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수학 기하문제해결에서의 시각화 과정 분석 원문보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26 no.4, 2010년, pp.553 - 579  

윤여주 (Daeyon Elementary School) ,  김성준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ometric education emphasize reasoning ability and spatial sense through development of logical thinking and intuitions in space. Researches about space understanding go along with investigations of space perception ability which is composed of space relationship, space visualization, space direc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수학에서 시각화와 관련된 시각적 이미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이유는? 초등수학의 지도와 관련해서 시각화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초등수학의 경우기하교육에서 직관기하를 다루고 있으며, 추상적인 언어-대수적 기호 체계는 중등 수학 이후에서 다루어지기 때문에 시각화와 관련된 시각적 이미지(image)의 역할과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수학교육에서 다루는 이미지와 이미저리, 그리고 시각화에 대한 설명이다.
기하교육의 목적은? Freudenthal(1973)에 따르면, 기하교육의 목적은 논리적 사고 능력의 신장과 공간에 대한 직관력의 계발, 즉 공간에서의 추론 능력과 공간 감각의 육성에 있다. 시각적 이미지는 기하에서 도형을 그리지 않고서는 그와 관련된 학습․지도를 생각할수 없을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며, 공간에서의 추론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수학교육에서 다루는 이미지와 이미저리에 대해 설명하면? 수학교육에서 이미지의 개념은 ‘마음속의 그림(a picture in the mind)'으로 볼 수 있다(Clement, 1982). 한편, 이미저리(imagery)는 어떤 대상이 감각 기관에 포착되지는 않았지만, 대상에 대한 지각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정신적 활동으로 정의된다. 이를 구분하면, 이미지는 시각적 요소의 기초 개념으로 어떤 구체적인 대상의 형상 자체에 초점을 두는 반면, 이미저리는 직접 눈으로 보거나 만져 보지 않은 추상적인 대상을 인식하여 형상을 떠올리는 정신적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시각적 이미저리는 ‘마음속에 있는 눈에서 그림으로 떠오르는 이미지’(Evans, 1980) 또는‘강한 시각적 요소를 가진 정신적 이미지’(Dreyfus, 1995)로 정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교육부(1998),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 

  2. 교육인적자원부(2003), 수학5-가?나 교사용 지도서,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인적자원부(2003), 수학6-가?나 교사용 지도서,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김성준(2002), 과정-대상 측면에서 본 '대수적 사고'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학연구, 12권 4호, 457-472. 

  5. 김은영(2009), 4Dframe 활용 학습이 초등학생의 공간감각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혜정(2003), 공간 시각화 활동을 통한 기하학습이 공간감각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류현아(2008), 중등 기하문제 해결에서 시각화와 추론과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문광호(1998), 중?고등학교 수학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대수,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백은자(2006), 초등수학에서 유시스킨의 반힐레 수준검사지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Del Grande. J.(1987), Spatial perception and primary geometry. In M. M. Lindquist, Learnning and Teaching Geometry K-12: 1987 Yearbook, Reston: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11. Dubinsky, E.(1991), Reflective abstraction in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pp.95-123). Kluwer Academic Publishers. 

  12. Duval, R.(1998), Geometry form a cognitive point a view. In C. Mammana and V. Villani(eds.), Perspectives on the Teaching of Geometry for the 21st Century(pp.37-52), Kluwer Academic Publishers. 

  13. Freudenthal, H.(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order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4. Gutierrez(1996), Visualization in 3-dimensional geometry, Proceedings of the 20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1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