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비만 판정 지수의 비만 기준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Obesity Judgment Criteria in the Frequently used Obesity Indice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8 no.1, 2010년, pp.93 - 108  

이경화 (가톨릭대학교 의류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ddot{o}$hrer index, Vervaeck index and Body Mass Index(BMI) are frequently used in order to judge obese subjects in clothing & textiles field. However, there are no certain criteria of judging the degree of obesity. Each researcher utilized these obesity indices according to their ow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류학 분야 비만 관련 연구에서 판정 도구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비만 판정 지수 중 Röhrer 지수와 Vervaeck 지수의 적용시 적합한 비만 판정의 기준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의류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비만 판정 지수 중 Röhrer 지수, Vervaeck 지수, BMI 지수의 세 가지를 선정하여 선행 연구에 의거한 각 지수별 비만 판정의 기준을 제시하였고, 세 지수 중 타 측정치와의 상관이 가장 높은 지수를 선정하였다. 또한, 각 지수의 주요 백분위값에 따른 측정치의 차이 값을 분석하여 세 지수 중 가장 비만 정도를 판별하는데 효과가 있는 지수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 의류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비만 판정 지수 중 Röhrer 지수, Vervaeck 지수, BMI 지수의세 가지를 선정하여 비만 판정시 신뢰성이 높은 지수를 선정하고, 또한 각 지수별 비만 판정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 판정을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비만 판정을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와 체지방율을 측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2). 체지방율의 직접 측정은 가장 정확한 비만 판정의 방법이지만 별도의 기구 및 장비가 필요하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비만 판정 지수들이 사용되고 있다.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의 불균형으로 과잉 섭취된 에너지가 체내의 지방조직에 중성지방으로서 축적된 상태로 건강 위험 요인에 영향을 미쳐 질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BMI 비만 판정 적용 사례를 근거로 75% tile 이상 100% tile까지를 총 5개 집단으로 구분한 후 집단에 따른 주요 측정치 26개 항목의 차이를 분석한결과 어디 부위가 BMI의 증가에 따른 측정치의 차이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는가? 겨드랑둘레, 위팔둘레, 팔꿈치둘레, 손목둘레의 경우도 BMI 백분위가 커질수록 그 측정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이다. 결론적으로, 목옆젖꼭지길이의 경우와 젖가슴둘레, 위팔둘레의 경우 BMI의 증가에 따른 측정치의 차이가 가장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타 비만 판정 지수별 측정치 차이 분석에서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던 엉덩이둘레의 경우도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고병교 (1999). "한국인 비만지수 설정에 대한 연구." 육군사관학교 체육학과 논문. 

  2. 고진호 (2003). "성인 여성의 비만 평가."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기술표준원 (2004). 제 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 보고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4. 김진아 (2008). "비만도와 실루엣 분류에 따른 20대 여성의 체형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권 3호. 

  5. 김진호, 박수찬, 장명현, 김철중 (1989). "한국인 체격과 성장발육에 관한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권 1호. 

  6. 김한수 (2003). "대학생들의 비만 인식도 및 실태에 관한 연구." Korea Sport Research 16권 4호. 

  7. 대한비만학회 (2005). 한국인에서 비만 및 복부비만 기준을 위한 체질량 지수 및 허리둘레 분별점 설정 사업 보고서. 대한비만학회. 

  8. 박용수 (1997).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도 및 체지방분포." 한양의대학술지 17권 1호. 

  9. 박우미 (1993). "우리나라 女性의 身體에 대한 意識構造: 光州地域을 中心으로." 대한가정학회지 92권. 

  10. 서추연 (2000). "남녀 고등학생들의 성장에 따른 체격조사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문집 12권. 

  11. 석혜정 (2003). "성인 여성의 연령 비만도에 따른 기성복 맞음새 선호 경향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41권 9호. 

  12. 설경희, 서미아 (2002). "비만체형을 위한 신축성 직물 스커트의 여유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권 4호. 

  13. 손부현, 홍경희, 박세진 (2005). "중년기 비만 여성을 위한 기존 재킷의 패턴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4권 3호. 

  14. 손희순 (1989). "우리나라 중년기 여성의 체형과 의복치수 규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심부자 (1996). 피복인간공학. 서울: 교문사. 

  16. 윤지원 (2007). "20대 비만 남성을 위한 의복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캐주얼 의류를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영란 (1982).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영주 (1999). "비만체형의 슬랙스 원형 설계를 위한 평면재단과 입체재단의 비교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8권 2호. 

  19. 이영희 (1987). "비만 체형을 위한 기본 Slacks 원형연구: 중년기 부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70권. 

  20. 이정원, 이미숙, 김정희, 손숙미, 이보숙 (2007). 개정판 영양판정. 서울: 교문사. 

  21. 이종헌. 전은정 (1998). "사춘기 여학생의 초조와 체격 요인간의 상관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응용과학연구논집 6권 2호. 

  22. 장유경, 정영진, 문현경, 윤진숙, 박혜련 (2006). 개정판 영양판정. 서울: 신광출판사. 

  23. 전정혜, 성수광 (2004). "20-30대 성인 여성의 신체 계측치와 체지방의 상관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권 5호. 

  24. 질병관리본부 (2008). 2007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2007].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25. 최영순 (2000). "Plus-size 소비자의 의복행동에 따른 one-to-one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최혜선, 이진희 (1995). "의복설계를 위한 비만 여성체형의 연령층별 특징." 한국의류학회지 19권 5호. 

  27. 하희정 (2008). "플러스사이즈 여성 온라인 의류 쇼핑몰의 정장 바지 사이즈 현황 및 맞음새 분석."복식 58권 1호. 

  28. 한애미, 박정순, 이정순 (1987). "비만 체형을 위한 기본 Bodice 원형 연구: 중년기 부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7권 6호. 

  29. 홍성철, 강문정, 주민선 (2002).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한 여성의 비만 실태 연구: 비만지수 비교를 중심으로." 간호과학 14권. 

  30. 황경화 (2000). "서울시 일부 지역주민의 비만인식도와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의 상관관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Hubert, H. B., M. Feinleip, P. M. MeNamara and W. P. Castelli (1983). "Obesit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26-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Vol. 63. 

  32. 名取禮二, 橫堀榮, 小川義雄, 木村邦(1970). 最新體 力測定法. 同文書院. 

  33. 福井?生, ?山絹江, 奧村?(1991). "成人女子體型 の關すゐ硏究-年代別の瘦肥滿型特徵." 日本 衣服學會誌 Vol. 35, No. 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