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정점간거리 변화에 따른 교정굴절력과 교정시력의 변화량을 추적하고 분석하여 굴절검사의 기초 자료를 채용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시험렌즈를 이용하여 양안균형검사 종료 후 교정굴절력과 교정시력, 정점간거리를 변화했을 때의 교정굴절력 변화량과 교정시력 변화량을 측정하고, 정점간거리와 교정굴절력, 정점간거리와 교정시력과의 상관성과 통계학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경과 정점간거리에 따른 교정굴절력의 변화량은 -1.00D까지는 정점간거리 변화에 따라 굴절력의 변화가 없으나. -1.25D 이상부터는 정점간거리가 길어질 때 교정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점간거리가 15 mm 길어졌을 때 굴절력 변화가 크게 나타났고. 11.00D 이상에서는 정점간거리가 5mm, 10mm, 15mm 변화할 때 모두 교정굴절력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정점간거리와 교정굴절력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정점간거리가 5 mm 증가시 r=0.999, 10 mm 증가 시 r=0.982, 15 mm 증가 시 r=0.957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정점간거리와 교정굴절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정점간거리 증가에 따른 시력변화는 정점간거리가 길어질수록 시력감소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정점간거리와 교정시력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정점간거리가 5 mm 증가 시 r=0.969, 10 mm 증가 시 r=0.985, 15 mm 증가 시 r=0.994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정점간거리와 교정시력용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결론: 정점간거리는 굴절검사와 안경착용 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정점간거리와 교정굴절력, 교정시력 간에는 높은 상관성이 있었으며, 또한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시험렌즈를 이용하여 굴절검사를 할 때 정확한 정점간거리가 유지되어야 하며, 안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최적의 조정(fitting)이 이루어져야 하고, 안경 착용자에게 정기적인 재조정(refitting)의 필요성과 안경 관리방법 등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목적: 본 연구는 정점간거리 변화에 따른 교정굴절력과 교정시력의 변화량을 추적하고 분석하여 굴절검사의 기초 자료를 채용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시험렌즈를 이용하여 양안균형검사 종료 후 교정굴절력과 교정시력, 정점간거리를 변화했을 때의 교정굴절력 변화량과 교정시력 변화량을 측정하고, 정점간거리와 교정굴절력, 정점간거리와 교정시력과의 상관성과 통계학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경과 정점간거리에 따른 교정굴절력의 변화량은 -1.00D까지는 정점간거리 변화에 따라 굴절력의 변화가 없으나. -1.25D 이상부터는 정점간거리가 길어질 때 교정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점간거리가 15 mm 길어졌을 때 굴절력 변화가 크게 나타났고. 11.00D 이상에서는 정점간거리가 5mm, 10mm, 15mm 변화할 때 모두 교정굴절력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정점간거리와 교정굴절력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정점간거리가 5 mm 증가시 r=0.999, 10 mm 증가 시 r=0.982, 15 mm 증가 시 r=0.957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정점간거리와 교정굴절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정점간거리 증가에 따른 시력변화는 정점간거리가 길어질수록 시력감소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정점간거리와 교정시력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정점간거리가 5 mm 증가 시 r=0.969, 10 mm 증가 시 r=0.985, 15 mm 증가 시 r=0.994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정점간거리와 교정시력용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결론: 정점간거리는 굴절검사와 안경착용 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정점간거리와 교정굴절력, 교정시력 간에는 높은 상관성이 있었으며, 또한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시험렌즈를 이용하여 굴절검사를 할 때 정확한 정점간거리가 유지되어야 하며, 안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최적의 조정(fitting)이 이루어져야 하고, 안경 착용자에게 정기적인 재조정(refitting)의 필요성과 안경 관리방법 등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hanges of corrected diopter and corrected visual acuity with the change in vertex distance. Also we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fraction test. Methods: Using the trial lens, we measured the corrected diopter and corrected visual acuity after p...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hanges of corrected diopter and corrected visual acuity with the change in vertex distance. Also we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fraction test. Methods: Using the trial lens, we measured the corrected diopter and corrected visual acuity after performing binocular balance test. We measured the changes of corrected diopter and corrected visual acuity in change of vertex distance. We analyzed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relations between vertex distance and corrected diopter and corrected visual acuity.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rrected diopter with the change of vertex distance within -1.00D, but the corrected diopter increased with it over - 1.25D. In particular, the change of diopter was largest when the vertex distance increased 15 mm. At over 11.00D, there was large changes of diopter with the changes of vertex distance at 5 mm, 10 mm and 15 mm.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ertex distance and the corrected diopter,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r=0.999 at 5 mm increase of vertex distance, r=0.982 at 10 mm increase and r=0.957 at 15 mm increase) and also there was significant (p<0.01). At the change of visual acuity in increased of vertex distance, the range of a decrease in visual acuity was large when the changes of vertex distance was largest.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ertex distance and the corrected visual acuity,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r=0.969 at 5 mm increase of vertex distance, r=0.985 at 10 mm increase and r=0.994 at 15 mm increase) and also there was significant (p<0.01). Conclusions: The vertex distance was very important at the refraction test and at wearing spectacle.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ertex distance and the corrected diopter, and the corrected visual acuity,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vertex distance should be kept at the refraction using trial lens, and the best fitting was made not to slipping forward, and so we suggested regular refitting of spectacle and the managing method of spectacle were educated to the spectacle wearer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hanges of corrected diopter and corrected visual acuity with the change in vertex distance. Also we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fraction test. Methods: Using the trial lens, we measured the corrected diopter and corrected visual acuity after performing binocular balance test. We measured the changes of corrected diopter and corrected visual acuity in change of vertex distance. We analyzed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relations between vertex distance and corrected diopter and corrected visual acuity.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rrected diopter with the change of vertex distance within -1.00D, but the corrected diopter increased with it over - 1.25D. In particular, the change of diopter was largest when the vertex distance increased 15 mm. At over 11.00D, there was large changes of diopter with the changes of vertex distance at 5 mm, 10 mm and 15 mm.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ertex distance and the corrected diopter,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r=0.999 at 5 mm increase of vertex distance, r=0.982 at 10 mm increase and r=0.957 at 15 mm increase) and also there was significant (p<0.01). At the change of visual acuity in increased of vertex distance, the range of a decrease in visual acuity was large when the changes of vertex distance was largest.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ertex distance and the corrected visual acuity,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r=0.969 at 5 mm increase of vertex distance, r=0.985 at 10 mm increase and r=0.994 at 15 mm increase) and also there was significant (p<0.01). Conclusions: The vertex distance was very important at the refraction test and at wearing spectacle.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ertex distance and the corrected diopter, and the corrected visual acuity,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vertex distance should be kept at the refraction using trial lens, and the best fitting was made not to slipping forward, and so we suggested regular refitting of spectacle and the managing method of spectacle were educated to the spectacle weare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정점간거리가 길어지면 근시는 저교정 상태, 원시는 과교정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점간거리 변화에 따른 교정굴절력의 변화량과 교정시력의 변화량을 추적하여 굴절검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제안 방법
구안경 착용시력, 구안경 굴절력을 검안테에 장입한 상태의 시력, 시험렌즈를 이용한 교정굴절력과 교정시력, 정점간 거리를 변화했을 때의 굴절력 변화와 교정시력 변화 등을 측정하였다.
타각적자동굴절검안기(KR-8100, Topcon)를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측정하였다.
정점간거리 12 mm로 한 상태에서 단안굴절 검사와 양안 균형 검사를 마친 후 정점간거리를 5 mm, 10 mm, 15 mm 로 각각 증가했을 때 최고 교정시력을 유지하는 구면 굴절력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정점간거리 측정은 안경자를 사용하였으며, 굴절력 변화는 0.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정점간거리 측정은 안경자를 사용하였으며, 굴절력 변화는 0.25D 단위로 하였다.
정점간거리 12 mm 로 한 상태에서 단안굴절 검사와 양안 균형 검사를 마친 후 정점간거리를 5 mm, 10 mm, 15mm 로 증가하였을 때 교정시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정점간거리 12 mm 에서 최고 시력상태의 교정굴절력을 즉정한 후 정점간거리를 5 mm, 10 mm, 15 mm로 각각 증가했을 때의 교정시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5 mm 증가했을 때의 평균시력은 1.
대상 데이터
2009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20대에서 40대 사이의 근시안 남, 여 대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문진을 실시하여 안질환과 전신질환이 없고 정상적인 양안 시생활이 가능한 144명(288 안)을 검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lagging method)으로 하였다. 검사대상자의 동공 거리에 따라 검안테 (sky 58/60/62/64, 광성광학)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수집한 자료는 SPSS 12.0K Window를 이용하여 정점 간 거리와 교정굴절력 , 정점간거리와 교정시력과의 연관성을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p<0.01 로 하였다.
정점간거리 12 mm로 측정한 교정굴절력을 기준으로 정점간 거리를 5 mm, 10 mm, 15 mm로 증가했을 때, 정점간 거리와 교정굴절력과의 상관관계를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정점간거리를 5 mm 증가했을 때 r=0.
정점간거리 12 mm로 측정한 교정시력을 기준으로 정점 간 거리를 5 mm, 10 mm, 15 mm 증가했을 때, 정점 간 거리와 교정시력과의 상관 관계를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정점간거리를 5 mm 증가했을 때 r=0.
이론/모형
시험렌즈 (SPC-93D, 동양광학)와 5m 용 한천석 시력 표를 이용하여 단안굴절검사를 마친 후 양안의 조절 균형을 확인하기 위해 교대차폐 법으로 양안균형 검사를 실시하였고, 단안 굴절검사는 굴절검사 중 조절 개입을 막기위해 운무법 (lagging method)으로 하였다. 검사대상자의 동공 거리에 따라 검안테 (sky 58/60/62/64, 광성광학)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의미를 갖는다. 정점간거리와 교정굴절력, 교정시력 간에는 높은 상관성이 있었으며, 또한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시험렌즈를 이용하여 굴절검사를 할 때 정확한 정점간거리가 유지되어야 하며, 안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최적의 조정 (fitting) 이 이루어져야 하고, 안경 착용자에게 정기적인 재조정 (refitting) 의 필요성과 안경 착용방법 등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구안경을 착용한 상태의 교정시력과 정점간거리를 12 mm로 한 상태에서 검안테에 구안경 교정굴절력을 장입한 후의 교정시력을 비교하였더니 구안경을 착용한 상태의 시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1). 이것은 정점 간 거리의 영향으로 사료된다.
정점간거리를 12 mm 로 고정시키고 시험렌즈 (trial lens) 를 이용하여 굴절검사를 실시한 후 정점간거리를 5mm 단위로 길게 하면서 굴절력 변화를 측정하였더니, 정점 간 거리가 5 mm 길어졌을 때(17 mm)는 약 0.15D 증가하였고, 10 mm 길어 졌을 때 (22 mm)는 약 0.31D, 15mm 길어졌을 때(27 mm)는 약 0.50D 증가하였다. 정점간거리 증가에 따른 교정굴절력의 변화량이 가장 큰 값은 5 mm일 때 1.
50D 증가하였다. 정점간거리 증가에 따른 교정굴절력의 변화량이 가장 큰 값은 5 mm일 때 1.08D, 10 mm 일 때 1.67D, 15 mm 일 때 2.00D로 조사되었다(Table 2). 정점간거리에 따른 굴절력 변화량은 -1.
00D로 조사되었다(Table 2). 정점간거리에 따른 굴절력 변화량은 -1.00D 까지는 정점간거리 변화에 따라 굴절력의 변화가 없으나, -1.25D 이상부터는 정점간거리 12 mm(정점 간 거리 변화량 ‘0’)를 기준으로 정점간거리 17 mm(변화량 ‘5’), 22 mm(변화량 ‘10'), 27 mm(변화량 ‘15’)로 증가할때 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점간거리가 15 mm 길어졌을 때 굴절력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교정굴절력 5.
25D 이상부터는 정점간거리 12 mm(정점 간 거리 변화량 ‘0’)를 기준으로 정점간거리 17 mm(변화량 ‘5’), 22 mm(변화량 ‘10'), 27 mm(변화량 ‘15’)로 증가할때 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점간거리가 15 mm 길어졌을 때 굴절력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교정굴절력 5.25D~6.00D, 6.50D-8.00D 사이에서는 정점 간 거리가 10 mm, 15 mm 길어졌을 때 굴절력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으며, 11.00D 이상에서는 정점간거리가 5 mm, 10 mm, 15 mm 변화할 때 모두 교정굴절력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Fig. 2).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정점간거리를 5 mm 증가했을 때 r=0.999, 10 mm 증가했을 때 r=0.982, 15 mm 증가했을 때 r=0.957로 정점간거리와 교정굴절력은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 정점간거리와 교정굴절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1)(Table 3). 정확한 굴절검사 결과를 토대로 정확한 안경이 조제가공 되었을지라도 안경의 조정 (fitting)。] 정확하지 않을 경우 정점 간 거리 변화 등이 발생하여 렌즈 교정효과에 영향을 미치고[익안경이 흘러내릴 경우 광학적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얼굴 형태와 크기에 적합한 조정 (fitting) 이 요구된다고 하였다[9].
이와 같이 정점간거리는 안경의 교정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정점 간 거리와 교정굴절력은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경 착용 시 정점간거리 유지는 조정 (fitting) 을 통해서 가능하므로 안경사는 안경 착용자에게 정기적으로 안경원의 방문을 통한 안경의 재조정 (refitting) 의 필요성을 인식시켜야 한다고 사료된다.
9 이상에서는 5m 한천석 시력표에서 약 한 줄 정도의 시력감소가 나타났다. 정점간거리가 15mm 길어졌을 때는 교정시력 0.7 까지는 한 줄 차이의 시력이 감소되었으나 0.8 이상에서는 두 줄 차이의 시력감소가 나타나 정점간거리 증가에 따른 시력 변화는 정점간거리가 길어질수록 시력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다 (Table 4, Fig. 4). 김 등[5은 안경 착용자의 시각적 불편감에서 시력저하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한다고 보고하였는데, 근시안의 경우 안경이 흘러내리면 정점 간 거리가 길어져 굴절이상이 저교정 상태가 되어 시력이 감소되며 또한 이로 인한 안정피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정점간거리를 5 mm 증가했을 때 r=0.969, 10 mm 증가했을 때 r=0.985, 15 mm 증가했을 때 r=0.994로 정점 간 거리와 교정시력은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정점 간 거리와 교정시력 간에는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1). 교정시력과 정점간거리는 정점 간 거리가 5 mm일 때와 10 mm일 때도 r=0.
01). 교정시력과 정점간거리는 정점 간 거리가 5 mm일 때와 10 mm일 때도 r=0.994로 서로 높은 상관성 이 있었고, 10 mm일 때 와 15 mm일 때도 r=0.986으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 5 mm와 10 mm, 10 mm와 15 mm 일 때 각각 교정시력과 정점간거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1)(Table 5).
참고문헌 (9)
"2008년 전국 안경사용율", 안경계, 6:140-153(2008).
Duane T. D. and Jaeger E. A., ''Clinical Ophthalmology", Harper & Row Pulisher, Philadelphia, Vol. 1. Chap. 33. pp. 47(1984).
Von Noorden, G. K.,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lity, 3rd ed, St. Lousis, C.V. Mosby Co. pp. 158-159(1985).
편집부, "안경 조제 및 가공", 2판, 대학서림, 서울, pp.233-234(1991).
마기중, 박수봉, 남상훈, "Clinical optometry, 대학서림, 서울, pp. 329-331(1999).
Sullivan C. M. and Flower C. W., "Investigation of Progressive Addition Lens patient tolerance to dispensing anomalies", Ophthal. Physiol. Opt., 10:16-20(199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