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MFM-88과 GMFM-66의 신뢰도와 타당도 비교
Comparis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Between GMFM-88 and GMFM-66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7 no.3, 2010년, pp.40 - 47  

박은영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중등특수교육과) ,  박소연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88-item version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88) and a 66-item version of GMFM (GMFM-66)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he GMFM was completed in 154 children with CP (age range = 6~12). The internal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GMFM에 대한 국내 연구는 GMFM-88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소수 있을 뿐, GMFM-88의 문제점을 보완한 GMFM-66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GMFM-66이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GMFM-66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므로, 이 연구에서는 GMFM-88과 GMFM-66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비교하여, GMFM-66의 국내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임상에서는 대동작 기능 평가도구 중 일부 영역만을 선택하여 환자의 기능적 요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선택적으로 측정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현재 치료적 중재와 관련 없는 문항은 제거하고 평가하여 아동의 기능적 변화에 대한 측정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Russell 등(1989)의 연구에 의하면 각 영역별 점수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는 도구 전체보다 낮은 결과를 보여서 일부 영역만을 평가하기 보다는 전체 영역에 해당하는 항목을 단일차원성을 만족하도록 항목을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했다.
  • 타당도 비교 결과 두 도구 모두 단일차원성 가정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GMFCS 등급에 따른 집단 간 비교를 통해 판별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GMFM-66의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한국어로 번안된 GMFM-88과 GMFM-66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처음으로 보고하여, 임상에서 적절한 도구의 선택 시 활용될 수 있는 심리측정학적 특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 이 연구에서는 GMFM-88과 GMFM-66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비교하여, GMFM-66의 국내 적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6~12세 뇌성마비 아동 154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GMFM-88과 GMFM-66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기 위해, 뇌성마비 아동 154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문항내적 일치도를 통해 신뢰도를 알아보았을 때, GMFM-88은 α=.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동작 기능 평가도구는 무엇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인가? 대동작 기능 평가도구(GMFM-88)는 뇌성마비와 다운증후군 아동의 대동작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구이다(Bottos 등, 2003; Park, 2005; Tieman 등, 2004). 대동작 기능 평가도구는 누운 자세(lying and rolling), 앉은 자세(sitting), 기기(crawling)와 무릎서기(kneeling), 서기(standing), 걷기(walking)와 뛰기(running) 및 도약(jumping)의 5개 영역을 평가하기 위한 88개 항목(GMFM-88)으로 개발된 도구로(Russell 등, 2002),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뇌성마비 아동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는데 있어서 다른 도구들 보다 민감한 것으로 보고되었다(Shi 등, 2006). 그러나 GMFM-88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비해 각 영역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서열척도로 구성되어 있어서 총점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서로 다른 수준의 운동 기능을 보인다고 해도 이론적으로는 동일한 점수를 보일 수 있는 등의 측정상의 제한점이 있다고 보고되었다(Avery 등, 2003; Russell 등, 1989).
GMFM의 각 항목에 대한 점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GMFM의 각 항목에 대한 점수는 0~3점을 부여하며 점수가 낮을수록 기능수준이 낮음을 의미한다. GMFM의 측정자간 상관계수는 .
본 연구에서 사용한 GMFCS의 6 ~12세 아동의 평가 기준은 무엇인가? GMFCS는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장애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 2세 미만, 만 2~4세, 만 4~6세, 만 6~12세의 연령에 따라 나누어 5 등급으로 분류를 한다(Palisano 등, 1997). 이 연구에서는 6~12세 아동의 평가 기준인 등급 Ⅰ은 아무런 제한 없이 걸을 수 있는 경우, 등급 Ⅱ는 제한은 있지만 걸을 수 있는 경우, 등급 Ⅲ은 몸통 지지 없이 지팡이나 목발 또는 보행기를 사용해 걸을 수 있는 경우, 등급 Ⅳ는 제한은 있지만 전동 휠체어나 다른 이동수단을 사용하여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 등급 Ⅴ은 보조기구를 사용해도 이동성에 심각한 제한이 있는 경우에 따라 분류하였다(Morris와 Bartlett, 2004). Bodkin 등(2003)은 GMFCS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박은영.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분류 체계와 기능적 수행도 평가 간의 상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9:9(7):248-256. 

  2. 이영준. 요인분석의 이해. 서울, 석정, 2002. 

  3. 이충휘, 박소연. 대동작 기능 평가도구(GMFM)의 Rasch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4a;11(2):9-16. 

  4. 이충휘, 박소연. 대동작 기증 평가도구 Workshop. 연세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2004b. 

  5. 이충휘, 황선관, 최홍식. 대동작 측정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5;2(1):1-13. 

  6. Avery LM, Russell DJ. Raina PS, et al. Rasch analysis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Validating the assumptions of the Rasch model to create an interval-level measure. Arch Phys Med Rehabil. 2008;84(5):697-705. 

  7. Bagley Mt Gonon G, Oeffinger D, et al. Outcome assessment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rt II: Discriminatory ability of outcome tools. Dev Med Child Neurol. 2007;49(3):181-186. 

  8. Bax M, Goldstein M, Rosenbaum P, et al. Propos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April 2005. Dev Med Child Neurol. 2005;47(8):571-576. 

  9. Bodkin AW, Robinson C, Perales FP.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cerebral palsy. Pediatr Phys Ther. 2003;15(4):247-252. 

  10. Bottos M, Benedetti MG, Salucci P, et al. Borilinum toxin with and without casting in ambulant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A clinical and functional assessment. Dev Med Child Neurol. 2003;45(11):758-762. 

  11. Cronbach LJ. Coefficient alpha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ests. Psychometrika. 1951;16(3):297-334. 

  12. Gorter JW, Rosenbaum PL, Hanna SE, et al. Limb distribution, motor impairment, and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4;46(7):461-467. 

  13. Hambleton RK, Swaminathan H, Rogers HJ. Fundamentals of Item Response Theory.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1991. 

  14. Kaiser HF.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1974:39(1):31-36. 

  15. Ketelaar M, Vermeer A, Helders PJ. Functional motor abil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assessment measures. Clin Rehabil. 1998;12(5):369-380. 

  16. McDonald R. Test Theory: A unified treatment.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9. 

  17. Morris C, Barlett 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mpact and utility. Dev Med Chid Neurol. 2004;46(1):60-65. 

  18. Nunnally JC, Bernstein IH.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Inc., 1994. 

  19. Oeffinger D, Gorton G, Nagley A, et al. Outcome assessment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rt I: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GMFCS levels I to III. Dev Med Child Neurol. 2007;49(3);172-180. 

  20. Park S. Application of Rasch Analysis to the Korean Version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05. 

  21. Park S, Yi C. Scaling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MF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05;12(4):20-25. 

  22. Palisano R, Rosenbaum P, Walter S, et al.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a system to classify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1997;39(4):214-223. 

  23. Rosenbaum PL. Russel DJ, Cadman DT, et al. Issues in measuring change in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pecial communication. Phys Ther. 1990;70(2):125-131. 

  24. Russell DJ, Avery LM, Rosenbaum PL, et al. Improved scaling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Evidenc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Phys Ther. 2000;80(9):873-885. 

  25. Russell DJ, Rosenbaum PL, Avery LM, et al.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66 & GMFM-88): User's manual. Ontario, Canada, MacKeith Press, 2002. 

  26. Russell DJ, Rosenbaum PL, Cadman DT, et al.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A mean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theropy. Dev Med Child Neurol. 1989;31(3);341-352. 

  27. Shi W. Wand SJ. Liao YG,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MFM-66 in 0- to 3-year-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m J Phys Med Rehabil. 2006;85(2):141-1477. 

  28. Streiner DL. Starting at the beginning: An introduction to coefficient alpha and internal consistency. J Pres Assess. 2003;80(1):99-103. 

  29. Tieman BJ, Palisano RJ, Gracely EJ, et al. Gross motor capability and performance of mo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comparison across home, school, and outdoors/community settings. Phys Thys Ther. 2004;84(5):419-429. 

  30. van Ravesteyn NT, Dallmeijer AJ, Scholtes VA, et al. Measuring mobility limitation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mobility questionnaire (MobQues). Dev Med Child Neurol. 2010;52(2):194-199. 

  31. Waller NG, Kojetin BA, Bouchard TJ, et al.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religious interests, attitudes, and values: A study of twins reared apart and together. Phychological Science. 1990;1(2):138-142. 

  32. Wang HY, Yang YH. Evaluating the reaponsiveness of 2 versions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ay. Arch Phys Med Rehabil. 2006;87(1):51-56. 

  33.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