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안 석호에서 수생천이계열에 따른 식생구조의 변화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Hydro-seral Stages in the East Coastal Lagoons,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2 no.3, 2010년, pp.129 - 144  

김혜영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미희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최희경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양두용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신은주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이규송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이훈복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안에 분포하고 있는 석호의 건륙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생천이계열에 따른 환경요인과 식생구조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석호습지의 수생천이계열은 수체의 특성, 침수식생, 정수식생 및 발달한 목본층의 수고와 수직적인 층 구조의 발달 등을 고려하여, 노출수면 단계로부터 교목림 단계까지 7단계로 구분하였다.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수질은 해수성으로부터 기수성으로 그리고 담수성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천이진행에 따라 수심이 점차 얕아져 수체가 사라졌고, 후기 단계에서 토양층내 유기물함량과 낙엽층이 발달하였다. 천이진행에 따라 식생변화는 노출수면 ${\rightarrow}$ 침수식물과 부엽식물 ${\rightarrow}$ 정수식물과 침수식물 ${\rightarrow}$ 정수식물 ${\rightarrow}$ 정수식물과 중생식물, 관목식생 ${\rightarrow}$ 교목성 중생식물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목본이 출현하는 천이 후기 단계에서는 토양기질의 배수성과 양분의 상태에 다라 서로 다른 유형의 목본식생이 발달하였다. 기질이 습하게 유지되는 지역에는 버드나무계열의 군집이, 토양이 모래로 이루어 있고 배수성이 양호한 입지에는 곰솔, 좀보리사초 등의 중생식물과 사구성식물로 이루어진 군락이, 인위적 매립과 산림지역 토사의 매립으로 이루어진 지역에는 소나무, 아까시나무, 김의털, 강아지풀 등과 같은 인간에 의해 식재된 목본, 교란지 식물로 구성된 식물 군락이 발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studied the changes of the environmental and vegetational factors according to the hydro-seral stages in the shoreline of the lagoons, Korea. We have divided seral stages into 7 stages from open water stage to the stratified forest stage considering as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body, do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석호의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석호 주변에서 일어나는 수생천이의 단계별 환경요인과 식생구조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석호 습지의 식생천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생태현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호의 특징은 무엇인가? 석호는 수심이 얕고, 해수의 영향을 받는 기수호의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 많고, 연중 안정된 수위로 인하여 수변에 습지 식생이 잘 발달되어 있다. 석호 수변에 발달된 습지에는 담수, 해양 및 기수성 환경에 적응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생물다양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문덕수 등 2007, 엄정훈 1998).
석호의 보전가치와 복원의 필요성이 부각된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석호는 자연기수호로서의 중요성과 희귀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로 인해 석호의 보전가치와 복원의 필요성이 자주 부각되고 있다(문덕수 등 2007, 원주지방환경관리청 1997; 2008; 2009).
석호 생태계의 오염이 빈번하게 이루어진 이유는 무엇인가? 그로 인해 석호의 보전가치와 복원의 필요성이 자주 부각되고 있다(문덕수 등 2007, 원주지방환경관리청 1997; 2008; 2009). 그러나 과거에는 석호 생태계를 개간이나 개발의 대상지로 여겨서 농경지 개간에 의한 매립, 관광 시설에 따른 산책로와 도로 건설, 수문 형성에 의한 해수 유입의 차단, 제방 축조에 의한 배수, 습지 식생의 주기적 제거, 생활 오수의 유입과 농경지 등의 비점오염원의 유입에 따른 수질 오염 등의 교란이 빈번하게 이루어져 왔다(박상덕 2002, 원주지방환경관리청 2008). 석호의 육화는 상류의 유역으로부터 토사나 유기물의 유입으로 인하여 호소가 점차 메워지고 수심이 얕아지며 수변을 중심으로 습지대가 확장되면서 일어난다(원주지방환경 관리청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김일회. 1996. 동해안 기수호 동물상의 특징. 동해안 호수보전 심포지움 자료집. pp27-38. 

  2. 김종홍, 이도진. 2002. 호소생물의 생태학. 북스힐. 서울. 

  3. 김준호, 서계홍, 정연숙, 이규송, 고성덕, 이점숙, 임병선, 문형태, 조강현, 이희선, 유영한, 민병미, 이창석, 이은주, 오경환. 2007. 현대생태학. 교문사. 서울. 434p. 

  4. 김철수. 2000. 박실늪의 퇴적과 교란에 따른 수생 및 습생관속식물의 군집 동태와 생산성.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철수, 오경환. 1999. 합천 박실늪의 교란된 습지에서 식생의 회복 과정. 경상대학교 환경보전연구소보. 7: 1-17. 

  6. 김태근. 2006. 우포늪 지역에서 버드나무류의 군집 구조와 1차 생산성.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7. 김혜영. 2009. 동해안 석호에서 수생천이계열에 따른 식생구조의 변화와 18개 석호의 건육화 상태 평가.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학위논문. 

  8. 마호섭, 박문수, 전권석, 정원옥. 1996. 하상 퇴적지의 식생 침입과 안정화 과정에 관한 연구-낙동강 칠서면 삼각주를 중심으로-. 경상대 부속연습림연구보. 6: 29-38. 

  9. 문덕수, 김현주, 최미연, 정동호, 이승원. 2007. 동해안 석호의 수질 특성. 2007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10. 문형태. 1984. 낙동강 하구의 식생 천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민병미, 김준호. 1983. 해안염습지 갈대군락의 무기 영양소 순환과 분배. 한국식물학회지. 26: 17-32. 

  12. 민병미. 1985. 韓國 西海岸 干拓地의 土壤과 植生 變化.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상덕. 2002. 경포호의 변천. 토목 50:52-56. 

  14. 박인협. 1985. 백운산지역 천연군락생태계의 삼리군락구조 및 물질생산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농학박사학위논문. 45p. 

  15. 박인협, 김준선. 1989.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무 천연군락의 물질생산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8: 323-330. 

  16. 신승춘, 박용길. 2004. 기수호의 습성천이 現狀과 생태적 복원정책. 한국환경과학회지. 13: 11-17. 

  17. 엄정훈. 1998. 동해안 석호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과 주변 지역 변화에 관한 연구, -매호를 사례로-. 지리환경교육 6: 95-110. 

  18. 유흥식. 1996. 동해안 호수와 그 유역의 경관변화- 경포호와 영랑호를 중심으로-. "동해안 호수 보존 심포지움 논문집", 강릉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pp. 9-16. 

  19. 이규송. 1995. 珍"(江原道 平昌郡) 일대 火田 후 묵밭의 植生 遷移 機構.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민부, 김남신, 이광률. 2006. 한반도 동해안의 자연호 분포와 지형 환경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 449-460. 

  21. 이점숙. 1990.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염습지의 조위 구배에 따른 염생식물의 정착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2. 이창석, 박현숙, 유영한, 홍선기. 1998. 묵논의 식생 천이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자연과학논문집. 10: 29-43. 

  23. 이충영. 1991. 남강댐 상류 하중도의 초기 천이에 따른 식생 구조와 토양의 성질.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허우명, 김범철, 전만식. 1999. 동해안 석호의 부영 양화 평가. 육수학회지. 32: 141-151. 

  25. 원주지방환경관리청. 1997. 동해안 석호 수질개선 대책. 원주지방환경관리청. 

  26. 원주지방환경관리청. 2008. 동해안 석호 보전 및 복 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I). 원주지방환경관리청. 

  27. 원주지방환경관리청. 2009. 동해안 석호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II). 원주지방환경관리청. 

  28. Alliende, M.C. and J.L. Harper. 1989. Demoographic studies of a dioecious tree. I. Colonization, sex and age structure of Salix cinerea. J. Ecology. 77: 1029-1047. 

  29. Carpenter, S.R. 1981. submerged vegetation: An internal factor in lake ecosystem succession. Am. Nat. 118: 372-383. 

  30. Connell, J.H. and R.O. Slatyer. 1997. Mechanisms of succession in natural communities and their role in community stability and organization. Am. Nat. 111: 1119-1144. 

  31. Curtis, J.J.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32. Dionigi, C.P., I.A. Mendelssohn and V.I. Sullivan. 1985. Fertility and disturbance gradients: A summary model for riverine marsh vegetation. Ecology 69: 1044-1054. 

  33. Egler, F.E. 1954. Vegetation science concepts. I. Initial floristic composition a factor in old-field vegetation development. Vegetatio 4: 412-417. 

  34. Johnson, W.B., C.E. Sasser and J.G. Gosselink. 1985. Succession of vegetation in an evolving river delta, Atchafalaya Bay, Louisiana. J. Ecology 73: 973-986. 

  35. Kjerfve. B. 1994. Coastal Lagoon Processes. Elsevier. New York. pp 1-4. 

  36. Niiyama, K. 1990. The role of seed dispersal and seedling traits in colonization and coexistence of Salix species in a seasonally flooded habitats. Ecol. Res. 5: 317-331. 

  37.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38. Pielou, E.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ely-Interspecies, New York. 165p. 

  39.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40. Tilman, D. 1988. Plant strategies and the dynamics and structure of plant communities. Prineceton University Press. pp. 237-244. 

  41. Van der Valk, A.G. 1981. Succession in wetlands: a Gleasonian approach. Ecology 62: 688-696. 

  42. Walker, L.R., J.C. Zasada and F.S. Chapin. 1986. The role of life history processes in primary succession on an Alaskan floodplain. Ecology 67: 1243-1253. 

  43. Wetzel, R.G. 1983. Limnology (2ed ed.). Saunders College pub., Philadelphia. 857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