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향약구급방"에 나타난 침구법과 외치법의 내용과 특징에 대한 고찰
A Search of the Contents and Characterisitcs of Acupuncture-moxibustion and External Treatments in "HangYakGuGeupBang" 원문보기

경락경혈학회지=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27 no.4, 2010년, pp.73 - 84  

고대원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차웅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HangYak" and "GuGeupBang" were used as a book title in "HangYakGuGeupBang". Therefore we can examine the early years of the medical of HangYak and the medical of first-aid. Methods : We studied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cupuncture and External treatments which were pres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고려시대 구급의학서에 보이는 침구법과 외치법의 실제적 운용은 자세히 알 수 없었다. 이를 위해서 『향약구급방』에 보이는 침구법과 외치법의 내용과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간행의 실용적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다행히 『향약구급방』은 신영일의 논문에서 정밀한 복원이 이루어져 있다.
  • 이상에서 『향약구급방』에 나타난 침구법과 외치법의 내용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침법은 단순 외과적 처치로 시행하고, 구법은 이보다 매우 다양한 질환에 여러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다.
  • 다행히 『향약구급방』은 신영일의 논문에서 정밀한 복원이 이루어져 있다. 한의고전명 저총서DB에서 검색하고, 신영일의 복원본을 근거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침법은 구법에 비해 적게 나타나고 있다. 침의 활용도 다소 제한적으로 쓰이고 있다.
  • 2. 구법은 침법에 비해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구법은 통처(痛處)에 시술한 경우가 많으나 특정 혈위를 제시하기도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현숙은 향약구급방을 뭐라 평가하는가? 이는 『향약구급방』을 그저 민간의학 수준으로 말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이현숙은 본서를 중국의 약재를 수입할 수 없었던 몽고 전란기 상황에서 약재의 구성을 향약으로 할 수 밖에 없었던 당시 지배층을 위한 구급의학서6)라고 평가하고 있다. 단지 동사(凍死)에 대한 설명이 없고 술중독, 여드름, 기미, 액취증이 있고, 금가루를 사용한 것으로 그렇게 평가하고 있는듯하다.
향약구급방의 책 제목에서 쓰는 용어는?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은 책 제목에 향약과 구급방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 이는 향약의학과 우리나라 구급의학을 잇는 현존 최고(最古)의 향약구급방서로 향약의학과 구급의학서의 초기 모습을 엿볼 수 있다.
향약구급방은 어디에 소장되어 있는가? 『향약구급방』의 원간본(原刊本)은 없고 조선 태종 17년(1417) 7월에 의흥감군(義興監郡) 최자하(崔自河)가 간행한 중간본(重刊本)이 일본의 궁내청 도서료(宮內廳 圖書寮)에 소장되어 있다2). 『향약구급방』의 발문(跋文)을 통해 고려 중기에 간행된 대장도감(大藏都監)본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맹웅재 외 15인. 한의학통사. 1판. 서울 : 대성의학사. 2006 : 151, 129. 

  2. 신영일. 鄕藥救急方에 대한 연구(復原및 醫史學的考察).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 2, 171, 175, 176, 177. 

  3. 김두종. 한국의학사. 서울 : 탐구당. 1981 : 141. 

  4. 미끼사카에(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大阪 : 自家出版. 1962 : 62-4. 

  5. 이태진.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 1판. 서울 : 태학사. 2002 : 114-21. 

  6. 이현숙, 권복규. 고려시대 전염병과 질병관(향약구급방을 중심으로). 史學硏究. 2007 ; 제88 호 : 582. 

  7. 韓國醫學大系1권. 鄕藥救急方. 서울 : 여강출판사. 1992 : 103. 

  8. 김신근. 한국의약사. 1판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66. 

  9. 김광철. 고려시대 士大夫의 용례. 석당논총. 1988 ; 14 : 71-8. 

  10. 강연석. 향약집성방의 향약의학 연구(향약본초의 처방용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 49. 

  11. 안상우, 최환수. 의방유취 치법편의 구성과 특징.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0 ; 6호(1) : 7-8. 

  12. 이덕호, 김홍균, 안상우. 제중입효방에 관한 의사학적 고찰(立效散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08 ; 21(2) : 38. 

  13. 한의고전명저총서DB. http://jisik.kiom.re.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