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DLC의 전기화학적 성능에 대한 메조기공 구조의 효과
Effect of pore structure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EDLC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27 no.3, 2010년, pp.310 - 317  

이명숙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  신윤성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  이종대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EDLC) was studied by controlling pore size distribution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ctivated carbon fiber(ACF). The mesoporous ACF, which was prepared by the iron exchange method,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ing average por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메조기공이 발달된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고, 활성탄소섬유의 기공 특성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철 이온교환방법에 따른 메조기공을 가진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고 이의 물성 변화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성능 변화를 측정하여 활성탄소섬유의 기공 특성과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기화학적 성능과의 관계와 제조된 활성탄소섬유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극물질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철 이온 교환 방법에 의한 메조기공이 발달된 활성탄소섬유를 전극 물질로 사용하여 활성탄소섬유 기공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충 방전 성능을 조사하였다. 메조기공 특성을 조절하여 활성탄소섬유의 비표면적과 평균기공 크기를 각각 2225 m2/g,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에 사용된 이차 전지의 종류는 무엇이며 이것의 사용이 감소하는 추세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전기 전자 기술의 발달로 각종 개인용 단말기와 휴대용 전자기기가 보편화 되고 더불어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전지 시장과 그에 따른 전지의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초기에 사용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Ni-Cd), 니켈 메탈 하이드 라이드(Ni-Mh)전지 등이 있었으나, 이 전지 들은 니켈, 카드뮴, 납 또는 수은과 같은 환경오염물질도 첨가되어 점차 그 사용을 줄이려는 추세이다. 이차 전지 시장에서 환경 위험성을 줄인 리튬이온전지가 대세를 이루고 있는데, 휴대전화, 노트북, 캠코더, 메모리 백업용 전원 등의 에너지 저장매체로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리튬이온전지의 단점은 무엇입니까? 그러나 최근 노트북에 공급되었던 배터리가 폭발하면서 치명적 위험성 등이 제기되고 있다. 충격이나 과 충전, 장시간 사용 시 급 열화 되는 것을 넘어 발화, 폭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전지 소재의 환경 친화적 소재 개발과 과 충전 또는 고온상태에서 폭발 위험성 방지 및 제조 공정의 단순화된 무공해 에너지원 및 고효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어떠한 형태로 나누어집니까? 저에너지 밀도 특성의 재래식 커패시터(Condenser)와 저출력 밀도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의 단점을 보완하여 순간적인 고출력 충방전이 가능한 에너지 전기화학 커패시터(Electrochemical capacitor)가 대두되었다[1].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와 유사축전(Pseudo-capacitance)의 두 형태로 나누어진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활성탄과 같이 상대적으로 전기 전도성이 좋으며 이온과 접촉되는 비표면적이 매우 큰 다공성 물질을 양극과 음극의 전극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전기 이중층 원리에 따라 축전되는 전하의 양을 극대화한 전기화학 커패시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 E. Conway, Transition from 'Supercapacitor' to 'battery' behavior i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J. Electrochem. Soc., 138(6), 1539 (1991). 

  2. E. Frackowiak, and F. Beguin, Carbon materials for the electrochemical storage of energy in capacitors, Carbon, 39, 937 (2001). 

  3. A. Soffer, G. Salitra, L. Eliad, Y. Cohen, and D. Aurbach, Carbon Electrodes for Double-Layer Capacitors I. Relations Between Ion and Pore Dimensions, J. Electrochem. Soc., 147, 2486 (2000). 

  4. S. R. S. Prabaharan, R. Vimala, and Z. Zainal, Nanostructured mesoporous carbon as electrodes for supercapacitors, J. Power sources, 161, 730 (2006). 

  5. S. Mitani, S. I. Lee, K. saito, Y. Korai, and I. Mochida, Contrast structure and EDLC performances of activated spherical carbons with medium and large surface areas, Electrochimica Acta, 51, 5487(2006). 

  6. B. E. Conway, "Electrochemical Supercapacitors", Kluwer Academic and Plenum Publishers, NewYork (1990). 

  7. G. Gryglewicz, J. Machnilkowski, E. Lprenc-Grabowska, G. Lota, and E. Frackowiak, Effect of pore size distribution of coal-based activated carbons on double layer capacitance, Electrochimica Acta, 50, 1197 (2005). 

  8. O. Barbieri, M. Hahn, A. Herzog, and R. Kotz, Capacitance limits of high surface area activated carbons for double layer capacitors, Carbon, 43, 1303 (2005). 

  9. A. Alonso, V. Ruiz, C. Blanco, R. Santamaria, M. Granda, R. Menendez, and S. G. E. de Jager, Activated carbon produced from Sasol-Lurgi gasifier pitch and its application as electrodes in supercapacitors, Carbon, 44, 441 (2006). 

  10. T. Kyotani, Control of pore structure in carbon, Carbon, 38, 269 (2000). 

  11. S. Y. Moon, D. Y. Han, B. H. Lee and Y. S. Lim, Characterization of activation of various carbon fibers via chemical activation with KOH, J. Kor. Oil Chem. Soc., 22, 43 (2005). 

  12. J. Ozaki, N. Endo, W. Ohizumi, K. Igarashi, M. Nakahara, and A. Oya, Novel prepara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esoporous carbon fiber from a polymer blend, Carbon, 35, 1031 (1997). 

  13. C. Y. Kang, M. G. Kang, and J. D. Lee, Preparation of mesoporous carbon using ion exchange, J. Kor. Oil Chem. Soc., 26, 328 (2009). 

  14. E. Lorenc-Grabowska, G. Gryglewicz, and S. Gryglewicz, Development of mesoporosity in activated carbons via coal modification using Ca- and Fe-exchange, Micropor. Mesopor. Mater., 76, 193 (2004). 

  15. C. Lin, and J. A. Ritter, Effect of synthesis pH on the structure of carbon xerogels, Carbon, 35, 1271 (1997). 

  16. L. Li, H. Song, and X. Chen, Ordered mesoporous carbons from the carbonization of sulfuric-acid-treated silica / triblock copolymer / sucrose composites, Micropor. Mesopor. Mater., 94, 9 (2006). 

  17. Z. Chuan-xiang, D. Yu-ling, X. Bao-lin1, Z. Liang, Q. Wen-ming, and L. Li-cheng, Influence of nitrogen hetero-substitution on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coal-based activated carbons measured in non-aqueous electrolyte, Journal of China University of Mining & Technology, 19, 295 (2009). 

  18. M. Seredych, D. Hulicova-Jurcakova, G. Q. Lu, and T. J. Bandosz, Surface functional groups of carbons and the effects of their chemical character, density and accessibility to ions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Carbon, 46, 1475 (2008). 

  19. K. S. W. Sing, Reporting physisorption data for gas/solid system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etermination of surface area and porosity, Pure and Appl. Chem., 54(11) 2201 (1982). 

  20. H. Y. Liu, K. P. Wang, and H. Teng, A simplified preparation of mesoporous carbon and the examination of the carbon accessibility for electric double layer formation, Carbon, 43, 559 (2005). 

  21. K. P. Wang, and H, Teng, The performance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using particulate porous carbons derived from PAN fiber and phenol-formaldehyde resin, Carbon, 44, 321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