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계획을 위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valuating Factors of the Community for the Planning of a Sustainable Housing Complex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1 no.1, 2010년, pp.161 - 169  

조인숙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development of housing estates, 'Sustainable development' is indispensable to achieving quality in our living environments, and to minimize any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may threaten our way of life. Developed from the 1970's,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come the global paradigm. Deter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 및 도시 계획의 변화하는 패러다임 속에서의 지속가능성과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파악한 후, 문헌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속가능성의 평가항목 과 커뮤니티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형태인 공동주택이 지속가능한 공동주택이 되기 위한 커뮤니티 평가요소를 도출하여 지속가능한 공동주택 계획 및 커뮤니티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을 사회적 지속성, 경제적 지속성, 환경적 지속성으로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공동주택 커뮤니티 평가요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평가요소로 추출하도록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지속가능한 공동주택 계획을 위한 커뮤니티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로, 지속가능성과 커뮤니티 관련 문헌에 대해 내용을 분석하였다. 공동주택 계획을 위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평가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평가요소의 분석틀은<표 1>과 같이 정의하고 이에 대한 내용 타당도 I)는 전문가 1인의 검토를 받았다.
  • 본 연구는 공동주택계획을 위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로서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 주택 및 도시계획 패러다임에서 지속가능성과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공동주택계획을 위한 지속가능성과 커 유니티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지속가능성별 구체적인 커뮤니티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형태인 공동주택이 지속가능한 공동주택이 되기 위한 커뮤니티 평가요소를 도출하여 지속가능한 공동주택 계획 및 커뮤니티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건설교통부(2006). 도시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국제 심포지엄. 

  2. 남용훈. 신중진(2005). 커뮤니티 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5-18. 

  3. 권오정. 곽인숙. 이경희. 최재순(2001). 새천년의 주민복지를 위한 커뮤니티 센터의 활동프로그램 제안. 대한가정학회지 39(8), 19-35. 

  4. 김영환(2001). 영국의 지속가능한 주거지 재생계획의 특성. 국토계획 36(1), 151-167. 

  5. 김정현. 윤아람. 하미경(2007). 아파트 단지 내 고령 친화적 커뮤니티 시설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7(1), 631-634. 

  6. 김흥순(2007). 뉴어바니즘의 국내적용가능성 분석: 수도권 주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55, 155-178. 

  7. 대한주택공사(2001).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신주거지 계획. 대한주택공사. 

  8. 마쓰나가야스미쓰(2006). 도시계획의 신조류. 한울. 

  9. 백해선. 서수정(2004). 공동주택단지내 부대복리시설의 공간 변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1), 219-230. 

  10. 서수정(2007).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7), 125-143. 

  11. 성희자. 전보경(2006). 농촌 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7, 149-170. 

  12. 손세관. 김원경(2009).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의 이용실태 및 적정 규모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4), 145-156. 

  13. 안일근(2003). 주민자치센터의 생활방법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야사미아스시(2003). 주거환경 평가방법과 이론. 시공문화사. 

  15. 윤정숙. 김선중. 박경옥(1996). 주거학 조사분석방법. 문운당. 

  16. 이강희. 황은경(2002). 건물의 지속가능성 평가항목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4), 55-62. 

  17. 이규인(2004).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개발을 위한 계획이론 및 개념 모델 연구. 한국과학재단. 

  18. 이규인 외 1(2008). 초고층 주거복합건축물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가중치 설정 및 모의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3), 23-32 

  19. 이원훈. 이창수(2007). 미래지향적인 커뮤니티 시설유형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4), 95-113 

  20. 임연수. 김진균(2009). 공동주택 옥외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세부기준 도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3), 59-66 

  21. 임희지(2001). 지속가능한 도시조성을 위한 신-전통주의계획이론 분석 연구. 국토연구 32, 95-111 

  22. 정승진.이원영.강순주(2003). 아파트 거주자의 커뮤니티 공간과 프로그램 이용 및 요구도.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1), 41-50 

  23. 조유정. 이경희. 하미경(2006).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거주 후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6(1), 33-36 

  24. 조성희. 강혜경(2000). 공동주택단지에서의 주거공동체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11, 109-114 

  25. 천현숙(2001).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특성과 커뮤니티 특성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9(1), 143-172 

  26. 최병두(2000). 삶의 질로서 공간의 유형화와 공동체. 대한지리학회지 35(2), 321-340 

  27. 한민정. 이상호(2005). 코하우징에 적용된 커뮤니티 개념의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6(6), 93-100 

  28. 황소윤. 김광배(2007). 지속가능한 도시건축이론, New Urbanism의 공간구조 특성을 적용한 주거. 휴양복합시설 계획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7(1), 489-493 

  29. 홍이식. 정재용(2004). 집합주거단지에서 지역성을 통한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4(2), 27-30 

  30. Elkin, t., Mclaren, D. and Hillman, M. (1991). Reviving The City: Towards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London: Friends of the earth. 

  31. G.H, Hillery (1955).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