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소아 및 청소년 Graves병의 자연 경과 및 예후 인자
The natural history and prognostic factors of Graves' diseas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53 no.4, 2010년, pp.585 - 591  

송승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윤지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고정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전종근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최진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유한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Graves병은 소아 및 청소년의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한국 소아 및 청소년 Graves병의 자연 경과 및 예후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1년 1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15년간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Graves병으로 진단 받고 2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자 113명(여자 88명, 남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진단 시 연령, 치료 기간, 혈액 검사, 임상 증상, 가족력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모든 환자들은 항갑상선제 투여로 치료를 시작하였고 7명(6.2%)에서 PTU, 106명(93.8%)에서 MZ을 투여하였다. 전체 환자 113명 중 75명(66.4%)은 첫 번째 관해가 되었으며, 이 중 23명(전체의 20.4%)은 약물 치료를 중단한지 평균 $25.5{\pm}33.7$개월 후 재발하였다. 재발한 23명 중 13명(전체의 11.5%)은 두 번째 관해가 되었으나 이 중 2명은 다시 재발하였다. 1명은 4년간의 약물 치료에도 정상 갑상선 기능이 되지 않아 방사선 요오드 요법을 시행하였다. 완전 관해군의 진단 시 연령이 질병 지속 상태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12.7세 vs. 11.7세, $P$=0.034). 즉, 연령이 높은 경우 관해율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진단 시 연령을 소아 및 청소년 Graves병의 예후 인자로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Graves병의 치료 방법 및 기간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Graves' diseas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hyperthyroidis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atural course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Graves' diseas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One-hundred thirteen (88 girls and 25 boys) patients wer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 Graves병은 소아 및 청소년의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한국 소아 및 청소년 Graves병의 자연 경과 및 예후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 일부 보고에서는 연령이 높은 경우, 갑상선종의 크기가 작을 때, 치료 중에 갑상선종이 줄어들 때,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낮을 때, 체질량지수가 높은 경우 등이 좋은 예후 인자로 보고가 되기도 하지만16-18), 그렇지 않은 보고도 있다14). 이에 저자들은 소아 및 청소년기의 Graves병의 자연 경과를 관찰하여 관해 및 재발률에 대한 예측 지표와 예후 인자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raves병은 무엇인가? Graves병은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가 생성되어, TSH 대신 지속적으로 갑상선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일으키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안구병증, 미만성 갑상선 종대, 피부병증을 동반한다3, 4). 약 15%에서 가족력을 가지며 가족 중 50%는 갑상선 자가항체가 양성이며 특정 HLA 항원 빈도와 관련이 있다5, 6).
Graves병은 어떤 질환들을 동반하는가? Graves병은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가 생성되어, TSH 대신 지속적으로 갑상선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일으키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안구병증, 미만성 갑상선 종대, 피부병증을 동반한다3, 4). 약 15%에서 가족력을 가지며 가족 중 50%는 갑상선 자가항체가 양성이며 특정 HLA 항원 빈도와 관련이 있다5, 6).
Graves병의 치료 방법 중 약물 요법이 가장 적절한 치료법인가에 대한 의견이 다양한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세 가지의 치료 방법이 Graves병에 사용되고 있으며 약물 요법, 수술 요법, 방사선 요오드 요법으로 나눌 수 있다. 약물 요법이 초기의 치료 방법으로 선호되고 있으나7, 8), 관해를 이루기 위해서는 수년의 치료 기간이 필요하며9, 10), 부작용의 발생률이 11-22%로 높아11-13) 아직까지 가장 적절한 치료법에 대한 의견이 다양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aruratanasirikul S, Leethanaporn K, Sriplung H. Thyrotoxicosis in children: treatment and outcome. J Med Assoc Thai 2006;89:967-73. 

  2. Sills IN. Hyperthyroidism. Pediatr Rev 1994;15:417-21. 

  3. Zimmerman D, Lteif AN. Thyrotoxicosis in children.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1998;27:109-26. 

  4. Zimmerman D, Gan-Gaisano M. Hyperthyroidis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 Clin North Am 1990;37:1273-95. 

  5. Stenszky V, Kozma L, Balazs C, Rochlitz S, Bear JC, Farid NR. The genetics of Graves' disease: HLA and disease susceptibility. J Clin Endocrinol Metab 1985;61:735-40. 

  6. Tomer Y, Davies TF. Searching for the autoimmune thyroid disease susceptibility genes: from gene mapping to gene function. Endocr Rev 2003;24:694-717. 

  7. Krassas GE, Laron Z. A questionnaire survey concerning the most favourable treatment for Graves' disea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ur J Endocrinol 2004;151:155-6. 

  8. Webster J, Taback SP, Sellers EA, Dean HJ. Graves' disease in children. Cmaj 2003;169:104-5. 

  9. Gruneiro-Papendieck L, Chiesa A, Finkielstain G, Heinrich JJ. Pediatric Graves' disease: outcome and treatment. J Pediatr Endocrinol Metab 2003;16:1249-55. 

  10. Lippe BM, Landaw EM, Kaplan SA. Hyperthyroidism in children treated with long term medical therapy: twenty-five percent remission every two years. J Clin Endocrinol Metab 1987;64:1241-5. 

  11. Baker B, Shapiro B, Fig LM, Woodbury D, Sisson JC, Beierwaltes WH. Unusual complications of antithyroid drug therapy: four case reports and review of literature. Thyroidology 1989; 1:17-26. 

  12. Cooper DS, Goldminz D, Levin AA, Ladenson PW, Daniels GH, Molitch ME, et al. Agranulocytosis associated with antithyroid drugs. Effects of patient age and drug dose. Ann Intern Med 1983;98:26-9. 

  13. Williams KV, Nayak S, Becker D, Reyes J, Burmeister LA. Fifty years of experience with propylthiouracil-associated hepatotoxicity: what have we learned? J Clin Endocrinol Metab 1997;82:1727-33. 

  14. Gorton C, Sadeghi-Nejad A, Senior B. Remission in children with hyperthyroidism treated with propylthiouracil. Long-term results. Am J Dis Child 1987;141:1084-6. 

  15. Rivkees SA, Sklar C, Freemark M. Clinical review 99: The management of Graves' disease in children, with special emphasis on radioiodine treatment. J Clin Endocrinol Metab 1998;83:3767-76. 

  16. Benker G, Vitti P, Kahaly G, Raue F, Tegler L, Hirche H, et al. Response to methimazole in Graves' disease. The European Multicenter Study Group. Clin Endocrinol (Oxf) 1995;43: 257-63. 

  17. Buckingham BA, Costin G, Roe TF, Weitzman JJ, Kogut MD. Hyperthyroidism in children. A reevaluation of treatment. Am J Dis Child 1981;135:112-7. 

  18. Glaser NS, Styne DM. Predictors of early remission of hyperthyroidism in children. J Clin Endocrinol Metab 1997;82: 1719-26. 

  19. He CT, Hsieh AT, Pei D, Hung YJ, Wu LY, Yang TC, et al. Comparison of single daily dose of methimazole and propylthiouracil in the treatment of Graves' hyperthyroidism. Clin Endocrinol (Oxf) 2004;60:676-81. 

  20. Shulman DI, Muhar I, Jorgensen EV, Diamond FB, Bercu BB, Root AW. Autoimmune hyperthyroidism in prepubertal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arison of clinical and biochemical features at diagnosis and responses to medical therapy. Thyroid 1997;7:755-60. 

  21. Allahabadia A, Daykin J, Holder RL, Sheppard MC, Gough SC, Franklyn JA. Age and gender predict the outcome of treatment for Graves' hyperthyroidism. J Clin Endocrinol Metab 2000;85:1038-42. 

  22. Schleusener H, Schwander J, Fischer C, Holle R, Holl G, Badenhoop K, et al. Prospective multicentre study on the prediction of relapse after antithyroid drug treatment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cta Endocrinol (Copenh) 1989; 120:689-701. 

  23. Young ET, Steel NR, Taylor JJ, Stephenson AM, Stratton A, Holcombe M, et al. Prediction of remission after antithyroid drug treatment in Graves' disease. Q J Med 1988;66:175-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