성. 자연보존, 제105권, pp. 29-34. 

  3.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2004). 농업용수 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습지 설계관리 요령.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4. 안윤주, 공동수 (1995). 생이가래를 이용한 영양물질의 제거방안. 대한환경공학회지, 제17권, 6호, pp. 193-203. 

  5. 윤춘경, 권순국, 우선호, 권태영 (1999). 농촌지역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습지실험시설의 3년간 실험결과 검토. 한국물환경학회지, 제15권, 4호,pp. 581-589. 

  6. 이병헌, 이남희 (1994). 부레옥잠을 이용한 돈사폐수의 처리. J. of Korea Society of Waterand Waste Water Treatment Technology,제2권, 2호, pp. 29-38. 

  7. 전만식 (1994). 부레옥잠을 이용한 수중의 영양염제거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8. 최돈혁, 최광순, 김동섭, 김세원, 최동호, 황인서,이윤경, 강호 (2008).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시공간적 수질분포 및 오염물질 제거효율 평가.대한환경공학회지, 제30권, 10호, pp. 1013-1020. 

  9. 한국수자원공사 (2007). 시화호 인공습지 수질조사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pp. 53-64. 

  10. 한국수자원공사 (2006). 시화호 인공습지 수질정화기능 향상연구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pp.157-223. 

  11. 환경부 (1999). 수질공정시험법. 환경부. 

  12. APHA (2001).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13. Kadlec, R. H. and Knight R. L. (2001). Treatment wetlands, Lewis Publishers, New York. 

  14. Mitsch, W. J. and Gosselink, J. G. (1993). Wetland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5. Reddy, K. R. and DeBusk, T. A. (1987). State-of-the-art utilisation of aquatic plants in water pollution control. Wat. Sci. Tech., Vol. 19, No. 10, pp. 61-79. 

  16. Song, K. Y., Zoh, K.D. and Kang, H. (2006). Release of phosphate in a wetland by changes in hydrological regime. Sci. Tot. Environ., Vol. 380, pp. 13-18. 

  17. USEPA (1993). Constructed Wetlands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Wildlife Habitat : 17 Case Studies. U.S. EPA 932/R-93/005. 

  18. USEPA (2000). Design Manual; Constructed Wetlands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s, U.S. EPA 625/R-99/010, Cincinnati, Ohio, pp. 12-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