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6년간 단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발생한 패혈증 환자의 분석
Analysis of neonatal sepsis in on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or 6 year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53 no.4, 2010년, pp.495 - 502  

천베드로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공섬김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변신연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박수은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이형두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신생아 패혈증은 1개월 미만의 신생아 특히 미숙아, 저체중 출생아에서 사망률과 이환률의 중요한 원인이다. 저자는 최근 6년간 단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패혈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발생빈도, 원인균 및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혈액에서 균이 배양된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성별, 재태 주수, 출생 시 체중, Apgar 점수, 총 입원기간, 총정맥영양 기간, 중심도관 유무, 기저 질환, 혈액검사 소견, 배양된 균 종류, 합병증, 사망률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200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신생아중환자실의 재원환자 일수에 대한 병원감염률도 분석하였다. 결 과: 1) 6년간 패혈증 발생빈도는 4.7%, 1,000명당 46.7명 이었다. 2004년에 가장 높은 패혈증 발생빈도를 보였고 이후 점차 감소하다 2007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람 양성균패혈증이 그람 음성균보다 많았다. 2) 총 175명의 환자 중 남 녀비는 1.2:1 이었고, 그람음성균군에서 재태 주수와 출생체중이 의미있게 더 작았다. Apgar 점수, 총 입원 기간, 총정맥영양 기간, 중심도관 유무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기저질환이 있었던 경우는 총 129명(73.7%)이었고, 이 중 심혈관 질환이 가장 많았다. 배양된 균들 중 그람양성균은 MRSA가 50명(28.6%)으로 가장 많았고, 그람음성균은 $Serratia$ $marcescens$가 14명(8.0%)으로 가장 많았다. 4) 혈액검사 소견에서 그람음성균군의 혈소판이 의미있게 더 낮았으며($P$<0.05) 다른 소견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합병증은 32명(18.3%)에서 나타났고, 패혈성 쇼크가 16명(50.0%)으로 가장 많았다. 원인균별로 분석했을 때 MRSA 패혈증에서 합병증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6) 패혈증으로 사망한 경우는 총 13명(7.4%)으로 그람양성균군의 사망률은 6.5%, 그람음성균군의 사망률은 10.8% 였으며 MRSA에 의한 사망이 가장 많았다. 7) 각 연도별 월별 재원환자일수에 대한 병원감염률을 보면 월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 론: 패혈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발생빈도 및 원인균의 분석, 임상적 특징, 합병증과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 원인균에 대한 논의는 향후 신생아중환자실의 감염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고,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Sepsis is a significa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newborn, particularly in preter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cidence rate, causative pathogens and clinical features of neonatal sepsis in on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for 6 years. Methods :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신생아 패혈증은 1개월 미만의 신생아 특히 미숙아, 저체중 출생아에서 사망률과 이환률의 중요한 원인이다. 저자는 최근 6년간 단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패혈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발생빈도, 원인균 및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7명이라고 하였으나 그 외에는 자료가 미비한 실정이고 전국적인 조사도 부족하다. 저자는 최근 6년간 단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패혈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발생빈도와 원인균 및 임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 패혈증은 무엇인가? 신생아 패혈증은 1개월 미만의 신생아에서 감염으로 인해 나타나는 전신 반응과 더불어 혈액균 배양이 양성인 경우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패혈증에 부합되는 임상적인 특징을 나타내면서 혈액균 배양이 양성인 경우로 정의한다. 패혈증은 특히 미숙아,저체중 출생아에서 사망률과 이환율의 중요한 원인이다1, 2).
신생아 감염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비록 신생아들에 대한 관리가 향상되고 있지만, 패혈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2%에서 높게는 50%에 이르고 있다3). 신생아 감염은 발병 시기에 따라 조기 발현 신생아 감염, 후기 발현 신생아 감염 및 병원 내 감염의 세가지 형으로 구분한다. 신생아가 병원에 지속적으로 입원하여 있는 상태에서 생후 48-72시간 이후의 감염은 병원 내 감염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극소 저체중 출생아들의 조기 패혈증 원인균에 대한 국내 논문 보고는 어떤 내용인가?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극소 저체중 출생아들의 조기 패혈증 원인균에 대한 국외보고에 따르면 B군 사슬알균(Group B streptococcus)을 포함한 그람 양성균이 우세하였으나22, 23) 최근 그람 음성균이 증가한다고 하였고22, 24), Gaynes 등7)과 Stoll 등10)은 그람 양성균인 CNS가 대상 환아들의 51-55%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원인균이라 보고하였다. 국내 보고에서 Kim 등25)은 15년간 극소 저체중 출생아들의 조기 패혈증 원인균에 대한 연구에서 그람 양성균이 그람 음성균보다 감염의 발생빈도가 높았으나 최근 그람 음성균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S. aureus, Esherichia coli가 가장 많았다고 보고하였고 Park 등26)은 10년간 신생아중환자실의 패혈증 원인균으로 역시 그람 양성균이 그람 음성균보다 많았으며 CNS가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6년간 패혈증 발생빈도를 보면 2004년에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toll BJ, Hansen N. Infections in VLBW infants: studies from the NICHD Neonatal Research Network. Semin Perinatol 2003;27:293-301. 

  2. Stoll BJ, Hansen NI, Adams-Chapman I, Fanaroff AA, Hintz SR, Vohr B, et al. Neurodevelopmental and growth impairment among extremely low-birth-weight infants with neonatal infection. JAMA 2004;292:2357-65. 

  3. Klein JO. Current antibacterial therapy for neonatal sepsis and meningitis. Pediatr Infect Dis J 1990;9:783-4. 

  4. Hemming VG, Overall JC, Britt MR. Nosocomial infections in a newborn intensive-care unit. Results of forty-one months of surveillance. N Engl J Med 1976;294:1310-6. 

  5. Goldmann DA, Durbin WA, Freeman J. Nosocomial infection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 Infect Dis 1981;144: 449-59. 

  6. Hoogkamp-Korstanje JA, Cats B, Senders RC, van Ertbruggen I. Analysis of bacterial infection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 Hosp Infect 1982;3:275-84. 

  7. Gaynes RP, Edwards JR, Jarvis WR, Culver DH, Tolson JS, Martone WJ. Nosocomial infections among neonates in highrisk nurseries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Pediatrics 1996;98:357-61. 

  8. Gray JE, Richardson DK, McCormick MC, Goldmann DA.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al bacteremia among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relation to admission illness severity, resource use, and outcome. Pediatrics 1995;95:225-30. 

  9. Freeman J, Platt R, Sidebottom DG, Leclair JM, Epstein MF, Goldmann DA.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al bacteremia in the changing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opulation. Is there an epidemic? JAMA 1987;258:2548-52. 

  10. Stoll BJ, Gordon T, Korones SB, Shankaran S, Tyson JE, Bauer CR, et al. Late-onset sepsis in very low birth weight neonates: a repor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Neonatal Reserch Network. J Pediatr 1996;129:63-71. 

  11. Mullet MD, Cook EF, Gallagher R. Nosocomial sepsi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 Perinatol 1998;18:112-5. 

  12. Kim BI, Chung HL, Kim YD, Park WS, Shin SM, Lee HJ, et al. Clinical observations on neonatal sepsis. J Korean Pediatr Soc 1987;30:130-7. 

  13. Kwon HJ, Kim SY, Cho CY, Choi YY, Shin JH, Suh SP. Nosocomial infection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Pediatr Soc 2002;45:719-26. 

  14. Polin RA. The "ins and outs" of neonatal sepsis. J Pediatr 2003;143:3-4. 

  15. Mishra UK, Jacobs SE, Doyle LW, Garland SM. Newer approaches to the diagnosis of early onset neonatal sepsis. Arch Dis Child Fetal Neonatal Ed 2006;91:F208-12. 

  16. Klingenberg C, Aarag E, Ronnestad A, Sollid JE, Abrahamsen TG, Kjeldsen G, et al.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al sepsis in neonates. Association between antibiotic resistance, biofilm formation and the host inflammatory response. Pediatr Infect Dis J 2005;24:817-22. 

  17. Trotman H, Bell Y. Neonatal sepsis in very low birthweight infants at the University Hospital of the West indies. West Indian Med J 2006;55:165-9. 

  18. Bhutta ZA, Yusuf K. Neonatal sepsis in Karachi: factors determining outcome and mortality. J Trop Pediatr 1997;43 :65-70. 

  19. Benitz WE, Gould JB, Druzin ML. Risk factors for earlyonset group B streptococcal sepsis: estimation of odds ratios by critical literature review. Pediatrics 1999;103:e77. 

  20. Moore DL. Nosocomial infection in newborn nurseries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Mayhall CG, editor. Hospital epidemiology and infection control. Baltimore: Williams-Wilkins, 1996;535-64. 

  21. Kilani RA, Basamad M. Pattern of proven bacterial sepsi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Riyadh Saudi Arabia: a 2- year analysis. J Med Liban 2000;48:77-83. 

  22. Stoll BJ, Hansen NI, Higgins RD, Fanaroff AA, Duara S, Goldberg R, et al. Very low birth weight preterm infants with early onset neonatal sepsis: the predominance of gramnegative infections continues in the No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Neonatal Research Network, 2002-2003. Pediatr Infect Dis J 2005;24:635-9. 

  23. Stoll BJ, Gordon T, Korones SB, Shankaran S, Tyson JE, Bauer CR, et al. Early-onset sepsis in very low birth weight neonates: a repor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Neonatal Research Network. J Pediatr 1996;129:72-80. 

  24. Stoll BJ, Hansen N, Fanaroff AA, Wright LL, Carlo WA, Ehrenkranz RA, et al. Changes in pathogens causing early-onset sepsis in very-low-birth-weight infants. N Engl J Med 2002; 347:240-7. 

  25. Kim YS, Kim JK, Yoo HS, Ahn SY, Seo HJ, Choi SH, et al. Pathogens and prognotic factors for early onset sepsi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J Korean Soc Neonatol 2009;16: 163-71. 

  26. Park HW, Lim G, Koo SE, Lee BS, Kim KS, Pi SY, et al. Causative agents and antimicrobial sensitivity of neonatal sepsis: Ten-year experience in on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Soc Neonatol 2009;16:172-81. 

  27. Gerdes J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bacterial infections in the neonate. Pediatr Clin North Am 2004;51:939-59. 

  28. Sankar MJ, Agarwal R, Deorari AK, Paul VK. Sepsis in the newborn. Indian J Pediatr 2008;75:261-6. 

  29. Kliegman RM, Behrman RE, Jenson HB, Stanton BF, Nelson WE. Infections of the neonatal infant. In: Stoll BJ, editor.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8r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7:794-811. 

  30. Bizzarro MJ, Raskind C, Baltimore RS, Gallagher PG. Seventy- five years of neonatal sepsis at Yale: 1928-2003. Pediatrics 2005;116:595-602. 

  31. Sung MJ, Chang CH, Yoon YK, Park SE. Clinical aspects of an outbreak of Serratia marcescens infections in neonates. Korean J Pediatr 2006;49:500-6. 

  32. Fanaroff AA, Korones SB, Wright LL, Verter J, Poland RL, Bauer CR, et al. Incidence, presenting features, risk factors and significance of late onset septicemia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The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Neonatal Research Network. Pediatr Infect Dis J 1998;17:593-8. 

  33. Storm W. Use of thrombocytopenia for the early identification of sepsis in critically ill newborns. Acta Paediatr Acad Sci Hung 1982;23:349-55. 

  34. Guida JD, Kunig AM, Leef KH, McKenzie SE, Paul DA. Platelet count and sepsis in very low birth weight neonates: Is there an organism-specific response? Pediatrics 2003;111: 1411-5. 

  35. Lee WS, Cho JY, Yoo ST, Lee CW, Choi DY, Kim JD et al. Platelet count and mean platelet volume in low birth weight infants ( $\leq$ 2,000 g) with sepsis. Korean J Pediatr 2007;50: 643-8. 

  36. Sheu JR, Hung WC, Wu CH. Re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induced thrombocytopenia by triflavin in a rat model of septicemia. Circulation 1999;99:3056-62. 

  37. Yoon HJ, Choi JY, Park YS, Kim CO, Kim JM, Yong DE, et al. Outbreaks of Serratia marcescens bacteriuria in a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of a tertiary care teaching hospital: a clinical, epidemiologic, and laboratory perspective. Am J Infect Control 2005;33:595-601. 

  38. Tseng YC, Chiu YC, Wang JH, Lin HC, Lin HC, Su BH, et al. Nosocomial bloodstream infection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a medical center: a three-year review. J Microbiol Immunol Infect 2002;35:168-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