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안의 석호에서 통발의 분포, 생활사 그리고 생장 특성
Distribution, Life Histor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Utricularia japonica Makino in the East Coastal Lagoon,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9 no.2, 2016년, pp.110 - 123  

정연인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홍보람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영철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이규송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진호에서 희귀식물인 통발의 입지요인, 생활사, 식물 계절 현상, 생장 및 공간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발의 서식지 7곳을 확인하였다. 통발은 결빙기에 월동아로 바닥에 가라앉아 있다가 이듬해 해빙기에 수면 위로 떠올라 발아하였다. 발아한 월동아는 하나의 줄기로 자라다가 분지하였고, 10월부터 줄기가 분해되면서 새로운 월동아를 형성하였다. 개화기는 7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지속되었다. 개화율은 6.3%로 상당히 낮았다. 통발은 4월부터 6월까지 빠른 생장률을 보였고, 8월에는 최대 생육기를 보였으며, 10월에는 최대로 생장하였다. 통발은 개방된 수역의 수심 50 cm~150 cm에서 큰 개체들이 밀생하였다. 천진호의 통발은 수온, 빛 및 양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식물에 의해 부착과 생장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환경과 다른 생물요인들이 통발 개체군의 시공간적 분포를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간섭이 큰 천진호에서 통발 개체군을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천진호의 환경을 통발이 요구하는 최적 조건으로 유지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천진호의 통발 개체군을 보전하고 관리하는 데 그리고 희귀식물인 통발 개체군의 복원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btain scientif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Utricularia japonica Makino, rare plant species, we investigated life history, phenology, growth and distribution in the east coastal region of Korea. Seven habitats of U. japonica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Turion of U. japonica 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발이 질소원을 흡수하는데 이용하는 것은 무엇인가? 통발은 포충낭을 이용하여 물 속의 미소무척추동물을 포획한 후 필요한 질소원을 흡수한다(Jha and Kumari, 1978; Richards, 2001). 통발은 영양섭취 방식이 독특하고 제한 적인 서식지에 분포한다 (Adamec, 1997).
식충식물이 영양분을 흡수하는 원리는 무엇인가? 습지생태계에서 일부 식물은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그들의 식물체 일부를 특수한 기관으로 변형시켜 영양분을 획득한다(Kwak, 2002; Baek and Kim, 2008; Lee and Kim, 2010). 식충식물은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하여 변형된 기관으로 동물 등을 유인하여 포획한 후 소화시켜 부족한 영양분 (특히 질소원)을 흡수한다 (Juniper et al., 1989; Richards, 2001; Ellison, 2006; Jennings and Rohr, 2011).
천진호 유출 하천의 특징은 무엇인가? 천진호의 유입하천과 유출하천은 각각 1곳으로 주로 강수와 지표 유출수로 물이 공급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2). 유출하천은 바다와 단절되어 해수의 유입이 없고, 규모가 작아서 오염원의 체류시간이 길다. 또한 낚시꾼들이 수시로 수생식물을 걷어내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damec, L. 1997. Mineral nutrition of carnivorous plants: a review. Botanical Review 63: 27-299. 

  2. Adamec, L. 2006. Respiration and photosynthesis of bladders and leaves of aquatic Utricularia species. Plant Biology 8:765-769. 

  3. Adamec, L. 2013. A comparison of photosynthetic and respiration rates in six aquatic carnivorous Utricularia species differing in morphology. Aquatic Botany 111: 89-94. 

  4. Adamec, L. and A. Kucerova. 2013. Overwintering temperatures affect freezing temperatures of turions of aquatic plants. Flora 208: 497-501. 

  5. Andrikovics, S., L. Forro and E. Zsunics. 1988. The zoogenic food composition of Utricularia vulgaris in the Lake Ferto. Opuscula Zoologica Budapest XXIII: 65-70. 

  6. Baek, K.Y. and I.S. Kim. 2008. Structural features of the glandular trichomes in leaves of carnivorous Drosera anglica Huds.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38: 1-8. 

  7.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Verlag. Wein. New York. 865p. 

  8. Choi, J.Y., S.K. Kim, G.H. La, K.S. Jeong, H.W. Kim, T.K. Kim and G.J. Joo. 2012. Microcrustacean community dynamics in Upo wetlands: impact of rainfall and physiochemical factor on microcrustacean community.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45: 340-346. 

  9. Ellison, A.M. 2006. Nutrient limitation and stoichiometry of carnivorous plants. Plant Biology 8: 740-747. Study on harmful cyanobacteria and off-flavor production in Lake Paldan. 

  10. Englund, G. and S. Harms. 2003. Effects of light and microcrustacean prey on growth and investment in carnivory in Utricularia vulgaris. Freshwater Biology 48: 786-794. 

  11. Gu, J.O., D.J. Lee, Y.I. Gug and S.U. Cheon. 2008. Water ruderal plant flora of Korea. Resource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lant Protection. Suwon. 862p. 

  12. Im, Y.S. 2009.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ydrophytes in Korea. D. Sc. Thesis, Soonchunhyang Universtiy. Korea. 430p. 

  13. Jennings, D.E. and J.R. Rohr. 2011. A review of the conservation threats to carnivorous plants. Biological Conservation 144: 1356-1363. 

  14. Jeong, Y.I. 2015. Population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Utricularia japonica Makino in Cheonjin lake, east coastal lagoon, Korea. M. Sc.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bersity. Korea. 94p. 

  15. Jha, U.N., M. Jha and M. Kumari. 1978. Distribution of certain species of Utricularia in relation to their habitats and around Jamshedpur, India. Hydrobiologia 61: 225-228. 

  16. Juniper, B.E., R.J. Robins and D.M. Joel. 1989. The carnivorous plants. Academic Press Ltd., London. 

  17. Kim, H.Y. 2009. Change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hydrosere processes and the evaluation of successional state of the 18 lagoon located in the east coastal region, Korea. M. Sc.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bersity. Korea. 114p. 

  18. Kim, J.K. 2007. Several factors affecting in vitro masspropagation of four carnivorous plant species. M. Sc.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1-4. 

  19. Kwak, J.L. 2002. The eological study on carnivorous plants of Mt. Ilkwang. M. Sc. thesis. Kyungsung University. Korea. 41p. 

  20.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top and bottom). Hyangmunsa. Seoul. 910p. 

  21. Lee, K.L. and I.S. Kim. 2010.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the trap in aquatic and terrestrial Utricularia species. Korean Journal of Microscopy 40: 237-244. 

  22. Lee, Y.N. 2007. An illustrated plant book a new Korea II. Kyohak. Seoul. pp. 223-225. 

  23. Madsen, J.D. and M.S. Adams. 1989. The distribution of submerged aquatic macrophyte biomass in a eutrophic stream, Badfish Creek: The effect of environment. Hydrobiologia 171: 111-119. 

  24. Makino, T. 1914. Observations on the flora of Japan. The Botanical Magazine, Tokyo 28: 20-30.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2012 National inland wetlands general survey (I). 

  26. Na, S.T., H.K. Choi, Y.D. Kim and H.C. Shin. 2008. Taxonomic identities and distribution of Utricularia japonica and U. tenuicauli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38: 111-120. 

  27. Peroutka, M., W. Adlassnig, M. Volgger, T. Lendl, W.G. Url and I.K. Lichtscheidl. 2008. Utricularia: a vegetarian carnivorous plant?-Algae as prey of bladderwort in oligotrophic bogs. Plant Ecology 199: 153-162. 

  28. Richards, J.H. 2001. Bladder function in Utricularia purpurea (Lentibulariaceae):is carnivory important? American Journal of Botany 88: 170-176. 

  29. Wonju Regional Enviromental Office. 2009. A Study on precision lagoon ecosystem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or the east sea coast ecosystem and management plan (II). 978p. 

  30. You, Y.H. and H.B. Yi. 2009. Vegetation characteristics, conservation and ecotoursim strategies for water spider (Argyroneta aquatica) in small marsh, Korean Natural Monument.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1: 99-106. 

  31. http://www.nature.go.kr.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2015.03.10. Access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