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수 로즈마리 정유제품의 생산국별 향기성분과 항산화 활력
Aroma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ure Rosemary Essential Oil Goods Produced in Different Countrie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8 no.4, 2010년, pp.696 - 700  

우진호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  목민균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  한고운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  이상용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  박권우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외에서 유통되고 있는 로즈마리 정유 31점을 수집하여 GC통한 유효성분분석과 항산화 활력시험을 실시하였다. 주요 성분은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1.8-cineol, verbenone 및 borneol 등이 동정되었다. 주요성분에 따라 생산국별로 함량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프랑스 원산 정유의 품질이 우수하였고, 국내에서 재배하여 추출한 정유가 ${\alpha}$-pinene과 camphene의 함량이 높았다. ISO가 제시한 9가지 성분의 함량을 충족하는 제품은 총 31점 중 5점(16%)으로 낮았다. 전자공여능(EDA)은 4.8-96.0%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60%이상의 항산화능 활력을 갖는 정유는 13%였다. 특정 성분 함량에 따른 항산화 활력정도의 차이는 일치하지 않았으며, 스위스 원산의 정유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rty-one units of pure rosemary essential oil (EO) in domestic and foreign distribution markets were collected. Aromatic components of these samples were analyzed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As the result, major aromatic components were identified such as ${\alpha}$-pinen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유통되고 있는 로즈마리 정유를 수집하여 성분분석과 항산화활력을 알아봄으로써 유통 로즈마리 정유의 국가간 품질차이를 규명하여 소비자의 선택 및 연구응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천연식품보존제로의 이용가능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즈마리의 원산지는? 로즈마리는 꿀풀과에 속하는 상록성 식물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며, 주요 생산국은 프랑스, 스페인, 튀니지, 모로코로 연간 300톤의 정유가 생산된다(Shrinivas, 2008). 주요 구성 성분은 pinenes, camphor, camphene, limonene, cineole, borneol, linalool, terpineol, bornyl acetate 등(Park, 2007)으로, 간기능 활성, 알레르기성 비염, 저혈압, 근육통, 두통, 피로해소 등의 효과(Kim 등, 2002)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즈마리는 어디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가? 이처럼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것에 비해 유통되고 있는 정유의 성분함량에 대한 규제와 감독은 시행되고 있지 않으며, 기준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로즈마리는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허브(Park, 2007)로서 대체의학의 한 분야인 향기치료(아로마테라피)에서 스트레스 해소, 기분안정 등과 같은 정신적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로즈마리의 주요 구성 성분은? 로즈마리는 꿀풀과에 속하는 상록성 식물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며, 주요 생산국은 프랑스, 스페인, 튀니지, 모로코로 연간 300톤의 정유가 생산된다(Shrinivas, 2008). 주요 구성 성분은 pinenes, camphor, camphene, limonene, cineole, borneol, linalool, terpineol, bornyl acetate 등(Park, 2007)으로, 간기능 활성, 알레르기성 비염, 저혈압, 근육통, 두통, 피로해소 등의 효과(Kim 등, 2002)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강력한 항산화 효과(Uchiyanna 등, 1968)가 증명되어 현재 육제품의 산화억제(Djenane 등, 2003), 김치의 발효억제(Moon 등, 1995) 등 각종 식품의 천연보존제로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k, J.P. 2006. Effect of plant organs, harvest periods, and collected regions on the essential oil components of Lindera obtusiloba Bl. Ph.D Diss., Korea Univ., Korea. 

  2.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3. Djenane, D., A.S. Escalante, J.A. Beltran, and P. Roncales. 2003. The shelf-life of beef steak treated with DL-lactic acid and antioxidants and stored under modified atmospheres. J. Food Microbiol. 20:1-7. 

  4. Frankel, E.N., S.W. Huang, R. Aeschbach, and E. Prior. 1996. Antioxidant activity of a rosemary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carnosic acid, carnosol, and rosmarinic acid, in bulk oil and oil-in-water emulsion. J. Agric. Food Chem. 44:131-135. 

  5. Ibanez, E., A. Kubatova, F.J. Senorans, S. Cavero, G. Reglero, and S.B. Hawthorne. 2003.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rosemary plants. J. Agric. Food Chem. 51:375-382. 

  6.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2009. ISO 1342:2000- Oil of rosemary (Rosemarinus officinalis L.). ISO website. http://www.iso.org. 

  7. Kim, J.C,, M.A. Park, and M.J. Kim. 2002. Aromatherapy in primary care. J. Kor. Acad. Farm Medi. 23:417-429. 

  8.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KSCS). 2004.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useful component of crop. Hanlimwon. Suwon, Korea. 

  9. Kubeczka, K.H. and V. Formacek. 2002. Essential oils analysis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and carbon-13 NMR spectroscopy. John Wiley & Sons, Ltd. Second Edition. England. 

  10. Lee, Y.C. and J.H. Yoon. 1993. Antioxidative effects of volatile oil and oleoresin extracted from rosemary, sage, clove and nutmeg. J. Kor. Food Sci. 25:351-354. 

  11. Moon, K.D., J.A. Byun, S.J. Kim, and D.S. Han. 1995. Screening of natural preservatives to inhibit Kimchi fermentation. J. Kor. Food Sci. Technol. 27:257-263. 

  12. Park, K.W. 2007. Herb & Aromatherapy. Sunjinmunhwasa. Seoul. Korea. 

  13. Park, H.K. 200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s of Rosemarinus offcinalis, Melaleuca altemifolis and Lavendula angustifoli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Kyungnam University. Masan, Korea. 

  14. Ryu, H.Y., K.H. Bae, E.J. Kum, S.J. Park, B.H. Lee, and H.Y. Sohn. 2007.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natural spices for fresh-cut yam. J. Life Sci. 17:652-657. 

  15. Shrinivas, P.K. 2008. Market research data on essential oils and absolutes used in fragrance and flavor industry by in business. India. Goarticles Publishing. 

  16. Uchiyama, M., Y. Suzuki, and K. Fukuzawa. 1968. Biochemical studies of physiological function of tocopheronolactone. Yakugaku Zasshi. 88:678-683. 

  17. William, D.B., P.E. Tilden, K.Q. Lindahl, D.L. Wood, and P.A. Rauch. 1980. Effects of verbenone and trans-verbenol on the response of Dendroctonus brevicomis to natural and synthetic attractant in the field. J. Chem. Ecology 6:997-1013. 

  18. Woo, J.H., M.G. Mok, and K.W. Park. 2010. Aroma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ure lavender essential oil goods in different produced countries. Kor. J. Hort. Sci. Technol. 28:138-143. 

  19. Yoon, K.E. and A.N. Kim. 2007. Total poly-pheno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horticultural crops. J. Kor. Soc. People, Plant and Envir. 10:74-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