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치주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구강건강의식 및 행태의 효과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ral Health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n the Periodontal-health Disparities among Korean Adul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1, 2010년, pp.61 - 69  

박희정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학연구소) ,  이준협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oral health an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oral health are attenuated by oral health related consciousness and behaviors.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third 2006 Korea National O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성인에서 가장 빈발하는 구강질환인 치주질환으로 구강건강수준을 평가하고, 사회경제적 상태의 차이에 따른 치주건강에서의 불평등 실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구강건강의식과 행태 요인이 구강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해 봄으로써, 치주건강관련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의 방향제시와 구강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8세 이상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치주건강에서의 불평등 양상을 규명하고, 사회경제적 요인과 구강건강관련 의식 및 행태가 치주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구강건강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조사 대상자의 치주건강상태를 보면, 성인인구의 78.
  • 본 연구는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에서 구강검진과 설문조사를 동시에 수행한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 경제적 상태에 따른 치주건강 불평등 양상을 살펴보고 구강건강의식과 행태 요인이 치주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성인에서 가장 빈발하는 구강질환인 치주질환으로 구강건강수준을 평가하고, 사회경제적 상태의 차이에 따른 치주건강에서의 불평등 실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구강건강의식과 행태 요인이 구강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해 봄으로써, 치주건강관련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의 방향제시와 구강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는 어떤 계획에서 ‘건강 형평성 제고’를 중요한 국가정책 중 하나로 설정하였는가? 건강불평등은 교육, 직업, 소득, 재산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사회 구성원들간 건강상태가 동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한국건강형평성학회, 2008), 건강불평등 연구는 이러한 불평등을 만들어내는 사회적 기제를 찾는 연구이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체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계층 간 건강차이의 해소를 국가보건정책에 포함하도록 국제적으로 공식적으로 권고하고 있으며(Feachem 2000: Gwatkin 2000; 김명희, 2003에서 재인용), 2005년 우리나라도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10)』에서 ‘건강 형평성 제고’를 중요한 국가정책 중 하나로 설정하고 있다.
건강불평등이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 건강수준이나 건강증진의 혜택 면에서 상대적인 차이가 나는 사회경제적 계층별 건강불평등 문제는 심화되고 있다(이미숙, 2005). 건강불평등은 교육, 직업, 소득, 재산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사회 구성원들간 건강상태가 동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한국건강형평성학회, 2008), 건강불평등 연구는 이러한 불평등을 만들어내는 사회적 기제를 찾는 연구이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체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계층 간 건강차이의 해소를 국가보건정책에 포함하도록 국제적으로 공식적으로 권고하고 있으며(Feachem 2000: Gwatkin 2000; 김명희, 2003에서 재인용), 2005년 우리나라도 『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10)』에서 ‘건강 형평성 제고’를 중요한 국가정책 중 하나로 설정하고 있다.
구강건강 영역에서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건강수준의 불평등 연구는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가? 즉, 교육수준이나 경제수준이 낮으면 아동과 성인의 치아우식증 경험도가 높아지고, 치주질환 및 전체 치아 발거율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구강건강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에만 초점을 두어 온 반면, 구강건강 불평등의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는 미흡하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어린이에 집중되어 있고 치아우식증 경험도에 한정되는 경향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치아우식증 경험도 지표로 성인의 전반적인 구강건강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서는 한계가 있다(한국건강형평성학회,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명희. 한국사회의 건강형평성 실태. 한국건강형평성학회 창립세미나 서울: 한국, 2003. 

  2. 김영준. 전남대학교 교직원들의 치주상태 및 자각증상에 대한 조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5;19(1):123-140. 

  3. 김혜영. 사회경제적 수준과 구강진료필요도의 연관성에 대한 건강행위, 구강진료이용도의 영향 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6;30(1):85-94. 

  4. 보건복지가족부. 2003?2004년 국민의료비 추계 및 국민보건계정구축.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6b. 

  5. 보건복지가족부.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6a. 

  6. 송근배, 최연희, 홍석진, 김진범. 한국 성인들의 사회경제적 요인 및 구강보건의식행태에 따른 치아우식증 실태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3;27(2):319-328. 

  7. 이미숙. 한국 성인의 건강불평등. 한국 사회학회 2005;39(6):183-209. 

  8. 이원영. 성인 구강건강수준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서 일부 구강건강관련 행태 요인의 역할.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9;26(1):129-140. 

  9. 정세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2005) 심층분석: 건강면접 및 보건의식 부문. 서울: 질병관리본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157-179. 

  10. 조남억. 한국성인의 사회경제적 요인 및 구강보건의식행태에 따른 FUCTIONING TEETH Index와 T-HEALTH Index의 분석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1. 한경순,김윤신,강제경,황윤숙,한동헌,배광학. 수도권지역 성인에서 흡연과 치주상태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 32(2):250-260. 

  12. 한국건강형평성학회. 건강 형평성 측정 방법론. 파주: 한울 아카데미, 2008;19-260. 

  13. Daly B, Watt RG, Batchelor P, Treasure ET. Essential Dental Public Health. UK: Oxford, 2005:21-32. 

  14. Davidson PN, Whitehead M. Inequalities in health: the Black Report and the Health Divide. 2nd ed. London: Penguim Books, 1992. 

  15. Gilbert GH, Duncan RP, Heft MW, Dolan TA, Vogel WB. Oral disadvantage among dentate adult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7;25:301-313. 

  16. Heft MW., Gregg H. Gilbert, Brent J. Shelton and R. Paul Duncan. Relationship of dental status, sociodemographic status, and oral symptoms to perceived need for dental car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3;31:351-60. 

  17. Locker D, Gibson B. The concept of positive health: a review and commentary on its application in oral health research.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6;34(3):161-173. 

  18. Locker D, Miller Y. Evaluation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dicators. J. Public Health Dent 1994;54:167-176. 

  19. Locker D. Deprivation and oral health: a review.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0:28;161-169. 

  20. Lopez R, Fernandez O, Baelum V. Social gradients in periodontal diseases among adolescents. Communuty Dent Oral Epidemiol 2006;34:184-196. 

  21. Newton JT, Bower EJ. The social determinants of oral health: new approaches to conceptualizing and researching complex casual network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5;33:25-34. 

  22. Petersen PE. The World Oral Health Report 2003: continuous improvement of oral health in the 21st centry-the approach of the WHO Global Oral Health Programm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3;31(1):3-23. 

  23. Primary Dental Care Services in England and Wales. Audit Commission 2002. National Health Report. Northampton: Belmont Press, 2002. 

  24. Reisine ST, Poster W. Socioeconomic status and selected behavioral determinants as risk factors for dental caries. J Dent Edu 2001;65(10):1009-1016. 

  25. Sabbah, Georgios T, Sheiham A, Watt RG. The role of health-related behaviors in the socioeconomic disparties in oral health. Soc Sci Med 2009;68:298-303. 

  26. Sanders AE, Slade GD, Turrell G, John Spencer A, Marcenes W. The shape of the socioeconomic-oral health gradient: implications for theoretical explanation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6a;34:310-319. 

  27. Sanders AE, Spencer AJ, Slade GD. Evaluating the role of dental behaviour in oral health inequalitie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6b;34:71-79. 

  28. Sheiham A, Nicolau B. Evaluation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ology 2000, 2005;39:118-131. 

  29. Sheiham A, Watt RG: The common risk factor approach: a rational basis for promoting oral health.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0;28:399-406. 

  30. Sisson KL. Theoretical explanations for social inequalities in oral health.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7;35:81-88. 

  31. Wamala S, Merlo J, Bostrom G. Inequity in access to dental care services explains current socioeconomic disparties in oral health: The Swedish National Surveys of Public Health 2004-2005.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6;60:1027-1033. 

  32. Watt RG, Sheiham A. Inequalities in oral health: a review of the evidence and recommendations for action. Br Dent J 1999;187:6-12. 

  33. Zhu L, Petersen PD, Wang HY, Bian JY, Zhang BX .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ur of adults in China. Int Dent J 2005;55:231-2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