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식관광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요인분석
A Study on the Consumer Perception and Factor Analysis of Food Tourism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5 no.1, 2010년, pp.83 - 93  

김은혜 (한국식품연구원) ,  이민아 (한국식품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umer perception and importance of food tourism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the properties in Sangju province of Gyeongsangbuk-do. The study has found that persons who have food tourism experiences (75 persons, 50.7%) had slightly more than not exp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일반적인 음식관광 속성 중요도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해 음식관광 중요 요인을 파악하고 더불어 경북 상주지역의 음식관광 속성에 대한 수행정도를 분석하여 향후 향토음식 개발과 음식관광 상품화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4%)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에 음식관광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명소로서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향토음식점이 되도록 관계기관의 지원, 새로운 음식 축제의 개발, 지역의 음식관광을 위한 코스 개발, 각종 음식 재료 및 양념장 패키지 상품 개발을 제시하였다. Kwon & Lee(2004)는 경상북도 지역의 향토음식 관광 상품화 방안으로 사라져 가는 향토음식과 명가, 종가의 음식 비법 등을 발굴하고 체계화 시키는 것, 향토음식 조리법의 표준화,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향토음식 메뉴개발과 상품화, 향토음식 대회 및 향토음식 축제 등의 적극적인 홍보, 향토음식 관련 전문인력 양성, 지역문화 보존 차원에서의 향토음식 발굴, 요리 시범점 선정 및 향토식 실천농가 지정 등 향토음식을 발굴하여 상품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식관광이란 무엇인가? 음식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음식을 목적으로 하는 관광상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프랑스나 이탈리아를 포함한 관광선진국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다양하고 맛있는 음식들을 개발하여 전 세계에서 온 관광객들의 각광을 받고 있으며, 각 지방별로 음식산업이 발달하여 관광객들이 끊이지 않는 매력적인 관광자원으로 관광수입을 올리는 중요 수단이 되고 있다(Seo 1999; Jang 2003a; Jang 2003b). 이에 음식관광이란 1차적, 2차적 음식 생산자 및 음식 축제 등 음식 여행과 관련된 특정 레스토랑 및 특정 지역 등을 방문하는 것으로 관광객들의 음식과 관련된 전반적인 활동을 말하며, 이는 여행의 주요한 동기나 목적이 특정 지역산물 및 음식 등을 경험하거나 특정 요리사의 음식 솜씨를 맛보고자 하는 기대감으로 작용할 경우를 그 조건으로 한다(Hall & Sharples 2003).
음식관광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Cho 등은 어떤 것을 활용해 한국음식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했는가? Chang 등(2004)의 연구 결과, 한국 전통음식과 관련한 관광상품으로는 국내 관광객을 위한 것이 많았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 상품들은 대부분 ‘선택관광’의 형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Cho 등(2007)은 IPA를 활용하여 한국음식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Chung & Chin(2008)은 음식관광과 관련하여 관광지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국내의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음식관광 관련 연구들이 수행되었는데, 전주 지역의 향토음식점의 운영 형태와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Min 2009), 광주와 전남 지역의 향토음식의 관광상품화 및 농촌 관광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Kim & Oh 1998; Lee 2006), 천안 지역의 향토음식 인지도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Lee & Nam 2006), 경기지역(Son 2005), 강원지역(Park & Lee 2008), 인제지역(Park 2000) 등의 연구가 있다.
지역의 독특한 문화 중 우리의 일상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1990년대 본격적으로 실시된 지방자치제로 인해 각 지역의 지방자치단체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지역의 독특한 문화를 관광자원화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역의 독특한 문화 중 우리의 일상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음식문화이며, 음식에 대한 기억은 여행했던 관광지를 기억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음식은 그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가장 잘 대변해주는 수단이고 홍보매체의 역할을 하며, 또한 관광객의 문화적 경험을 형성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Williams 1997; Dittermer 2001; Hijalager & Richards 2002; Hall & Sharples 2003; Hall 등 2003; Kwon & Lee 2004; Park & Lee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oniface P (2003): Tasting Tourism: Travelling for Food and Drink. Ashgate, Aldershot 

  2. Chang HJ, Yang IS, Chung LN, Shin SY (2004):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overseas and domestic tourism products focusing on traditional foods. Korean J Food Culture 19(4): 392-398 

  3. Cho MS, Koh SI, Oh SU (2007):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Korean food. Korean J Tourism Res 22(1): 265-287 

  4. Choi SK, Ha MO, Lee YJ, Byun GI (2006): A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popularization and merchandising of local foods in the Ulsan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2(3): 346-354 

  5. Choi YJ, Won CS (2007): Plan to introduce Korean food culture as a tourism product. Korean J Hotel Resort Casino Research 6(1): 157-166 

  6. Chung BW, Chin AN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tourism satisfaction on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of Chinese tourist in Korea. Cultural Economics Res 11(2): 47-71 

  7. Dittermer P (2001): Dimensions of the Hospitality Industry. 3rd ed, Wiley, New York 

  8. Hall CM (2003): Wine, Food and Tourism Marketing. The Haworth Hospitality Press, New York 

  9. Hall CM, Mitchell R (2001): Wine and Food Tourism. In N. Douglas, N. Douglas and R. Derrett. Special Interest Tourism. Wiley, New York 

  10. Hall CM, Sharples L (2003): The Consumption of Experiences or the Experience of Consumption? An Introduction to the Tourism of Taste,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and Markets. Butterworth-Heinemann, Oxford 

  11. Hall CM, Sharples L, Mitchell R, Macionis N, Cambourne B (2003)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and Markets. Butterworth-Heinemann, Oxford 

  12. Ha MO (2005):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Inhabitants for Local Foods in Ulsan Area.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13. Henderson JC (2004): Food as a tourism resources: a view from Singapore. Tourism Recreation Res 29(3): 69-74 

  14. Henderson JC (2009): Food tourism reviewed. British J Food 111(4): 317-326 

  15. Hijalager AM, Richards G (2002): Tourism and Gastronomy. Routledge, London 

  16. Jang HJ (2003a): A study on Italian local food and culture. Korean J Culinary Res 9(4): 203-220 

  17. Jang HJ (2003b): The culture of food -the making of Euroup. Korean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6(2): 209-211 

  18. Jang SO, Lee YJ (2009): A study of residents' recognition and tourism merchandising inten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Yeongcheon reg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5(4): 452-466 

  19. Kim BI, Oh YJ (1998): A study on traditional foods in Kwangju and Chunnam areas. Korean J Tourism Information Res 2: 195-226 

  20. Kim CJ, Lee JH (1998): A study on traditional Korean food as a cultural tourism product. Korean J Hotel Business Res 7(1): 163-188 

  21. Kim DH (1998): Literature review on food culture by tourism resources in Korea. Korean J Tourism Information Res 2: 287-304 

  22. Kim JH (2001):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for cultural development in local midium-small city; The case study on Sang-Ju city. Korean Government Society, 2001 Spring Symposium. pp. 95-117 

  23. Kim KS (2005): Sangju dried persimmon special zone. Urban Problem 40(443): 80-84 

  24. Korea Tourism Organization (1997): Korea a Journey to Exotic Tastes 

  25. Kwon MY (2008):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on visitors' in Gyeong-ju area. Korean J Culture Tourism Res 10(1): 37-47 

  26. Kwon SJ, Lee JH (2004):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of the northern part of Gyongsang-Bukdo and their commercialization. Tourism Res 19: 49-60 

  27. Lee JC, Nam TY (2006): Recognition & preference of traditional foods. Korean J Tourism Information Res 24: 1-22 

  28. Lee JY, Kwon MY (2009): Effects of involvement of food tourists' on participation in food tourism activities and behavioral intention. Korean J Tourism Management Res 13(2): 177-198 

  29. Lee SH (2006): On the programs of green tourism involving the traditional cuisine of Gwangju/Chonnam province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2(1): 68-81 

  30. Lee SH, Park YB (2002): Tour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a utilizable cooking peculiar of an Andong locality. Korean J Culinary Res 8(3): 147-168 

  31. Lee SJ (2005):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Regional Food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32. Lim CG, Kim JC (2006): The effect of Korea-Chile FTA to the agricultural economy of Sang-ju district & the roll of Nonghyup. Korea J Cooperative Studies 23(2): 135-160 

  33. Long LM (1998): Culinary tourism: A folkloristic perspective on eating and otherness. Southern Folklore 55(3): 181-204 

  34. Long LM (2004): Culinary Tourism. 1st ed.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key, Lexington 

  35. Min KH (2009): A study on the types of local restaurant management and the activation of food tourism -focused on Jeonju area-. Korean J Culinary Research 15(1): 47-58 

  36. Park BR (2000): Development of tourist foods merchandising using traditional indigenous foods of Inje-Gun. Korean J Tourism Res Collection 12: 123-144 

  37. Park JW, Lee DW (2008): Awareness of local food menus development in Gangwon-do. Korea J Tourism and Hospitality Res 22(1): 179-190 

  38. Quan S, Wang N (2004): Towards a structural model of the tourist experience: an illustration from food experiences in tourism. Tourism Management 25: 297-305 

  39. Sangju City Hall (2009): http://www/sangju.go.kr 

  40. Seo TY (1999): Cultural Tourism. Daewangsa, Seoul 

  41. Seo YJ (2005): A Study of Satisfaction of Japanese Tourist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to Korea. MS thesis, Department of Tourism Graduate School, Gyeongju University 

  42. Seol BS (2005):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periodic market in the Sangju region. Korean J Local History and Local Culture 8(1): 281-319 

  43. Shin SY, Chang HJ, Yang IS, Chung LN, Lee HY (2004): Assessing relativ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 tour program attributes based on conjoint analysis. Korean J Community Nutr 9(5): 654-662 

  44. Son YJ (2005): A study on the need of development for tourism merchandising of regional cuisine in Kyunggi province. Tourism Res 21: 211-226 

  45. Williams J (1997): We Never Eat Like This at Home: Food on Holiday. In: Caplan P ed. Food, Health and Identity, Routledge, London 

  46. Wolf E (2002): Culinary Tourism: A Tasty Economic Proposition. www.culinarytourism.org 

  47. Yang IS, Chang HJ, Shin SY, Chung LN (2004): Inbound tourism product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Korea 7(3): 87-1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