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투석치료 중인 만성신부전 환자의 영양지식 수준과 식사요법 실천 정도 및 교육요구도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Diet Practice and Education Demands in 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4 no.2, 2018년, pp.117 - 140  

김수민 (인하대병원 영양팀) ,  임현숙 (인하대병원 영양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patients is increasing and their mean age is also increasing. Proper dietary adjustments are necessary to prevent protein-calorie malnutrition or complications but it is difficult for dialysis patients to adapt to diet therapy due to stress or anorexia. Education does not consider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신부전이란 무엇인가? 만성신부전은 당뇨병, 고혈압, 만성사구체신염 등으로 인해 신장에 구조적ㆍ기능적 손상이 일어나 신장 기능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질환이다(Kim 등2001). 신장 기능이 5% 이하로 떨어지면 말기신부전(End Stage Renal Disease, ESRD)이라고 하며, 신대체요법에 의지해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혈액투석을 하는 투석 환자들에게 식사조절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혈액투석을 5년 이상 시행한 환자는 45%를 차지한다. 투석치료를 하는만성신부전 환자는 투석 과정에서 많은 양의 단백질손실이 일어나 단백질-에너지 영양실조가 많이 발생하며, 이는 이환율 및 치사율을 결정하는 중요인자로알려져 있다. 혈액투석은 신장 기능의 많은 부분을 수행할 수 있지만 정상적인 신장만큼 노폐물, 수분, 전해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줄 수 없기 때문에 투석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적절한 식사조절이 필요하다(Blackburn 1977). 그러나 투석 환자들은 식사 제한에대한 스트레스나 식욕부진 등으로 식사요법 적응을힘들어하며, 영양실조 및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신대체요법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신장 기능이 5% 이하로 떨어지면 말기신부전(End Stage Renal Disease, ESRD)이라고 하며, 신대체요법에 의지해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신대체요법으로는 신장이식과 혈액투석, 복막투석 등의 투석요법이 있다(Shin 1996). 대한신장학회(ESRD RegistryCommittee 2017)의 ‘2016년 우리나라 신대체요법의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신대체요법을 받은 환자는 93,884명이며, 특히 혈액투석을 시행하는 환자의 수는 68,852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lackburn SL (1977): Dietary compliance of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J Am Diet Assoc 70(1):31-37 

  2. ESRD Registry Committe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7):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Insan memorial dialysis registry, 2016-.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Seoul. pp.1-8 

  3. Hwang KM (2007): Study on the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and the needs for educa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Doctoral degree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7-20 

  4. Jung YH, Ko SJ, Kim EJ (2013): A study on the effective chronic disease management. Research repor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jong. pp.79-104 

  5. Kim SS, Jo HS, Kang MS (2017):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hemodialysis patients on diet knowledge, diet self-care compliance, and physiological indices. J Korean Biol Nurs Sci 19(2):51-59 

  6. Kim YH, Seo HY, Kim SR (2001): A study of the nutritional status,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of the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Nutr 34(8):920-928 

  7. Lee JJ, Kim JM, Kim YR (2013): Association of diet-related quality of life with dietary regimen practic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end-stage renal disease patients with hemodialysis. Korean J Nutr 46(2):137-146 

  8. Lee SH (2016): A survey of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in therapeutic diet for patients with diabetic nephropathy. Masters degree thesis. Inha University. pp.36-39 

  9. Lim HS (2004): Level of knowledge and educational demands in pre-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22-41, 64-73 

  10. Na YJ (2013): The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on hyperphosphatemic end-stage renal failure patients. Doctoral degree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62-66 

  11. Park KA, Sim YM, Kim SB, Choi KS (2006): A study of the nutritional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Nutr 39(2):133-144 

  12. Seo JY, Kim NH, Heo YR (2012):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during dialysis in patients undergoing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Korean J Nutr 45(1):30-43 

  13. Shin MJ (1996): Experience of hemodialysis in the chronic renal failure cli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3(2): 235-246 

  14. Yang EK (2015): Hemodialysis patients' experience of adapting to dietary therapy. Masters degree thesis. Sahmyook University. pp.52-57, 81-92 

  15. Yeom EY, Seo KS (2014): Nurses' experience of managing diet and fluid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Rehabit Nurs 17(1):27-37 

  16. Yun SJ, Lee YH (2012): Factors influencing uncertainty in dialysis patient by duration of dialysis. Korean J Adult Nurs 24(6):597-6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