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종위기 부엽식물 가시연꽃 개체군의 분포, 멸종 원인 key factor에 대한 실험과 보전을 위한 관리전략
Key factors causing the Euryale ferox endangered hydrophyte in Korea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conservation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2 no.3, 2010년, pp.49 - 56  

유영한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해란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시연꽃은 우리나라 멸종위기식물 중에서 유일한 1년 생 부엽식물이다. 가시연꽃의 씨는 중요한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고, 과거에는 강릉까지 폭넓게 출현했던 종이었으나 현재는 멸종위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가시연꽃이 사라진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기본으로 생육지 관리에 적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먼저 가시연꽃의 분포지를 조사하였고, 멸종의 원인(가설)을 부영양화, 저수지 집수역 내 토지이용 변화에 의한 토양퇴적, 습지의 수심 증가 등으로 설정하여 이를 실험으로 검증하고, 그 원인을 초기 발아의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하고자 하였다. 가시연꽃은 과거에 비하여 그 분포지역이 위도 $1^{\circ}$ 나 줄어들었고, 자연 생육지는 열 곳에 불과하였다. 수질의 부영양화는 가시연꽃이 더 잘 자라게 하였고. 생육지에 토양이 퇴적되거나, 수심이 100cm 이상이면 유식물이 정착 되지 않았다. 따라서 가시연꽃의 생육지는 발아가 되는 봄철에 수심이 50cm 내외가 되도록 습지의 물을 조절하고, 주변에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줄과 같은 정수식물의 식생대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uryale ferox is only annual hydrophyte among endangered plants in Korea and its seed is high valuable medicinal material. This studies were carried to find out key factors that made E. ferox endanger in Korea and to apply the result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natural wetlands inhabited by 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가시연꽃이 서식지에서 사라지고 있는 현상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현재 분포지를 현장 조사하고, 현지조사 결과 멸종의 원인중 주된 요인으로 고려되는 수질의 부영양화에 의한 감소(수질의 부영양화 가설), 토양의 퇴적에 의한 감소(토양퇴적 가설), 수심에 의한 감소(수심 피해 가설) 등을 가설로 설정하고, 이를 야외 습지에서 실험하여 검증하고, 그 원인이 어떻게 가시연꽃의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발아 특성을 분석하여 해석하고자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② 토양퇴적 가설

    가정: 가시연꽃이 사는 곳 중 그 개체군의 크기가 감소하고 있는 곳은 집수역 내에서 농경지로의 개발이나 도로건설 등이 행해지는 곳이다. 이러한 개발활동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토양이 빗물에 쓸려 가시연꽃 생육지(저수지)로 유입되어 퇴적이 일어난다.

  • ① 부영양화 가설

    가정: 가시연꽃이 사는 곳 중 그 개체군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은 습지의 수질이 부영양화되어 싹이 나도 곧바로 죽고, 발아는 했어도 과다 영양분으로 말미암아 그 후에 살아남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 가정: 원래 가시연꽃은 관개용 저수지에서 생육한다(Yang, 1972). 그러나 현재 관개용 작은 저수지는 댐이나 대하천으로부터 농경지로 연결되는 관개수로가 발달되어 대부분 이용되지 않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연꽃의 개체군 번식에 큰 장애요인은 무엇인가? 특히 본 연구의 대상 식물인 가시연꽃을 제외한 다른 63종의 멸종위기식물은 영양번식이 가능하여 실제적인 번식이나 복원이 유리한 편이나, 가시연꽃은 1년생 식물로 종자로만 번식을 하여 기존의 다른 식물의 종복원기술을 적용하기에도 어려운 형편이다. 더욱이 한 개체가 차지하는 면적은 100m2 이상이나 개체 당 결실하는 종자수가 500-600개에 불과하여 개체군의 번식에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유영한, 2008). 또한 가시연꽃은 폐쇄화(cleistogamy)를 통하여 수정이 되어 개체군의 다양성이 떨어지게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가시연꽃 종자의 씨의 특징은 무엇인가? 가시연꽃은 뿌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잎은 우리나라 식물 중 가장 크고(지름 200cm), 잎자루 길이는 50 - 300cm로, 열매는 성숙하면 열매집이 터져 씨가 주변으로 산포된다. 가시연꽃 종자의 씨는 한방에서 귀중한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Rim, 1962), 식용하기에도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고, 면역 증진효과 등에서도 효과가 있다(Puri 등, 2000)고 알려진 자원 식물이다.
가시연꽃이란 무엇인가? 가시연꽃은 우리나라 멸종위기식물 중에서 유일한 1년 생 부엽식물이다. 가시연꽃의 씨는 중요한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고, 과거에는 강릉까지 폭넓게 출현했던 종이었으나 현재는 멸종위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고재기, 가시연꽃의 생태학적 연구-가시연꽃 생육 지의 몇가지 수서환경요인에 대해서-, 경산대학논문집, 제14권, pp. 105-116, 1996. 

  2. 공영식, 백광석, 멸종위기 식물 가시연(Euryale ferox)의 보호와 이용방안 및 유용성분 분석, 제 43회 전국과학전람회. pp. 47, 1997. 

  3. 국립환경과학원, 생태유전적 특성을 고려한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식물의 보전전략 연구(V), pp. 104, 2005. 

  4. 김인택, 이호준, 이상명, 함안군의 수생 및 습지 관속식물상, 창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제2권, pp. 47-71, 1993. 

  5. 김종만, 용산저수지의 식생과 수생관속식물의 생체량의 계절적 변화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pp. 35, 1989. 

  6. 김준호, 한국생태학 100년,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547, 2004. 

  7. 농어촌연구원, 습지의 특성분석 및 관리대책 연구. pp. 230, 2005. 

  8. 박수현, 우포 생태계 정밀 모니터링, 환경부-국립 환경과학원, 2007. 

  9.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보존 지침 및 대상 식물, pp. 185, 1996. 

  10. 성민웅, 마름(Trapa natans L. var. bispinosa Makino)의 기공 및 통기조직의 형태발생, Korean J. of Botany, 제26권, 제1호, pp. 41-51, 1983. 

  11. 신창남, 유경식, 당진군의 저수지내 수생종과 식물 상, 충남과학연구(생물학), 제10권, 제12호, pp. 185-188, 1983. 

  12. 양인석, 가시연꽃의 분포에 관하여, 식물분류학회지, 제6권, 제4호, pp. 31-33, 1975. 

  13. 오용자, 여성희, 1983, 함안군 법수면의 외송늪과 질날늪의 식생, 자연보존, 제44권, pp. 37-40. 

  14. 유영한, 2008, 멸종위기 부엽식물 가시연꾳의 초기 생활사, 제63회 생물과학협회 학술발표대회 초록집. 

  15. 이영노, 한국의 희귀 및 위기동식물 실태조사연구 (식물), 자연보존연구보고서10, pp. 209, 1990. 

  16. 이인규, 한국의 생물다양성 2000, 민음사, 서울, pp. 406, 1994. 

  17. 이종인, 수생대형식물 군락의 분포와 생산량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pp. 22, 1993. 

  18.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87, 1980. 

  19. 이철희, 유병렬, 황주광, 온도, priming 및 seed coating 처리가 가시연꽃(Euryale ferox Salisb.)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Flower Res. J., 제14권, 제2호, pp. 111-115, 2006. 

  20. 정영호, 우리 나라 자연늪의 현황과 보호, 자연보존, 제65호, pp. 12-15, 1989. 

  21. 정우규, 박실지늪의 가시연꽃 집단자생지 소개, 자연보존, 제84권, pp. 46-50, 1993. 

  22. 정영호, 최홍근, 낙동강 수계의 수생관속식물상과 현존량, 환경생물학회지, 제3권, 제1호, pp. 29-44, 1985. 

  23. 정영호, 최홍근, 함안 소재 자연늪의 수생관속식물 상, 환경생물학회지, 제5권, 제1호, pp. 17-28, 1987. 

  24. 정우규, 창녕 우포늪 생태계의 이해와 보존, 교육경남, 제127권, pp. 62-65, 1996. 

  25. 정우규, 공영식, 김철수, 양운진, 박실지와 연당지 의 식물상과 그들의 보호, 경남대학교 환경연구, 제18 권, pp. 7-34, 1996. 

  26. 정우규, 공영식, 양운진, 목포(나무벌)의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상과 그들의 보호, 경남대학교 환경연구, 제17권, pp. 77-94, 1995. 

  27. 최홍근, 이상명, 주남저수지의 수생관속식물상과 현존량, 환경생물학회지, 제5권, pp. 39-50, 1987. 

  28. 최홍근, 이상명, 김해군의 습생 및 수생식물의 구계와 분포, 경남대학교 환경연구, 제8권, pp. 83-103, 1986. 

  29. 한국자연보전협회,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보전전략연구: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부, 2001. 

  30.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화보집, pp. 247, 2005. 

  31. 환경부, UNDP/GEF. 전국내륙습지일반조사보고서, 1997-2009. 

  32. 현진오, 한반도 보호식물의 선정과 사례연구,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33. Given, D. R, Principles and practice of plant conservation, Timber Press, Portland, Oregon, USA, pp. 292, 1994. 

  34. Harper J. L., Population biology of plants. London, Academic Press. pp. 892, 1977. 

  35. Jeong, J. K., You, Y. H..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reproductive growth response and phenology of an dangered species Bupleurum latissimum. P-035. The 4th EAFES International Congress, 13-17 September 2010. Sangju Campus, KNU, Korea, pp. 91, 2010. 

  36. Jha, V., Kargypta, A. N., Dutta, R. N., Jha, U. N., Mishara, R. K., Saraswati, K. C.,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of Euryale ferox Salisbury in Mathila(North ihar), India, Aquatic botany, Vol. 39, pp. 295-314, 1991. 

  37. Menges, E. S., Seed germination percentage increases with population size in a fragmented prairie species. Conserv. Bio. Vol. 5, pp. 158-164, 1991. 

  38. Okada, Y., On the germination of Euryale ferox Salisb, Bot. Mag., Tokyo, Vol. 34, pp. 133-141, 1925. 

  39. Okada, Y., On the northern limit of the distribution of Euryale ferox, Bot. Mag., Tokyo, Vol. 40, pp. 423-424, 1926. 

  40. Puri, A., Sahai, R., Singh, K. L., Saxena, R. P., Tandon, J. S., and Saxena, K. C., Immunostimulant activity of dry fruits and plant metrials used in Indian traditional medical system for mothers after child birth and invalids, J. of Ethnopharamacology, Vol. 71, pp. 89-92, 2000. 

  41. Rim, K. H., On water plants of manshuricum, J. Kor. Pharm. Assoc., Vol. 3, pp. 44-46, 1962. 

  42. Yang, I. S., On the distribution of the Euryale ferox Salisb, J. Kor. Pl. Tax, Vol. 6, pp. 31 1975. 

  43. Yoon J. H., Nam J. M., Kim H. T., Bae Y. J., Kim J. G., Nannophya pygmaea (Odonata: Libellulidae), an Endangered Dragonfly in Korea, Prefers Abandoned Paddy Fields in the Early Seral Stage, Environmental Entomology, Vol. 39, No. 2, pp. 278-28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