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시각적 표현
The Fourth Graders' Visual Representation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Proces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6 no.3, 2013년, pp.285 - 301  

김소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이광호 (한국교원대학교) ,  구미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표현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 문제해결에 유용한 시각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D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시각적 표현이 어떠한지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으며,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시각적 표현에 특징을 보이는 학생 4명을 선정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문제해결에 있어서 성취도와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시각적 표현의 활용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이 문제해결과정에서 시각적 표현을 이용해 성공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갖도록 함으로써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시각적 표현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4th graders' visual representation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o find out how to teach the visual representation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proces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gives several pedagogical implication related t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 해결의 중요성이 언급되면서 수학 문제 해결에서는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 문제 해결의 중요성이 꾸준히 제기되면서, 수학 문제 해결에서의 다양한 수학적 표현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수학 교육에서 ‘표현(Representation)’은 개념 학습, 의사소통, 현실 상황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문제해결과정을 문제 해결자의 표상에서의 일련의 구조적 변화라고 하는 것을 해석하면? 이러한측면에서 문제해결과정은 ‘문제 해결자의 표상에서의일련의 구조적 변화’라고 할 수 있다(Nunokawa,1994). 즉 문제에서 주어진 표현은 문제해결 과정에서 다양한 표현으로 변환되고 그러한 표현의 변환을 통해 문제해 결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제 해결과정에서의 다양한 수학적 표현은 문제해결을 위해필수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문제 해결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의 면에서 어떤 점을 명시하는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제4차 교육과정 이래 지속적으로 수학교육 목표의 하나로 수학적 문제해결능 력을 강조해 오고 있다. 특히 문제 해결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의 측면에서 “학생 스스로 문제 상황을 탐색하고, 수학적 지식과 사고 방법을 토대로 문제해 결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보게 하며, 문제해결의 결과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방법과 과정을 중시”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문제란 이미 배운 수학적 사실이나 알고리즘을 단순히 적용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요구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생각해 볼 때, 문제해결과정에서 시각적 표현을 나타냄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매우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수학, 과학, 실과-. 광주: 한솔사 Ministry of Education (2008). Elementary curriculum commentary (IV) - Mathematics, science, and practical course-. Kwangju:Hansolsa. 

  2. 김민경.권혁진 (2010). 수학 문제 해결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를 표상 활용 능력과 특징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4(2), 475-502. Kim, M. & Kown, H. (2010). An analysis of representation usage ability and characteristics in solving math problems according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24(2), 475-502. 

  3. 김영국 (2008). 수학적 표현의 교수학적 의의. 한국수학교육학회 , 제 41회, (pp. 21-32.) Kim, Y. (2008). On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Proceedings of the 41st National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Conference, Korea, (pp. 21-32.) 

  4. 김유정.백석윤 (2004). 초등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사용되는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9(2), 85-110. Kim, Y. & Beak, S. (2004). A study of the representation in the elementary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roces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9(2), 85-110. 

  5. 김종백.이성원 (2011). 시각적 스키마 프로그램이 문장제 표상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3(1), 155-173. Kim, J. & Lee, S. (2011). Effects of the schema-based instructional program on word problem representation and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3(1), 155-173. 

  6. 나일주.성은모.박소영 (2010). 초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3(4), 509-534. Rha, I., Sung, E. & Park, S. (2010).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students` visualization tend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Research of Elementary Education, 23(4), 509-534. 

  7. 박애란.김애화 (2010). 도식을 활용한 표상전략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7(3), 105-122. Park, E. & Kim, E. (2010). The effects of schema-based representation strategy i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For students with mathematical difficulties. Learning Disabilities, 7(3), 105-122. 

  8. 윤여주.강신포.김성준 (2010). 시각화가 초등기하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4), 655-677. Yoon, Y., Gang, S. & Kim, S. (2010) An influence of visualization on geometric problem solving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13(4), 655-677. 

  9. 이양미.전평국 (2005).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수학적 문제 해결에서의 표상과 표상의 정교화 과정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4(4), 627-651. Lee, Y. & Jeon, P. (2005). 3rd grade students' representation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analysis of the refinement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44(4), 627-651. 

  10. 이태수.유재연 (2006). 의미구조에 따른 표상기법이 수학학습부지 및 수학학습 장애아동의 문장제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7(2), 1-21. Lee, T. & You, J. (2006). Effects of semantics-based-representation instruction on the arithmetic wor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and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7(2), 1-21. 

  11. 장혜원 (1997). 수학학습에서의 표현 및 표상에 관한 연구 -표상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Jang, H. (1997).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s learning :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representation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황현미.방정숙 (2009). 수학 문제 해결과정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C , 12(2), 81-97. Hwang, H. & Pang, J. (2009). A study on the 6th grad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12(2), 81-97. 

  13. 황혜정.나귀수.최승현.박경미.임재훈.서동엽(2004). 수학교육학 신론. 서울: 문음사. Hwang, H., Rha, G., Choe, S., Park, K., Yim, J. & Seo, D. (2004). The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Seoul: Muneumsa. 

  14. Diezmann, C. M. (2002). Enhancing students' problem solving through diagram use. Australia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7(3), 4-8. 

  15. George, E. A. (1999). Male and female calculus student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 In O. Zaslavsky (Ed). Proceedings of the 23rd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1, (pp. 17-25.) Haifa, Israel: PME. 

  16. Hayes, J. R. (1989). The complete problem solver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Hegarty, M. & Kozhevnikov, M. (1999). Types of visual-spatial representations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1(4), 684-689. 

  18. Jitendra, A. K., Star, J. R., Rodriguze, M., Lindell, M & Someki, F. (2011). Improving students' proportional thinking using scheme-based instruction. Learnig and Instruction, 21, (pp. 731-745.) 

  19. Kell, R. R., Gaustad, M., Porter, J. & Fonzi, J. (2007). Visual-Spatial representation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y deaf and hearing students. NY: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0. Kozhevnikov, M., Hegarty, M., & Mayer, R. E. (2002). Revising the visualizer/verbalizer dimension: Evidence for two types of visualizers. Cognition & Instruction, 20, 47-77. 

  2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22. 류희찬.조완영.이경화.나귀수.김남균.방정숙 공역(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23. Nunokawa, K. (1994). Solver's structures of a problem situation and their global restructuring,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3, 275-297. 

  24. Nunokawa, K. (2006). Using drawings and generating information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al,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2(3), 33-54. 

  25. Patton, M. Q. (2002).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6.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우정호 역 (2002).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교우사. 

  27. Stylianous, D. A. & Silver, E. A. (2004). The rol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advanc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 examination of expert-novic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6(4), (pp. 353-387.) 

  28. van Garderen, D. (2007). Teaching students with LD to use diagrams to solve mathematical word problem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40(6), 540-553. 

  29. van Garderen, D. & Montague, M. (2003). Visual-spatial representati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students of varying abilitie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18(4), (pp. 246-254.) 

  30. Zhaner, D. & Corter, J. E. (2010). The process of probability problem solving: Use of external visual representation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2, (pp. 177-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