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디포넥틴(adiponectin) 관련 연구논문 분석
The analysis of Research about Adiponectin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2 no.3, 2010년, pp.175 - 185  

변영순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on intervention using adiponectin and to find the utilization in nursing.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rom 2005 to 2009, the articles were searched electronically using the data base with the key wor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아디포넥틴을 사용한 실험연구의 중재 내용과 효과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아디포넥틴의 분비 촉진 및 활성 증가를 위한 중재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측정한 무작위 통제 실험연구들을 대상으로 중재 내용과 효과를 분석하여 간호학에서 아디포넥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 논문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발표된 논문 중 무작위 실험 연구 및 인간을 대상으로 한 논문 총 89편(국내 41편, 국외 48편)이었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에서 아디포넥틴 관련 실험연구의 중재 내용과 효과를 통하여 간호학에서 생리지표로서 아디포넥틴을 활용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선행되었던 아디포넥틴 관련 실험연구의 중재 내용과 효과를 분석하여 아디포넥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증가시키고, 간호학에서 생리적 지표로써 아디포넥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체계적이고 확고한 근거중심 간호연구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인 아디포넥틴은 세계 적인 건강문제로 예방 및 관리가 절실한 비만과 대사성 질환 발생에 영향을 주는 단백질로 밝혀지면서 생명과 건강을 다루는 분야에서 그 활용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디포넥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간호학에서 아디포넥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증가시키고, 비만 및 대사증후군 간호에 생리적 지표로서 아디포넥틴을 활용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선행되었던 아디포넥틴 관련 실험연구의 중재 내용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조직이란 무엇인가? 지방조직은 에너지원으로 지방을 축적할 뿐 아니라 생물활성 단백질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으로서 지방조직에서 분비된 후 기타 기관에서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아디포카인(adipokine) 또는 아디포사이토카인(adipocytokine)이라고 한다(Funahashi et al., 1999).
아디포넥틴의 특징은 무엇인가? 아디포넥틴은 분비량이 감소되면 지방축적량이 증가되는 고유의 특성과 함께 혈중 지방산 농도 및 간과 근육에서 중성 지방 수치를 감소시켜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키며, 혈관 내피세포에 TNF-a 유발 단핵세포 유착을 감소시키고, 혈소판을 억제하여 항염증과 항아테롬성 효과를 초래한다. 또한 근에서는(acetyo AcA-carboxylase) ACC의 인산화, 지방산소비, 혈당 섭취, 그리고 젖산(lactate) 생성을 자극하며, 간에서는 ACC의 인산화 및 당신생 과정에 포함된 분자들을 감소시킴으로써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Yamauchi et al.
지방조직에서 분비된 후 활성을 갖는 단백질인 아디포카인은 어떤 것들을 포함하고 있나? , 1999). 아디포카인은 종양괴사인자-a(tumor necrosis factor-a, TNF-a), 렙틴(leptin), 인터루킨-6 (interleukin-6, IL-6), 레지스틴(resistin), 아디포넥틴(aditonectin)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Funahashi et al., 1999), 이 중 아디포넥틴은 1995년 Scherer, Williams, Fogliano, Baldini와 Lodish에 의해 인간의 혈장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ita, Y., Kihara, S., Ouchi, N., Takhashi, M., Maeda, K., Miyagawa, J., et al. (1999). Paradoxical decrease of an adipose-specific protein, adiponectin, in obesity.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57, 79-83. 

  2. Boudou, P., Sobngwi, E., Mauvais-Jarvis, F., Vexiau, P., & Gautier, J. F. (2003). Absence of exercise-induced variations in adiponectin levels despite decreased abdominal adiposity and improved insulin sensitivity in type 2 diabetic men.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149, 421-424. 

  3. Cavusoglu, E., Ruwende, C., Chopra, V., Yanamadala, S., Eng, C., Clark, L. T., et al. (2006). Adiponectin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all-cause mortality, cardiac mortality, and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presenting with chest pain. European Heart Journal, 27, 2300-2309. 

  4. Chang, S. A., Son, H. Y., Lee, J. M., Sohn, T. S., Kwon, H. S., Son, H. S., et al. (2007). The differences of circulating adiponectin levels and multimerization according to obesity in type 2 diabetes mellitus of men. Korean Diabetes Journal, 31, 243-252. 

  5. Esposito, K., Pontillo, A., Di., Palo, C., Giugliano, G., Masella, M., Marfella, R., et al. (2003). Effect of weight loss and lifestyle changes on vascular inflammatory markers in obese women: A randomized trial.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 1799-1804. 

  6. Funahashi, T., Nakamura, T., Shimomura, I., Maeda, K., Kuriyama, H., Takahashi, M., et al. (1999). Role of adipocytokines on the pathogenesis of atherosclerosis in visceral obesity. Internal Medicine, 38, 202-206. 

  7. Hur, K. H., Won, Y. L., Ko, K. S., & Kim, K. W. (2009). Effects of obesity on the physiological levels of adiponectin, leptin and diagnostic indices of metabolic syndrome in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44-54. 

  8. Kim, D. M., Kim, B. Y., Kim, Y. K., Kim, I. J., Kim, T. J., Kim, T. H., et al. (2006). Adiponectin and vascular disease. BioWave, 8(11), 1-8. 

  9. Kim, J., Choe, M. A., Kim, Y. Kim, J., Kim, H. S., Park, M. J., et al. (2006). An analysis on the researche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 in major korean nursing journal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8(2), 61-72. 

  10. Kim, J. S. (2009). Effects of walking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on adipocytokine and metabolic hormone in obese juveni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1. Kim, S. H., Lee, Y. M., Lee, J. M., Kim, T. Y., & Choi, S. W. (2009).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change of leptin, adiponectin and bloods lipids change of obes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17, 221-226. 

  12. Liberati, A., Altman, D. G., Tetzlaff, J., Mulrow, C., Gotzsche, P. C., Ioannidis, J. P., et al. (2009).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The British Medical Journal, 339, b2700. 

  13. Lim, S., & Jang, H. C. (2008). Clinical implication of adiponectin. Korean Diabetes Journal, 32(2), 85-97. 

  14. Marcell, T. J., McAulley, K. A., Traustadottir, T., & Reaven, P. D. (2005). Exercise training is not associated with improved levels of Creactive protein or adiponectin. Metab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54, 533-541. 

  15. Marsor, S. P., Mehta, S. K., Frutkin, A., House, J. A., McCrary, J. R., Kulkarni, K. R., et al. (2008). Low adiponectin levels are associated with atherogenic dyslipidemia and lipid-rich plaque in nondiabetic coronary arteries. Diabetes Care, 31, 989-994. 

  16.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2002). Third report of the expert panel of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s Treatment Panel III). NIH Pub. No. 02-5215. Bethesda, MD: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17. Oh, E. G., Kim, S. H., Hyun, S. S., .Kang, M. S., & Bang, S. Y. (2007). The 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72-80. 

  18. Pischon, T. (2009). Use of obesity biomarkers in cardiovascular epidemiology. Disease Markers, 26, 247-263. 

  19. Pischon, T., Girman, C. J., Hotamisligil, G. S., Rifai, N., Hu, F. B., & Rimm, E. B. (2004). Plasma adiponectin levels an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in me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1, 1730-1737. 

  20. Ross, R., Pedwell, H., & Rissanen, J. (1995). Effects of energy restriction and exercise on skeletal muscle and adipose tissue in women as measur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1, 1179-1185. 

  21. Scherer, P. E., Williams, S., Fogliano, M., Baldini, G., & Lodish, H. F. (1995). A novel serum protein similar to C1q, produced exclusively in adipocyte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0, 26746-26749. 

  22. Shin, G. S., Lee, K. S., & Jeong, J. S. (2007). Review of cytokines for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9, 153-158. 

  23. Shin, H. S., Hyun, M. S., Ku, M. O., Cho, M. O., Kim, S. Y., Jeong, J. S., et al. (2010).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focused on research trends, intervention studies, and level of evidence in the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139-149. 

  24. Suk, D. C., Shin, Y. A., & Lim, K. I. (2009).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adipocytokine in obese peri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0, 693-703. 

  25. Tokushige, K., Hashimoto, E., Noto, H., Yatsuji, S., Taniai, M., Torii, N., et al. (2009). Influence of adiponectin gene polymorphisms in Japanese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ournal of Gastroenterology, 44, 976-982. 

  26. Webb, C. (2003). An analysis of recent publications in JCN: Sources methods and topic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2, 931-934. 

  27. Yamauchi, T., Kamon, J., Minokoshi, Y., Ito, Y., Waki, H., Uchida, S., et al. (2002). Adiponectin stimulates glucose utilization and fattyacid oxidation by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Nature Medicine, 8, 1288-1295. 

  28. Yatagai, T., Nishida, Y., Nagasaka, S., Nakamura, T., Tokuyama, K., Shindo, M., et al. (2003).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traininginduced increase in insulin sensitivity and adiponectinemia in healthy men. Endocrine Journal, 50, 233-238. 

  29. Yun, J. E., Sull, J. W., Lee, H. Y., Park, E., Kim, S., Jo, J., et al. (2009). Serum adiponectin as a useful marker for metabolic syndrom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Diabetes Metabolism Research and Reviews, 25, 259-2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