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oly(vinyl acetate)와 Poly(vinyl acetate-co-ethylene) 에멀젼을 이용한 상온 블렌드 에멀젼의 Film 특성
Film Properties of Cold Blending Emulsion Between Poly(vinyl Acetate) and Poly(vinyl acetate-co-ethylene) Emulsion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2 no.4, 2011년, pp.117 - 124  

김호영 ((주)바커 케미칼 코리아 기술연구소) ,  유성희 ((주)바커 케미칼 코리아 기술연구소) ,  최용해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호콜로이드로 PVA를 사용한 PVAc 에멀젼 폴리머와 VAE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에 관한 것으로 보호콜로이드로 사용된 PVA는 블렌드 전의 각각의 에멀젼 폴리머 필름과 블렌드 후의 필름에서도 연속상으로 존재하였다. 이는 블렌드를 구성하는 입자사이에서 뛰어난 접착력을 예상하게 한다. Tg가 서로 다른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는 중요한 관심 대상이며 PVAc/VAE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는 이 중 간단하면서도 또 다른 뛰어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혼합 결과, PVAc 증가에 따라 신율이 저하되었고, PVAc 제조에 사용된 가소제가 혼합물의 Tg에 영향을 미쳐 PVAc 가소제의 VAE 에멀젼 폴리머으로의 이행으로 인하여 VAE 에멀젼 폴리머의 Tg를 저하시켰고, 인장강도 및 내열성, 접착력에서 두 혼합물의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made on the poly(vinyl acetate) (PVAc) and poly(vinyl acetate- ethylene) (VAE) emulsion polymer blend which used PVA as protective colloid, and the PVA used as protective colloid was existed in each emulsion film before blend and even in the film after the blend consecutively. It mak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 TA instrument사의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A-10 을 이용하여 5℃/min 의 승온속도로 측정하였다. DSC 조건은 6.
  •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는 충분한 혼합성을 위하여 400 rpm 에서 1 h 동안 교반 후 준비하였으며 유리판에 이형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polyethylene (PE) 필름 위에서 건조 필름을 제조하였다. 25℃, 50% 상대습도에서 24 h 건조시킨 후 형성된 필름(2~3 mm 두께)을 PE로부터 박리 시켜 실리콘 이형지 위에 올려놓은 후, 25℃, 50% 상대습도에서 24 h 동안 추가로 건조시켰다. 그 다음 수분이 제거되는 데시케이터에서 7일 동안 방치시켰다.
  • 4) 신율(Elongation) 및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 유리판 위에 2~3 mm 두께로 VAE에멀젼 폴리머를 도포 후, 실온에서 24 h 방치하여 연속상 필름(두께 : 1.32 mm)을 형성시킨 다음, Instron사의 인장기를 이용하여신율과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 5) 내열성 (Heat creep resistance) : Cotton에 VAE 에멀젼 폴 리머를 40 g/m2로 도포 후 24 h 상온에서 건조 후 77℃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00 g 추를 이용하여 3 h 동안 떨어지는 길이를 측정하였다.
  • 28 rad/sec의 주사속도로 변형 주파수 (deformation frequency)를 이용하여 -30℃에서 150℃까지 5℃/min의 속도로 승온하였다. 등온상태 (isothermal condition)를 유지하기 위하여 10 min의 머무름 시간 (soak time) 을 두었다
  • 먼저 블렌드 하지 않은 에멀젼 폴리머의 각각의 필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해석하기 위한 주목적은 에멀젼 폴리머 필름 시편 내에 존재하는 PVA 의 존재를 알아보기 보기 위함이고, 각 에멀젼 폴리머의 Tg를 Figure 2에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 사용하였다. 가소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대흥특수화학으로부터 PVAc-B 는 가소제가 함유되지 않은 순수 PVAc 에멀젼 폴리머를 협조 받아 사용하였고, 각각의 고분자의 구성 비율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는 충분한 혼합성을 위하여 400 rpm 에서 1 h 동안 교반 후 준비하였으며 유리판에 이형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polyethylene (PE) 필름 위에서 건조 필름을 제조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VAE 에멀젼 폴리머는 (주)바커케미칼코리아의 VINNAPAS EP706K 를 사용하였고, PVAc-A 에멀젼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하는 (주)오공의 205를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가소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대흥특수화학으로부터 PVAc-B 는 가소제가 함유되지 않은 순수 PVAc 에멀젼 폴리머를 협조 받아 사용하였고, 각각의 고분자의 구성 비율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이론/모형

  • 3) 입자크기 측정 :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Brookhaven 사의 Disc Centrifuge 방식인 DI-DCP 를 사용하였다.
  • 6) 접착력 : Cotton에 40 g/m2를 도포 후, 24 h 동안 상온에서 건조 후 Instron 사의 인장기를 이용하여 상온과 내수 접착력을 180° Peel strength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 M. Robeson and M. S. Vratsanos, Macromol. Symp., 155, 117- 138 (2000). 

  2. F. Dobler and Y. Holl, TRIP, 4, 145 (1996). 

  3. E. M. Boczar, B. C. Dionne, Z. Fu, A. B. Kirk, P. M. Lesko, and A. D. Koller, Macromolecules, 26, 5772 (1993). 

  4. C. M. Gilmore, G. W. Poehlein, and F. J. Schork, J. Appl. Polym. Sci., 48, 1449 (1993). 

  5. W. Daniels, in Ency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7, pp. 393- 425,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989). 

  6. D. B. Farmer, in Poly(vinyl alcohol)- Developments, edited by C. A. Finch, pp. 433- 468,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2). 

  7. J. Richard, in Film Formation in Waterborne Coatings, edited by T. Provder, M. A. Winnik and M. W. Urban, p. 118, ACS Symp. Ser. 648, ACS, Washington, D. C. (1996). 

  8. Y. Nishio and R. St. John Manley, Macromolecules, 21, 1270 (1988). 

  9. Y. Chevalier, M. Hidalgo, J. Y. Cavaille, and B. Cabane, in Film formation in Waterborne Coatings, edited by T. Provder, M. A. Winnik, and M. W. Urban, p. 244, ACS Symp. Ser. 648, ACS, Washington, D. C. (1996). 

  10. J. Feng, M. A. Winnik, R. R. Shivers, and B. Clubb, Macromolecules, 28, 7671 (1995). 

  11. J. Feng and M. A. Winnik, PMSE Preprints, 73, 90 (1995). 

  12. S. Lepizzera, C. Lhommeau, G.. Dilger, T. Pith, and M. Lambla,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35, 2093 (1997). 

  13. S. T. Eckersley and B. J. Helmer, J. Coat. Tech., 69, 97 (1997). 

  14. J. M. Friel, U. S. Pat. 5,731,377; assigned to Rohm and Hass Co., March 24 (1998). 

  15. B. S. Synder, U. S. Pat. 5,308,890, assigned to Rohm and Hass Co., May 3, 1994; see also U. S. Pat. 5,344,657, Sept. 6 (1994). 

  16. C. Hare, J. Protetive Coat., 10, 69 (1993). 

  17. P. Loewrigkeit, U. S. Pat. 4,644,030, assigined to Witco Corporation, February 17 (1987). 

  18. L. M. Robeson and B. A. Robert, Journal of Polymer Science, 39, 1093 (2001). 

  19. L. M. Robeson, "Polymer blends" A comprehension review, Cal. Hanser Verlag, Munich, Germany (2007). 

  20. L. M. Robeson, A. Noshay, M. Matzner and C. N. Merriam, Die Angewandte Makromol. Chem., 29/30, 47 (1973). 

  21. L. E. Nielsem, J. Appl. Polym. Sci., 10, 97 (1966). 

  22. D. A. Bruggeman, Ann. Phys., 41, 4626 (1970). 

  23. M. Takayanagi, M. Harima and Y. Iwatu, Mem. Fac. Eng., Kyushu Univ., 213, 1 (1963). 

  24. Z. Hashin and S. J. Shtrikman, J. Mech. Phys. Solids, 11, 127 (1963). 

  25. Z. Hashin, J. Appl. Mech., 29E, 143 (1962). 

  26. E. H. Kerner, Proc. Phys., Soc. B, 69, 808 (1970). 

  27. S. T. Eckersley and B. J. Helmer, Journal of Coating Technology, 69, 97 (199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