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10년간 굴절이상과 난시 축 변화
Ten-year Refractive Error and Astigmatism Changes in Korean Subject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5 no.4 = no.41, 2010년, pp.389 - 397  

하나리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유정곤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재민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인 6~80세를 대상으로 10년 동안 굴절이상과 난시축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안과 병원을 내원한 220명(345안)을 대상으로 10년 동안 매년 조절마비 굴절검사를 포함한 현성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시력검사는 한천석식 시표를 사용하였다. 결과: 6~10세와 11~20세 그룹의 10년간 구면등가 굴절력의 변화는 각각 -3.649D와 -2.165D였다. 21~40세 그룹은 굴절이상의 변화가 없었다. 41세에서 69세까지는 근시 쪽으로 진행이 감소하다가 70세 이상에서는 약간 증가하였으며 원시 쪽으로 진행은 반대 경향을 보였다. 6~10세와 11~20세 그룹에서는 10년 동안 굴절이상 분포가 근시 쪽으로 진행되었다. 6~10세 그룹에서 중등도(> -3.01D) 이상의 근시 빈도가 4.8% 였으나 10년 후에는 62.5%를 보였다. 난시 축의 10년 동안 변화는 젊은층은 직난시를 보였으나 나이가 들수록 도난시 쪽으로 진행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인의 굴절이상 변화가 6~20세 그룹은 근시 쪽으로 진행하다가 70세 이전까지 원시 쪽으로 진행한 후 다시 근시 쪽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시 축은 40대 이후 도난시 쪽으로 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refractive error and astigmatism associated with age in Korean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6 and 80 years during 10-year period. Methods: 220 normal subjects (345 eyes) who visited ophthalmic clinic was recruited and followed for 10 years betw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인 6~80세를 대상으로 10년(최소 8년) 동안 연령대별로 굴절이상과 근시 진행 정도 및 난시 축의 변화를 조사하여 굴절이상의 변화가 큰 특정 연령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Wong T. Y., Foster P. J., Hee J., Ng T. P., Tielsch J. M., Chew S. J.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refractive errors in adult chinese in Singapore", Invest. Ophthalmol. Vis. Sci., 41(9):2486-2494(2000). 

  2. Sperduto R. D., Siegel D., Roberts J., and Rowlands M.. "Prevalence of myopia in the United states", Arch. Ophthalmol., 101:405-407(1983). 

  3. Saw S. M., Katz J., Schein O. D., Chew S. J., and Chan T. K., "Epidemiology of myopia", Epidemiol. Rev., 18:175-187(1996). 

  4. Fan D. S. P., Cheung E. Y. Y., Lai R. Y. K., Kwok A. K. H., and Lam D. S. C., "Myopia progression among preschool chinese children in Hong Kong", Ann. Acad. Med. Singapore, 33:39-43(2004). 

  5. Kim S. D. and Hong S. G.. "Refraction of school age", J. Korean Ophthalmol. Soc., 14:341-345(1973). 

  6. Jorge J., Almeida J. B,, and Paraafita M. A., "Refractive biometric and topographic changes among portuguese university science students: a 3-year longitudinal study", Optom. Physiol. Opt., 27(3):287-294(2007). 

  7. Gudmundsdottir E., Jonasson F., Jonasson V., et al.; for the Iceland-Japan co-working study groups. ""With the rule" astigmatism is not the rule in the elderly", Acta. Ophthalmol. Scand., 78:642-648(2000). 

  8. 이민재, 이용환, 신경환, "연령변화에 따른 근시의 진행정도", 대한안과학회지, 28(1):151-155(1987). 

  9. Goss D. A. and Cox V. D., "Trend in the change of clinical refractive error in myopes", Am. J. Optom. Physiol. Opt., 56(8):608-613(1985). 

  10. Mantyjarvi M. I., "Predicting of myopia progression in school children",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22(2):71-75(1985). 

  11. Tokoro T. and Kabe S., "Relations between changes in the ocular refraction and refractive components and the development of myopia", Acta. Soc. Ophthalmol. Jpn., 68(10):1240-1253(1964). 

  12. Tsai C-B., Lin LL-K., Shin Y-F., and Hung P-T., "Prevalence and patterns of myopic progression among school children: Eight year longitudonal study", In T Tokoro(ed), Myopia updates-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yopia. Tokyo: springer-verlag, 67(1998). 

  13. Goss D. A. and Winkler R. L., "Progression of myopia in youth: age of cessation", Am. J. Optom Physiol. Opt., 60(8):651-658(1983). 

  14. Goss D. A., Ericson P., and Cox V. D., "Prevalence and pattern of adult myopia progression in a general optometric practice population", Am. J. Optom. Physiol. Opt., 62(7):470-477(1985). 

  15. Hirsch M. J., "Changes in refractive state after the age of 45", Amer. J. Optom., 35:229-237(1958). 

  16. 김찬수, 김무연, 김현승, 이영춘, "정상시력을 가진 한국인에서 연령에 따른 각막 난시의 변화", 대한안과학회지, 43(10):1956-1962(2002). 

  17. Gwaizda J., Scheiman M., Mohindra I., and Held R., "Astigmatism in children: Changes in axis and amount from Birth to six years", Invest. Ophtha.l Vis. Sci., 25:88-92(1984). 

  18. Dobson V., Fulton A., and Sebris S. L., "Cycloplegic refraction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axis of astigmatism", Invest. Ophthal. Vis. Sci., 24:83-87(1984). 

  19. Hirsch M. J., "Changes in astigmatism during the first eight grades of school: An interim report from the Ojai longitudinal study", Amer. J. Optom., 40:127-132(1963). 

  20. Grosvenor T. A., "Longitudinal study of refractive changes between ages 20 and 40, Part 5: Changes in astigmatism", Optom. monthly, 68:475-478(1977). 

  21. Lyle W. M., "Changes in astigmatism with age", Amer. J. Optom., 48:467-478(1971). 

  22. Sorsby A., Benjamin B., and Sheridan M., Stone J., Leary G. A., "Refraction and its components during the growth of the eye from the age of three. London:",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1961). 

  23. Lam C. S., Edwards M., Millodot M., and Goh W. S., "A 2-year longitudinal study of myopia progression and optical component changes among Hong Kong schoolchildren", Optom. Vis. Sci., 76(6):370-380(1999). 

  24. Grosvenor T. A., "Longitudinal study of refractive changes between ages 20 and 40, Part 1; Mean changes and distribution curves", Optom. weekly, 68:386-389(1977). 

  25. Sawada A., Tomidokoro A., Araie M., Iwase A., and Yamamoto T., Tajimi Study Group, "Refractive errors in an elderly Japanese population: the Ta imi study", Ophthalmology, 115(2):363-370.e3(2008). 

  26. Guzowski M., Wang J. J., Rochtchina E., Rose K. A., and Mitchell P., "Five-year refractive changes in an older population: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ology, 110(7):1364-1370(2003). 

  27. Lee D. W., Kim J. M., Choi C. Y., Shin D., Park K. H., and Cho J. C., "Age-related changes of ocular parameters in Korean subjects", Clinical Ophthalmology, 4:725-730(2010). 

  28. 이수나, 이강오, 김창식, 이태용, "학동기전 아동의 굴절이상 및 시력변화에 대한 5년 추적결과", 대한안과학회지, 45(8):1336-1347(2004). 

  29. Edwards M. H., "The development of myopia in Hong Kong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7 and 12 years: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Ophthalmic Physiol. Opt., 19(4):286-294(1999). 

  30. Lam C. S. Y., Goldschmidt E., and Edward M. H., "Prevalence of myopia in local and international schools in Hong Kong. In: Myopia: strategies for the 24st century", Abstract Book from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yopia, Hong Kong and Guangzhou, 15:10-14(2002). 

  31. Baldwin W. R. and Mills D., "A longitudinal study of corneal astigmatism and total astigmatism", Am. J. Optom. Physiol. Opt., 58(3):206-211(1981). 

  32. Asano K., Nomura H., Iwano M., Ando F., Niino N., Shimokata H., and Miyake Y., "Relationship between astigmatism and aging in middle-aged and elderly Japanese", Jpn. J. Ophthalmol., 49(2):127-133(2005). 

  33. 송호철, 권정윤, "소아 난시안에서 연령에 따른 난시축의 분포", 대한안과학회지, 40(9):249-255(1999). 

  34. 김정희, "연령에 따른 난시축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6(1):71-76(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