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oly(vinyl alcohol)을 이용한 Poly(vinyl acetate-co-ethylene) Emulsion 중합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cetate-co-ethylene) Using Poly(vinyl alcohol) as Emulsifier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1 no.3, 2010년, pp.89 - 99  

최용해 (부경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이원기 (부경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poly(vinyl acetate-co-ethylene)을 산화, 환원 방법으로 중합할 때 poly(vinyl alcohol) (PVOH)이 최종 에멀젼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과 pH의 변화가 최종 에멀젼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PVOH의 분자량이 에멀젼 성질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분자량이 낮은 PVOH 이용 시는 점도가 낮은 제품을 얻었고, 분자량이 큰 PVOH를 이용 시는 높은 점도의 제품을 얻었다. 그러나 pH를 변화 시키면서 중합한 제품의 최종 성질은 PVOH에 대하여 다른 결과를 얻었다. 일반적으로 중합도가 높고 부분 검화물의 PVOH를 이용한 poly(vinyl acetate) 에멀젼 최종점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점도를 유지하는 데 비하여, VAE 에멀젼에서는 높은 pH에서 합성 시에는 낮은 에멀젼의 점도를 얻었다. 이것은 에멀젼 합성 중에 PVOH의 분자량의 저하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pH가 증가 할수록 그라프트율이 감소하고, 분자량이 감소하면서 점도가 낮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for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cetate-co-ethylene) (VAE) by redox system using poly(vinyl alcohol) (PVOH) as emulsifier on the properties of the final emulsion, and pH changes affec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nal emulsion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molecular weigh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VAE수지 에멀젼을 제조시 사용하는 보호 콜로이드로인 poly(vinyl alcohol)을 사용하는데 사용하는 poly(vinyl alcohol)의 종류와 사용하는 농도가 VAE에멀젼수지 제품의 점도에 미치는 영향을 식으로 유도하고 중합시의 반응기 내의 pH 변화에 따라서 최종 VAE 제품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 C. Choi, J. Kor. Oil Chem. Soc., 6, 1 (1983). 

  2. W. V. Smith, J. Am. Soc., 70, 3695 (1948). 

  3. W. D. Harkins, J. Am. Chem. Soc., 69, 1428 (1947). 

  4. W. V. Smith and R. W. Ewart, J. Chem. Phys., 16, 592 (1948). 

  5. W. H. Stockmayer, J. Polym. Sci., 24, 314 (1957). 

  6. J. W. Vanderhoff, J. Polym. Sci., C27, 149 (1969). 

  7. L. L. Schramm, Advanees in Chemistry Series, 231, 1 (1992). 

  8. H. Warson, Thw applications of synthetic resin emulsions, Ernest Benn Limited London, 7 (1992). 

  9. M. S. El-Asser. Advances in emulsion polymerization and latex technology, 1, 13 (1992). 

  10. P. J. Scott, A Penlidis, and G. L. rempel, J. Polym Sci PartA Polym. Chem., 31, 2205 (1993). 

  11. P. J. Scott, A. Penlidis, and G. L. rempel, J. Polym Sci PartA Polym. Chem., 32, 539 (1994). 

  12. P. J. Scott, A. Penlidis, and G. L. rempel, J. Polym Sci PartA Polym. Chem., 31, 403 (1993). 

  13. P. Dryfuss and R. P. Quirk,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J. Wiley-Interscience, N. Y., 7, 551 (1985). 

  14. H. T. Kroener, V. Dimonie, and M. S. El-Aasser, Graduate Research Progress Report, 34, 113. 

  15. S. Okamura and T. Motoyama, Chem High Polym., 20, 303 (1963). 

  16. G. Heublein and H. Meissner, Acta Polymerica, 35, 744 (1984). 

  17. T. J. Markley, R. K. Pinschmidt, and J. W. Vanderhoff, J. Polym. Sci. Part A: Polymer Chem., 34, 2581 (1996). 

  18. K. C. Berger and G. Brandrup, Polymer Handbook, 3rd ed. J. Brandup, and E. H. Immergut, Eds., Applied Science: London, 49 (1981). 

  19. G. S. Magallanes-Gonzalez and M. S. Thesis, Lehigh University (1992). 

  20. W. Daniel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Mark, H. F.; Bikales, N. M.; Overberger, C. G.; Menges, G., Eds.; John Wiley & Sons: Chichester, 16, 563 (1997) 

  21. C. A. Finch, Ed., Polyvinyl alcohol Development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2). 

  22. D. Britton, F. Heatley, and P. Lovell, Macromolecules, 31, 2828 (1998). 

  23. V. Dimonie, D. Donescu, M. Monteanu, C. Hagiopol, and I. Gavat, Rev. Roum. Chim., 19, 903 (1974). 

  24. G. S. Magallanes-Gonzalez, Ph.D. Dissertation, Lehigh University (1996). 

  25. A. E. Hamielec, in Emulsion Polymerization of Vinyl Acetate, M. S. El-Aasser and J. W. Vanderhoff, Eds., Applied Science, London, 49 (1981). 

  26. M. H. Litt and K. H. S. Chang, in Emulsion Polymers and Emulsion Polymerization, Bassett, D. R, and Hamielec, A. E., Eds., ACS Symp. Ser. 165, 455 (1981). 

  27. R. R. Challa, J. H. Drew, E. P. Stahel, and V. Stannett, J. Appl. Polym. Sci., 31, 27 (1986). 

  28. R. M. Jayasuriya, Ph.D. Dissertation, Lehigh University (1985). 

  29. C. Le Cocq and J. Y. Lallemand, J. Chem. Soc. Chem. Commun., 150 (1981). 

  30. D. W. Overnall, Macromolecules, 17, 1458 (1984) 

  31. S. Amiya and M. Uetsuki, Macromolecules, 15, 166 (1982). 

  32. W. H. Starnes, H. Chung and G. M. Benedikt, Polym. Prepr., 34, 604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