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이오니아는 대덕 특구 클러스터 구축사업을 통해 1536 종류의 oligonucleotide를 동시에 합성할 수 있는 Mega-base oligo synthesizer, 96 종류의 유전자를 동시에 합성할 수 있는 BiogenesisTM, 그리고 세계 최초로 유전자 합성 키트를 개발하였으며, 빠른 납기와 합리적인 가격으로 유전자 합성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니아에서 구축된 유전자 고효율 합성기술과 국내의 bioinformatics, 유전공학 기술 등 합성생물학 기반기술을 토대로 industrial enzymes, vaccine, Biochemical, Biopharmaceuticals 및 Bio-fuel 분야로 폭 넓게 사업 영역을 확대하여야 할 시점이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합성생물학 | 합성생물학이 적용될 수 있는 영역은 무엇인가? |
친환경 바이오 화학제품, 생물소재를 활용한 환경 복원, 바이오매스로부터 부탄올-에탄올을 생산하는 바이오 에너지 생산기술, 인공항체 합성백신과 같이 보다 광범위하고 안전한 치료효과를 약속하는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 등
특히 합성생물학은 바이오 의약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는 태동기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White BT, Green BT의 본격적 성장을 가능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친환경 바이오 화학제품, 생물소재를 활용한 환경 복원, 바이오매스로부터 부탄올-에탄올을 생산하는 바이오 에너지 생산기술, 인공항체 합성백신과 같이 보다 광범위하고 안전한 치료효과를 약속하는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 등은 합성생물학이 적용될 수 있는 대표적 영역중의 하나이다. 이처럼 합성생물학은 2010년 이후 가장 주목해야 할 중대한 트렌드의 하나가 되고 있다. |
합성생물학 | 합성생물학에 관해 설명하시오. |
융합 바이오 학문으로서 design 단계에서의 핵심기술로 bioinformatics 기술, DNA 염기서열분석과 DNA합성을 high-throughput 기술로 발전시키는 나노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유전공학, 대사공학 기술과 융합되어 industrial enzymes과 biochemicals 나아가 pharmaceuticals과 biofuels 등의 산업전반에 ground-breaking technology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또한 DNA 합성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유전자를 설계/합성하여 박테리아 생명체를 만들어 내는 단계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합성생물학은 융합 바이오 학문으로서 design 단계에서의 핵심기술로 bioinformatics 기술, DNA 염기서열분석과 DNA합성을 high-throughput 기술로 발전시키는 나노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유전공학, 대사공학 기술과 융합되어 industrial enzymes과 biochemicals 나아가 pharmaceuticals과 biofuels 등의 산업전반에 ground-breaking technology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특히 합성생물학은 바이오 의약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는 태동기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White BT, Green BT의 본격적 성장을 가능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합성생물학 | 합성생물학의 발전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
1979년에 최초로 tyrosine suppressor transfer RNA gene(209 bp)이 합성된 이후 눈부신 유전자 합성기술의 발전으로 2008년에는 Venter 박사에 의해 Mycoplasma genitalium을 모델로 Mycoplasma laboratorium(582,970 bp)가 합성되었다
1979년에 최초로 tyrosine suppressor transfer RNA gene(209 bp)이 합성된 이후 눈부신 유전자 합성기술의 발전으로 2008년에는 Venter 박사에 의해 Mycoplasma genitalium을 모델로 Mycoplasma laboratorium(582,970 bp)가 합성되었다. 합성생물학 기술은 codon optimization을 통해 각각의 유전자를 원하는 생물체에서 고효율로 발현되도록 설계가 가능함에 따라 Keasling 박사 팀은 말라리아 치료제의 중요 원료 물질인 artemisinin 을 생산할 수 있는 식물의 genetic circuit 전체를 Yeast에 도입시켜 의약품 원료 물질을 생산하는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데 성공해 합성 생물학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게 되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