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 요구도 조사
Study on Knowledge Levels of Pre-dialysis,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at Glomerular Filtration Rates (GFRs) and Their Educational Demands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2 no.2, 2010년, pp.114 - 126  

김혜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xamine the levels of the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educational demands of pre-dialysis,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at different GFRs and stage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urvey and aimed at 116 pre-dialysis,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단계별 맞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더욱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투석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단계별 질병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 요구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각 단계별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사구체 여과율에 따라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각 단계별 질병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 요구도의 특성과 차이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조사했다는 점과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단계별 맞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각 단계별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 정도 및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마련 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지역에 소재한 3차 의료기관 신장내과에 등록되어 정기적인 관리를 받고 있는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 116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12월 1일부터 31일까지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구체 여과율에 따라 단계별로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를 분류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질병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이후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사구체 여과율에 따라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각 단계별 질병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 요구도의 특성과 차이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신부전 환자가 매년 증가하게 된 배경은? 최근 우리나라는 만성 질환인 당뇨, 고혈압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성 사구체 경화증, 만성 사구체 신염 등을 원인으로 하는 만성 신부전 환자 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06). 만성 신부전 환자는 적절히 관리하지 않는 경우 응급으로 투석을 시작하는 횟수가 증가하고(Schmidt et al.
만성 신부전이 말기 신부전에 도달하는 것을 늦추기 위해 필요한 것은? 만성 신부전은 조기 발견하여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를 하면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속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말기 신부전에 도달하는 시기를 늦출 수 있다. 따라서 신 기능의 손실을 최대한 억제하고, 빈혈이나 신성 골 이영양증,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합병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하여 적절한 신대체 요법을 준비하는 것과 같은 투석 전 관리가 필요하다(Charlotte et al., 2002; Lesley et al.
만성 신부전 환자를 적절히 관리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일은? 최근 우리나라는 만성 질환인 당뇨, 고혈압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성 사구체 경화증, 만성 사구체 신염 등을 원인으로 하는 만성 신부전 환자 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06). 만성 신부전 환자는 적절히 관리하지 않는 경우 응급으로 투석을 시작하는 횟수가 증가하고(Schmidt et al., 1998), 투석용 혈관 확보 또는 감염과 관련된 총 재원 일수가 증가하여(Victor et al., 2004), 재정적 부담이 증가되고(Schmidt et al., 1998) 사망률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Gerald et al., 2005; Stack,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irgitta, K., Hjordis, B., & Naomi, C. (1998). Predialysis education helps patients choose dialysis modality and increases disease-specific knowledg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9, 869-876. 

  2. Braden, J., Manns, K. T., Carmen, V., Heather, J., Cynthia, M., Marilyn, V., et al. (2005). The impact of education on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plans to initiate dialysis with self-care dialysis; A randomized trial. Kidney International, 68, 1777-1783. 

  3. Carlos, G. M. (2004). Potassium metabolism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International Urology and Nephrology, 36, 469-472. 

  4. Charlotte, S., Mary, A. T., & Sherry, S. O. (2002). Advancing chronic kidney disease care: New imperatives for recognition and intervention. Nephrology Nursing Journal, 29, 547-559. 

  5. David, C. M., Christine, M., & Bassem, H. (2009). An integrated review of unplanned dialysis initiation: Reframing the terminology to suboptimal initiation. Biomed Central Nephrology, 10(22), 1-8. 

  6. Gerald, M. D., David, C. M., Paul, E. B., Kenneth, T., & Yitzchak, M. B. (2003). Predialysis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and coping styles influence time to dialysis in chronic kidney disease.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 42, 693-703. 

  7. Gerald, M. D., David, C. M., Paul, E. B., Kenneth, T., & Yitzchak, M. B. (2005). Predialysis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extends survaval in CKD: A 20-year follow-Up.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 46, 1088-1098. 

  8. Gillis, B. P., Caggiula, A. W., Chiavacci, A. T., Coyne, T. D., Milas, N. C., Nowalk, M. P., et al. (1995).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of the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A self-management approach. Journal of American Diet Association, 95, 1288-1294. 

  9. Gutierrez, V. J. M., Zampieron, A., Craver, L., & Buja, A. (2009). Evaluation of psychological outcomes following the intervention 'teaching group': Study on predialysis patients. Journal of Renal Care, 35, 159-164. 

  10. Jeon, Y. J. (2006). The utilizing patterns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s and its related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11. Kang, S. S. (2004). Effect of pre-dialysis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al status of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atrina, L. C., Susan, A., Judith, D. B. (2008). The impact of nutrition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in pre-dialysis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Clinical Nutrition, 27, 537-544. 

  13. Kim, E. N. (1993). Is it alright, Korean society? K forum, 10, 184-192. 

  14. Kim, J. E., Kim, S. W., Shin, Y. J. (2007). Survey on the physicians views of the effects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o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21, 279-301. 

  15. Kim, J. S., Han, B. K., Lee, E. Y., Kal, E. H., Kim, M. H., Choi, S. O., et al. (1999). A study on the about timing of arteriovenous fistula formation for maintenance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18, 959-964. 

  16. Lesley, C., Dinwiddie, S. B., & Eileen, J. P. (2006). Stage 4 chronic kidney disease: Preserving kidney function and preparing patients for stage 5 kidney disease. American Jounal of Nursing, 106(9), 40-51. 

  17. Levine. (1983). Self-care in health.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4, 181-201. 

  18. Lim, H. S. (2005). Level of knowledge and educational demands in pre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Lim, Y. A. (1996). Study on the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and the needs for educa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Meryl, M. S. (2001). Early educ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renal insufficiency: The healthy start program. Nephrology Nursing Journal, 28, 643-646. 

  21. Murphy, F., Jenkins, K., McCann, M., & Sedgewick, J. (2008). Patient management in chronic Kindney Disease stage 4 to 5. Journal of Renal Care, 34, 191-198. 

  22. Pagels, A. A., Wang, M., & Wengstrom, Y. (2008). The impact of a nurse-led clinic on self-care ability, disease-specific knowledge, and home dialysis modality. Nephrology Nurse Journal, 35, 232-248. 

  23. Paik, H. J. (199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self-care and self-care behavior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who recevied hemodialysis 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Paik, U. N. (1998). Comparison study on educational need betwee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having hemodialysis & peritoneal di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5. Schmidt, R. J., Domico, J. R., Sorkin, M. I., & Hobbs, G. (1998). Early referral and its impact on emergent first dialysis, health care costs, and outcome.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 32, 278-283. 

  26. Song, E. S. (2002). Study on the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and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7. Stack, A. G. (2003). Impact of timing of nephrology referral and pre-ESRD care on mortality risk among new ESRD 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41, 505-507. 

  28. Susan, A. H. (2009). Optimal referral is early referral. Peritoneal Dialysis International, 29, 128-131. 

  29.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06).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5, 381-404. 

  30. The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02).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chronic kidney disease: Evaluation, classification, and stratification.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39, S1-266. 

  31. The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03).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bone metabolism and disease in chronic kidney disease.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42, S1-201. 

  32. Victor, L., Marisa, M., Margarita, R., Domingo, H., Armando, T., & Juan, C. A. (2004). Predialysis nephrologic care and a functioning arteriovenous fistula at entry are associated with better survival in incident hemodialysis patients: An observational cohort study.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43, 999-1007. 

  33. Yoon, Y. D. (2005). The reasons for use of temporary catheter instead of arteriovenous fistula at the start of chronic hemodialysis 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4, 895-9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