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마비 환자의 팔 뻗기 과제 수행 시 목표거리와 건·환측 사용에 따른 운동시간과 체간의 움직임 분석
Analysis of Movement Time and Trunk Motions According to Target Distances and Use of Sound and Affected Side During Upper Limb Reaching Task in Patients With Hemiplegia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7 no.1, 2010년, pp.36 - 42  

김기송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유환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정도헌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전혜선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및 보건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reaching distance on movement time and trunk kinematics in hemiplegic patients. Eight hemipleg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ide (sound side vs. affected side) and target distance (70%, 90%, 110%, and 130%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편마비 환자에서 거리 변화에 대한 팔 뻗기 동작 시 보상적 체간 움직임의 형태를 제시하여 운동손상환자들의 팔 뻗기 과제 수행 시 체간과 팔의 정상적인 움직임의 재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편마비 환자는 정상인과 비교하여 환측과 건측 팔 뻗기 과제 수행 시 체간의 회전 보다 체간의 굴곡을 이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손상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이 목표물을 향해 팔 뻗기 과제를 수행할 때, 목표물의 거리에 따라 과제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체간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목표거리에 따른 건측과 환측의 상지-체간 운동협응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팔 길이 이내의 목표거리로 팔을 뻗을 때보다 팔 길이 이상의 목표거리로 팔을 뻗을 때 건측과 환측 모두 운동시간, 체간 굴곡각도 및 체간 회전각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손상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이 목표물을 향해 팔 뻗기 과제를 수행할 때, 목표물의 거리에 따라 과제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체간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목표거리에 따른 건측과 환측의 상지-체간 운동협응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팔 길이 이내의 목표거리로 팔을 뻗을 때보다 팔 길이 이상의 목표거리로 팔을 뻗을 때 건측과 환측 모두 운동시간, 체간 굴곡각도 및 체간 회전각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지동작의 성공적인 수행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이루어지나? 상지의 움직임들은 여러 상지 관절들의 섬세한 동작 (fine motor skill)과 큰 동작(gross motor skill)들의 복합적인 협응(coordination)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지동작의 성공적인 수행은 관절가동범위, 연부조직의 유연성, 근육의 특성, 생체역학 등과 같은 근골격계 요인들과 움직임과 감각의 처리과정, 움직임의 적응과 예측 등의 신경학적 요인들에 의해 이루어진다(Shumway-Cook과 Woollacoott, 2006). 정상인이 팔 뻗기(reaching)를 수행 할 때, 잡으려는 목표물이 팔 길이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체간은 상지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자세 안정화(postural stabilization)의 역할을 담당한다.
뇌졸중이나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경우 무엇 때문에 팔 뻗기 동작이 어려워지나? 뇌졸중이나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경우 환측에서 나타나는 경직(spasticity), 근력 및 감각의 저하, 체간의 불균형 등으로 팔 뻗기 동작이 어려워진다(Cirstea와 Levin, 2000; Levin 등, 2000; Roby-Brami 등, 1997). 뇌졸중에 의해 발생하는 편마비 현상은 조절된 체간의 움직임을 방해하여 물체를 향한 팔 뻗기를 어렵게 한다(Cirstea과 Levin, 2000; Roby-Brami 등,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유원규, 박지혁, 유은영 등. 팔뻗기 과제 수행시 수행거리가 체간과 팔의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04;12(2):61-71. 

  2. Cirstea MC, Levin MF. Compensatory strat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2000;123(Pt 5):940-953. 

  3. Gronley JK, Newsam CJ. Mulroy SJ, et al. Electromyographic and kinematic analysis of the shoulder during four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men with C6 tetraplegia. J Rehabil Res Dev. 2000;37(4):423-432. 

  4. Judd CM, McClelland GH, Ryan CS. Data Analysis: A model-comparison approach. San Diego,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 1989. 

  5. Kaminski TR, Bock C, Gentile AM. The coordination between trunk and arm motion during pointing movements. Exp Brain Res. 1995;106(3):457-466. 

  6. Koshland GF, Galloway JC, Nevoret-Bell CJ. Control of the wrist in three-joint arm movements to multiple directions in the horizontal plane. J Neurophysiol. 2000;83(5):3188-3195. 

  7. Levin MF, Cirstea CM, Archambault P, et al. Impairment and compensation of reaching in hemiparetic and cerebral palsied patients. Bernstein's Traditions in Motor Control. 2001. 

  8. Levin MF, Michaelsen SM, Cirstea CM, et al. Use of the trunk for reaching targets placed within and beyond the reach in adult hemiparesis. Exp Brain Res. 2002;143(2):171-180. 

  9. Levin MF, Selles RW, Verheul MH, et al. Coordination of agonist and antagonist muscles in stroke patients: Implications for normal motor control. Brain Res. 2000;853(2):352-369. 

  10. Mark LS, Nemeth K, Gardner D, et al. Postural dynamics and the preferred critical boundary for visually guided reaching. J Exp Psychol Hum Percept Perform. 1997;23(5):1365-1379. 

  11. Page SJ. Levine P, Sisto S, et al. Stroke patients' and therapists' opinion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lin Rehabil. 2002;16(1):55-60. 

  12. Roby-Brami A, Fuchs S, Mokhtari M, et al. Reaching and grasping strategies in hemiparetic patients. Motor Control. 1997;1(1):72-91. 

  13. Roby-Brami A, Feydi A, Pierot L, et al. Recovery of reaching and grasping in hemiparetic patients. Preliminary analysis of the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 Progress in motor control. Penn State University, 1999. 

  14. Roby-Brami A, Feydy A, Combeaud M, et al. Motor compensation and recovery for reaching in stroke patients. Acta Neurol Scand. 2003;107(5):369-381. 

  15. Rose SA, DeLuca PA, Davis RB, et al. Kinematic and kinetic evaluation of the ankle after lengthening of the gastrocnemius fascia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Pediatr Orthop. 1993;13(6):727-732. 

  16. Saling M, Stelmach GE, Mescheriakov S, et al. Prehension with trunk assisted reaching. Bebav Brain Res. 1996;80(1-2):153-160. 

  17. Shurnway-Cook A, Woo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444. 

  18. Thielman GT, Dean CM, Gentile AM. Rehabilitation of reaching after stroke: Task-related training versus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0):1613-1618. 

  19. Thielman GT, Kaminski T, Gentile AM Rehabilitation of reaching after stroke: Comparing 2 training protocols utilizing trunk restraint.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8;22(6):697-705. 

  20. Tonk KY, Mak AF. Development of computer-based environment for simulating the voluntary upper-limb movements of persons with disability. Med Biol Eng Comput. 2001;39(4):414-421. 

  21. Wang J, Stelmach GE. Coordination among the body segments during reach-to-grasp action involving the trunk. Exp Brain Res. 1998;123(3):346-3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