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잔디 중지 변이개체와 연관된 RAPD-SCAR 마커
RAPD-SCAR Markers Linked to Medium-Leaf Zoysiagrass Ecotypes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2 no.2, 2013년, pp.191 - 197  

정성진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박수정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김헌중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양근모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최준수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오찬진 (전남산림자원연구소) ,  장덕환 (한국잔디연구소) ,  송인자 (제주대학교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  이긍주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잔디 신품종 개발 목적으로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일대 한국잔디 중지류 생산포장에서 선발한 생육 및 피복속도가 빠르고 밀도 또는 가을철 녹색기간이 긴 2개 우량계통을 대상으로 DNA 수준에서 기존 중지류 또는 한국잔디들과 차이를 살펴보고 신품종 특이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DNA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RAPD-SCAR 마커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RAPD 프라이머스크리닝 한 결과 N8021와 N8001 프라이머가 CY6069와 CY6097 품종 각각에 특이적인 DNA 절편을 약 600 bp와 700 bp 부근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특이 밴드는 TA-cloning vector에 삽입 후 대장균에 형질전환하여 배양하였고, 이로부터 추출된 플라스미드 DNA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중지류 신품종 특이 SCAR 마커 프라이머를 작성하였다. CY6069 선발 품종 특이 SCAR 마커(CY6069_550)는 다른 한국잔디 들잔디(야지), 한국잔디 중지, 갯잔디, 금잔디에서는 보이지 나타나지 않았던 식별 가능한 밴드를 보였고(550 bp), CY6097 선발 품종 식별을 위한 SCAR 마커(CNU70-6_1500)도 CY6097 계통에서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DNA 밴드를 약 700 bp 부근에서 증폭할 수 있었다. 형태 및 생육특성 차이와 함께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RAPD-SCAR 마커를 활용하면 선발된 중지류 한국잔디 CY6069와 CY6097 계통을 실험실내에서 PCR을 통해 유전자원 식별 및 원산지 증명이 가능해졌고 영양번식을 통해 주로 번식하는 난지형 잔디 생산 포장에서 품종의 혼입으로부터 정확하게 분리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medium-leaf ecotypes (CY6069, CY6097) belonging to one species (Zoysia japonica) of Korean lawngrasses were selected in sod production fields in Jang Seong, Korea. They were reported to have distinct morphological and growth rat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medium-leaf type zo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앞서 보고된 중지류 한국잔디 선발 신품종을 식별할 수 있는 PCR기반 DNA 마커의 개발과 그 검증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선발된 중지류2개 출원 품종(CY6069, CY6097)을 대상으로 하여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제놈(genome)을 무작위 절단 하여 얻어진 특이 DNA 절편을 PCR 조건에 적합한 염기서열 기반 프라이머로 제작하고자 하였다.
  • 선발된 2계통의 밝혀진 염기서열을 기초로 다형성을 보인 DNA 절편 전체를 증폭하기 위하여 SCAR 마커 프라이머 쌍을 디자인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Table 2). 증폭조건을 달리하여 선발계통과 다른 국내에서 생육하고 있는 4종의 한국잔디(들잔디, 안양중지, 갯잔디 및 금잔디)를 대상으로 PCR 증폭을 실시한 결과 기대했던 크기의 DNA 절편을 얻을 수가 있었다(Fig.
  • 한국 잔디 신품종 개발 목적으로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일대 한국잔디 중지류 생산포장에서 선발한 생육 및 피복속도가 빠르고 밀도 또는 가을철 녹색기간이 긴 2개 우량계통을 대상으로 DNA 수준에서 기존 중지류 또는 한국잔디들과 차이를 살펴보고 신품종 특이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DNA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RAPD-SCAR 마커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RAPD 프라이머를 스크리닝 한 결과 N8021와 N8001 프라이머가 CY6069와 CY6097 품종 각각에 특이적인 DNA 절편을 약 600 bp와 700 bp 부근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잔디의 분포지는 어디인가? 한국 잔디(Korean lawngrass; Zoysia spp.)는 동아시아 한국, 일본 및 중국 만주 등지에 분포하며 전 세계에 약 10여 종(species)가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ateoka, 1955; Zotov, 1971). 한국잔디의 타가수분율은 약 11-49%로 자가수정 및 타가수정에 의하여 모두 종자가 발생하여 종내(intraspecies) 뿐 아니라 종간(interspecies)에도 교잡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Choi et al.
한국잔디의 타가수분율은 얼마인가? )는 동아시아 한국, 일본 및 중국 만주 등지에 분포하며 전 세계에 약 10여 종(species)가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ateoka, 1955; Zotov, 1971). 한국잔디의 타가수분율은 약 11-49%로 자가수정 및 타가수정에 의하여 모두 종자가 발생하여 종내(intraspecies) 뿐 아니라 종간(interspecies)에도 교잡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Choi et al., 2008; Engelke and Murray, 1989; Hong and Yeam, 1985).
CY6069와 CY6097 2개 계통의 대조 한국잔디로 사용된 것은 무엇인가? , 2012). 이들 타겟 선발종과 함께 본 실험에 이용된 대조 한국잔디 종에는 충남대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한국 들잔디(Zoysia japonica) 야생형(들잔디 종자에서 유래한 실생묘), 한국 들잔디 ‘안양중지’(단국대학교에서 공급), 갯잔디(Zoysia sinica: 국내 바닷가 수집), 그리고 금잔디(Zoysia matrella: 전남지역 수집)가 포함되었다(Fig. 1과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braham, E., Aa, M., Honig, J., Kubik, C. and Bonos, S.A. 2005. The use of scar markers to identify Texas x Kentucky bluegrass hybrids. Int. Turfgrass Soc. Res. J. 10:495-500. 

  2. Anderson, M.P., Taliaferro, C.M., Martin, D.L. and Anderson, C.S. 2001. Comparative DNA profiling of U3 turf bermudagrass strains. Crop Sci. 41:1184-1189. 

  3. Bae, E.J., Park, N.C., Lee, K.S., Lee, S.M., Choi, J.S., et al. 2010. Distribution and 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native zoysiagrasses (Zoysia spp.) grown in South Korea. Kor. Turfgrass Sci. 245:97-105. (In Korean) 

  4. Busconi, M., Foroni, C., Corradi, M., Bongiorni, C., Cattapan, F. et al. 2003. DNA extraction from olive oil and its use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production cultivar. Food Chem. 83:127-134. 

  5. Caetano-Anolles, G., Callahan, L.M., Williams, P.E., Weaver, K.R. and Gresshoff, P.M. 1995. DNA amplification fingerprinting analysis of bermudagrass (Cynodon): 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and interspecific crosses. Theor. Appl. Genet. 91:228-235. 

  6. Choi, D.K., Yang, G.M. and Choi, J.S. 2008. Flowering periods, genetic characteristics, and cross-pollination rate of Zoysia spp. In natural open-pollination. Kor. Turfgrass Sci. 22:13-24. (In Korean) 

  7. Choi, J.S., Yang, G.M., Oh, C.J. and Bae, E.J. 201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rate of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collected at major sod production area in S. Korea. Asian J. Turfgrass Sci. 26:1-7. (In Korean) 

  8. Chung, S.J., Park, S.J., Choi, Y.I., Kim, I.K., Lee, K.Y., et al. 2013. SCAR markers were developed to identify zoysiagrass mutants exhibiting fine leaf characteristics. CNU J. Agr. Sci. 40:1-5. (In Korean) 

  9. Engelke, M.C. and Murray, J.J. 1989. Zoysiagrass breeding and cultivar development. The 6th International Turfgrass Research Conference:423-425. 

  10. Hong, K.H. and Yeam, D.Y. 1985. Studies on interspeciic hybridization in Korean lawngrass (Zoysia spp.). J. Kor. Soc. Hort. Sci. 26:169-178. (In Korean) 

  11. Hyun, S.J., Shim, S.R. and Ahn, B.J. 2010. Analysis of hybridization in Korean ecotypes of Poa pratensis L. using RAPD and SCAR markers. Kor. J. Hort. Sci. Technol. 28:281-287. (In Korean) 

  12. Ishii, K. and Fukui, M. 2001. Optimization of annealing temperature to reduce bias caused by a primer mismatch in multitemplate PCR. Appl. Environ. Microbiol. 67:3753-3755. 

  13. Kang, B.C., Namkung, Y. and Shin, H.K. 1999. Analysis of the genetic variation in Anyang Joonggi and development of Anyang Joonggi specific DNA marker. Kor. J. Hort. Sci. Technol. 17:197. 

  14. Kang, S.Y., Lee, G.J., Lim, K.B., Lee, H.J., Park, I.S., Chung, S.J., Kim, J.B. and Rhee, H.K. 2008. Genetic diversity among Korean bermudagrass (Cynodon spp.) ecotypes characterized by morphological, cytological and molecular approaches. Mol. Cells 25:163-171. 

  15. Kumar, N.S. and Gurusubramanian, G. 2011.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and its applications. Sci. Vision 11:116-124. 

  16. O'Brien, P. 2012. Tifgreen bermudagrass: past, present, and future. USGA Green Sec. Record 50:1-4. 

  17. Parodi, B., Aresu, O., Bini, D., Lorenzini, R., Schena, F., et al. 2002. Species identification and confirmation of human and animal cell lines: a PCR-based method. BioTechnique 32:432-440. 

  18. Scheef, E.A., Casler, M.D. and Jung, G. 2003.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SCAR markers in bentgrass. Crop Sci. 43:345-349. 

  19. Tateoka, T. 1955. Karyotaxonomy in Poaceae III. Further studies of somatic chromosomes. Cytologia 20:296-306. 

  20. Yerramsetty, P.N., Anderson, M.P., Taliaferro, C.M. and Martin, D.L. 2008. Genetic variations in clonally propagated bermudagrass cultivars identified by DNA fingerprinting. Plant Omics J. 1:1-8. 

  21. Zotov, V.D. 1971. Zoysia Willd. (Gramineae) in New Zealand. New Zealand J. Bot. 9:639-6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