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조사 결과를 이용한 인공습지 적정 설계 및 유지관리 방안 도출
Suggestion of Appropriate Design and Maintenance in a Constructed Wetland using Monitoring Result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7 no.4, 2015년, pp.428 - 435  

이소영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최지연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이형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공습지물순환, 생태, 수질정화, 경관, 심미적 기능 등의 융합적 기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와 토지이용의 고도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 조성된 인공습지는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아 단순 토목, 조경 위주의 습지 조성으로 인공습지의 고유기능 발휘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습지의 적정 설계, 유지관리 및 사후운영 방안 등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에 조성된 인공습지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공습지의 개념 정립 및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환경부 및 기타 기관에서 분류하고 있는 인공습지의 분류체계에 대하여 조사였다. 인공습지 현장조사는 2013년부터 2014년까지 43개 지점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현장조사를 실시한 인공습지 중 우수사례로 꼽힌 인공습지는 공통적으로 수변공간 제공, 오염물질 정화기능, 생태서식처 제공 등의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 퇴적물, 시설관리 등의 유지관리가 적절하게 수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습지의 적정 설계 및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실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ed wetlands (CWs) have been accepted as an attractive and economic alternative to a variety of pollution control and provided potentially valuable wildlife habitat in urban and suburban areas, as well as esthetic value within the local natural environment. CWs are known eco-friendly techn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조성되고 있는 인공습지는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아 단순 토목, 조경 위주의 습지 조성으로 인공습지의 고유기능 발휘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습지 현장조사를 통하여 효율적인 인공습지 조성 및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인공습지 조성 및 관리 시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인공습지의 개념 정립 및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환경부 및 기타 기관에서 분류하고 있는 인공습지의 분류체계에 대하여 조사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습지 현장조사를 통하여 효율적인 인공습지 조성 및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인공습지 조성 및 관리 시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인공습지의 개념 정립 및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환경부 및 기타 기관에서 분류하고 있는 인공습지의 분류체계에 대하여 조사였다.
  • 본 연구는 인공습지의 유형분류 조사, 우수사례 분석 등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습지의 적정한 설계 및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인공습지는 흐름 형태, 목적별, 조성된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를 정의하고 조성할 수 있는 법 개정과 설계 가이드라인 제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마지막으로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는 여러 가지 형태의 인공습지들을 연계하여 조성하는 습지로써 단일인 공습지보다 수질정화에 효과적이고, 악취와 모기서식 등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형태이기에 선진국에서 많이 적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습지에 대한 개념 정립 및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흐름형태에 따른 분류 이외에 환경부 및 기타 기관에서 분류하고 있는 인공습지의 분류체계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인공습지에 대한 명칭과 정의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습지는 어떤 기능을 갖고있는가? 인공습지는 물순환, 생태, 수질정화, 경관, 심미적 기능 등의 융합적 기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와 토지이용의 고도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친환경적인 도시건설 시 수변녹지공간을 필수적으로 조성되는 배경은 무엇인가? 국가 경제수준 및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은 하천과 호수의 수질 강화 및 수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및 인간생활에 대한 다양한 영향분석이 도시화에 의한 환경-수리-수문-생태계 영향을 증폭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나 물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최근 들어 친환경적인 도시건설 시 수변녹지공간은 필수적으로 조성되고 있으며 도시 내 수질정화, 수생태계 복원 및 환경기능, 여가활동 등의 다양한 기능이 융합되어 조성되고 있다.
국내의 인공습지가 인공습지의 고유기능 발휘에 한계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기후변화와 토지이용의 고도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 조성된 인공습지는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아 단순 토목, 조경 위주의 습지 조성으로 인공습지의 고유기능 발휘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습지의 적정 설계, 유지관리 및 사후운영 방안 등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에 조성된 인공습지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공습지의 개념 정립 및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환경부 및 기타 기관에서 분류하고 있는 인공습지의 분류체계에 대하여 조사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arleton, JN, Grizzard, TJ, Godrej, AN, Post, HE (2001).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stormwater treatment wetlands, Water Research, 35(6), pp. 1552-1562. 

  2. Choi, JY, Son, YG, Lee, SY, Lee, YH, Kim, LH (2013). Development of tree box filter LID system for treating road runoff, J. of Wetlands Research, 15(3), pp. 407-412. [Korean Literature] 

  3.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1999). Low-Impact Development: an Integrated Design Approach,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Prince George's County, Maryland, USA. 

  4. Dietz, ME (2007).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direction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86(1-4), pp. 351-363. 

  5. Kadlec, RH, Wallace, SD (2009). Treatment wetlands. 2nd ed,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USA. 

  6.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04). Manual for the Constructed Wetland Installation and Management for Agricultural Water Quality Improvement,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orea. [Korean Literature] 

  7. Kim, LH, Lee, EJ, Ko, SO, Kim, SG, Lee, BS, Lee, JK, Kang, HM (2006). Determination of first flush criteria in highway stormwater runoff using dynamic EMCs,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2(2), pp. 294-299. [Korean Literature] 

  8. Park, M, Song, Y, Kim, S, Park, M (2012). A Study on the assessment method for high-risk urban inundation area using flood vulnerability index. J.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2(2), pp. 245-253. [Korean Literature] 

  9. Son, HG, Lee, EJ, Lee, SY, Kim, LH (2008). Determination of nonpoint pollutant unit loads in toll-gate of highway, J. of Wetlands Research, 10(1), pp. 69-75. [Korean Literature] 

  10. University of Arkansas (UOA) (2010). Low Impact Development: A Design Manual for Urban areas. Fay Jones School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Arkansas, USA. 

  11. Miltner, RJD, White, D, Yoder, C (2004). The Biotic integrity of streams in urban and suburbanizing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9, pp. 87-100. 

  12.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8). Korean Wetland Type Classification 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Korean Literature] 

  13.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0). Research of Korean Wetland Type Classification System and Type of wetland restoration manual,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Korean Literature] 

  14.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4). Manual for the BMPs Installation, Management and Maintenanc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Korean Literature] 

  15. Vymazal, J (2005). Review horizontal sub-surface flow and hybrid constructed wetlands systems for wastewater treatment, Ecological Engineering, 25, pp. 478-490. 

  16. Wang, L, Lyons, J, Kanehl, P (2001). Impacts of urbanization on stream habitat and fish across multiple spatial scales, Environmental Management, 28, pp. 255-266. 

  17. Yang, HM (2006). Changes in pollutant concentrations by artificial floating island installed in reservoir for irrigation, J.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9(2), pp. 23-32.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