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APD-SCAR 마커 조합을 이용한 국내 육성 사과 품종 판별
Discrimination of Korean Apple Cultivars Using Combination of RAPD-SCAR Marker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8 no.5, 2010년, pp.828 - 835  

조강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허성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김현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김정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신일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한상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김세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김대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과 품종을 구분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형태적인 특성 평가를 근거로 하지만 유전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품종들은 형태적 형질에 의해 품종을 구별하기는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사과 국내 육성 품종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DNA 마커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육성과 도입 사과 31품종으로부터 30종의 임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RAPD 분석을 통해 품종 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마커 83종을 얻었다. SCAR 마커로 전환하기 위해 52종의 RAPD 단편들을 클로닝 및 염기서열 분석을 하였고 이들 중에서 17종의 SCAR 마커가 클로닝된 RAPD 단편과 동일한 크기의 단일 밴드가 증폭되었다. SCAR 마커 중 6종(AN11_433, AN08_566, A408_592, AK17_653, AO04_711, AO04_779와 AW15_368, AN11_433, A408_592, AK17_653, AO04_711, AO04_779, 또 는 AL1_427, AN11_433, AN08_566, A408_592, AK17_653, AO04_779) 또는 7종의(AL1_427, AN11_433, AN08_566, A408_592, AK17_653, AM16_708, AO04_779와 A330_424, AN11_433, AG14_502, AN08_566, A408_592, AK17_653, AO04_779 또는 A330_424, AN11_433, AK14_564, A408_592, AK17_653, AM16_708, AT14_789) 조합을 이용하여 국내 육성 16품종의 판별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17종의 SCAR 마커를 적용하여 총 31품종의 국내 육성 또는 도입품종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이들 SCAR 마커는 금후 사과 국내 육성 품종 판별을 위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ventional methods for identification of apple cultivars are based on the evaluation of set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however, closely related cultivars often cannot be distinguished by morphological trai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DNA markers for discrimination of the appl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Bernet 등(2003)도 RAPD 분석의 낮은 재현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을 이용하는 high-resolution 전기영동 하에서 재현성 있는 밴드만을 선발해야 하고,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제작하기 위해 클로닝과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SCAR 또는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CAPS)와 같은 마커로 전환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선발된 품종 특이적 RAPD 밴드 중 1,000bp 이하 크기의 52종을 대상으로 하여 클로닝과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SCAR 마커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과 품종을 구분할 수 있는 총 17종의 품종 특이적 SCAR 마커가 개발되었고(Table 3), SCAR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SCAR) 마커는 RAPD 마커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발된 RAPD 밴드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상대적으로 긴 프라이머(18-24-mer)를 설계하여 높은 annealing 온도에서 PCR을 수행함으로써 재현성과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프라이머 설계를 바꾸어 공우성 표지로 전환할 수도 있다(Paran과 Michelmore, 199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과 국내 육성 신품종의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판별이 가능한 SCAR 마커를 개발하고 그 실용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사과 품종 육성은 총 몇 종이 있는가? 또한 수관면적도 상대적으로 커서 육종기간이 매우 길고 노력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Janick 등, 1996; Korban과 Chen, 1992). 우리나라의 교배를 통한 사과 품종 육성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1988년 ‘홍로’ 품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8종의 품종이 육성되었다. 일반적으로 과수 국내 육성 품종들은 내수용과 수출용 모두 착과되지 않은 묘목상태로 공급되고 있어 형태적으로 품종 판별이 거의 불가능하다.
사과의 수관면적이 넓기 때문에 무엇이 많이 소요되는가? 사과는 영년생 작물로서 종자로부터 개화 결실되는 시기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특징을 가지며, 유전자 조성이 잡박할 뿐 만 아니라 자가불화합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관면적도 상대적으로 커서 육종기간이 매우 길고 노력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Janick 등, 1996; Korban과 Chen, 1992). 우리나라의 교배를 통한 사과 품종 육성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1988년 ‘홍로’ 품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8종의 품종이 육성되었다.
사과의 특징은? 사과는 영년생 작물로서 종자로부터 개화 결실되는 시기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특징을 가지며, 유전자 조성이 잡박할 뿐 만 아니라 자가불화합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관면적도 상대적으로 커서 육종기간이 매우 길고 노력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Janick 등, 1996; Korban과 Chen,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ernet, G.P., S. Bramardi, D. Calvache, E.A. Carbonell, and M.J. Asins. 2003. Applicability of molecular markers in the context of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cucumber. Plant Breeding 122:146-152. 

  2. Ellsworth, D.L., K.D. Rittenhouse, and R.L. Honeycutt. 1993. Artifactual variation in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banding patterns. BioTechniques 14:214-217. 

  3. Galli, Z., G. Halaz, E. Kiss, L. Heszky, and J. Dobranszki. 2005. Molecular identification of commercial apple cultivars with microsatellite markers. HortScience 40:1974-1977. 

  4. Gianfranceschi, L., N. Seglias, R. Tarchini, M. Komjanc, and C. Gessler. 1998. Simple sequence repeats for genetic analysis of apple. Theor. Appl. Genet. 96:1069-1076. 

  5. Goulao, L. and C.M. Oliveira. 2001. Molecular characterisation of cultivars of apple (Malus ${\times}$ domestica Borkh.) using microsatellite (SSR and ISSR) markers. Euphytica 122:81-89. 

  6. Goulao, L., L. Cabrita, C.M. Oliveira, and J.M. Leitao. 2001. Comparing RAPD and AFLPTM analysis in discrimination and estimation of genetic similarities among apple (Malus domestica Borkh.) cultivars. Euphytica 119:259-270. 

  7. Guilford, P., S. Prakash, J.M. Zhu, E. Rikkerink, S. Gardiner, H. Bassett, and R. Forster. 1997. Microsatellites in Malus $\times$ domestica (apple): abundance, polymorphism and cultivar identification. Theor. Appl. Genet. 94:249?254. 

  8. Harada, T., K. Matsukawa, T. Sato, R. Ishikawa, M. Niizeki, and K. Saito. 1993. DNA-RAPD detect genetic variation and paternity in Malus. Euphytica 65:87-91. 

  9. Janick, J., J.N. Cummins, S.K. Brown, and M. Hemmat. 1996. Apples. p. 1-77. In: J. Janick, J.N. Moore, eds, Fruit Breeding, Vol I: Tree and Tropical Fruits. John Wiley and Sons, N.Y. 

  10. Jun, J.H., K.H. Chung, S.B. Jeong, and H.J. Lee. 2005. Identification of RAPD and AFLP markers linked to the fruit acidity gene D in Peach (Prunus persica). J. Kor. Soc. Hort. Sci. 46:43-48. 

  11. Koller, B., A. Lehmann, J.M. McDermott, and C. Gessler. 1993. Identification of apple cultivars using RAPD markers. Theor. Appl. Genet. 85:901-904. 

  12. Korban, S.S. and H. Chen. 1992. Apples. P. 203-227. In: F. Hammerschlag, R. Litz, eds, Biotechnology of perennial fruit tree crops. CAB International, Oxnard, C.A. 

  13. Muralidharan, K. and E.K. Wakeland. 1993. Concentration of primer and template qualitatively affects products in randomamplified polymorphic DNA PCR. BioTechniques 14:362-364. 

  14. Paran, I. and R.W. Michelmore. 1993. Development of reliable PCR-based markers linked to downy mildew resistance genes in lettuce. Theor. Appl. Genet. 85:985-993. 

  15. Xu, H., D.J. Wilson, S. Arulsekar, and A.T. Bakalinsky. 1995. Sequence-specific polymerase chain-reaction markers derived from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s for fingerprinting grape (Vitis) rootstocks. J. Amer. Soc. Hort. Sci. 120:714-7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