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바위솔과 제주연화바위솔 종자의 형태특성 및 저온과 GA에 대한 발아 반응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as Affected by Low Temperature and GA in Orostachys 'Jirisan' and 'Jejuyeonhwa' Seeds, Korea Native Plant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8 no.6, 2010년, pp.913 - 920  

강정희 (남보주식회사) ,  정경진 (진주산업대학교 원예학과) ,  최경옥 (진주산업대학교 원예학과) ,  천영신 (진주산업대학교 원예학과) ,  윤재길 (진주산업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하나인 지리산바위솔($O.$ $japonicus$ A. Berger)과 제주연화바위솔[$O.$ $iwarenge$ (Mak.) Hara]의 종자 형태를 관찰하고 종자발아생리를 구명하기 위해 저온과 GA를 처리하였다. 종자의 형태를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2가지 바위솔 모두 세로로 주름진 쌀알 모양이었으며, 크기는 길이 0.77-1.00mm, 폭 0.25-0.37mm로 미세 종자임이 확인되었다. 휴면유무와 발아최적 온도를 구명하기 위해, Petri-dish에 파종후 온도가 다른 파종상에서 발아 시켰을 때, 지리산바위솔은 모든 온도에서 20% 이하의 발아율을 보였고, 제주연화바위솔은 $10^{\circ}C$에서만 80% 정도의 발아율을 보였다. $4^{\circ}C$ 냉장고에 건식저장을 하면서 10일 간격으로 온도별로 파종한 결과, 지리산바위솔은 무처리에서는 발아가 전혀 보이지 않았다. 10일간 저온처리 후 $10^{\circ}C$ 파종상에 두었을 때 발아율 44%로 많이 향상되었으나, 그 이상의 저온 처리에서는 발아율이 다시 감소하였다. 제주연화바위솔의 경우 저온 처리 30일까지는 발아율이 크게 향상되어 $10^{\circ}C$에서 95% 발아율을 보였다. 그러나 그 이상의 저온처리(40일)에서는 발아율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GA_3$ 농도를 $50-400mg{\cdot}L^{-1}$으로 하고, 침지시간은 3-24시간 범위로 하였을 때, 두가지 바위솔 모두 발아 속도가 현저하게 빨라지고 발아율이 획기적으로 높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지리산바위솔은 모든 침지 시간에서 80-100% 발아율을 보였다. 제주연화바위솔도 $GA_3$ 농도와 시간에 상관 없이 파종 후 6일만에 90-10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eed germination by low temperature and $GA_3$ in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Jirisan) and $O.$ $iwarenge$ (Mak.) Hara (Jejuyeonhwa), Korean native plants. Observation of the seeds using a stereo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바위솔 종자의 발아 생리를 구명하여 종자를 이용한 대량 증식 체계를 확립할 목적으로 국내 자생 바위솔 2종의 종자에 대해 형태적 특성과 저온처리 및 GA처리에 대한 발아반응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면중인 종자를 인위적으로 휴면 타파하기 위한 조건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대부분의 식물 종자는 휴면기작이있으며, 겨울에 일정 저온을 일정 기간 겪어야만 휴면이 타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휴면중인 종자를 인위적으로 휴면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1-8℃의 저온에서 1개월에서 3개월정도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식물의 종에 따라 효과적인 처리 온도와 처리 기간이 달라지는 것으로 보고(Salisbury와 Ross, 1992)되고 있어 바위솔 종자의 휴면 타파를 위한 온도 및 처리기간이 구명될 필요가 있다.
바위솔 속식물은 왜 분화용, 암석원 및 온상조경 등의 소재로 이용되는가? 식물체가 국소적으로 분포하고 충매와 무성 생식을 겸하는 생식 양상 때문에 대체적으로 낮은 유전적 변이를 나타내고 있다(Kim과 Park, 2005). 바위솔 속식물은 종간뿐만 아니라 같은 종 내에서도 지역환경에 의하여 엽형, 엽색, 엽내의 붉은 점과 붉은 테두리가 생기는 등 자생지마다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적 특성과 변종을 나타내며 내건성이 강하여 분화용, 암석원 및 옥상조경의 소재로서 관상 가치가 매우 높은 식물이다. 또한, 한방에서 와송(瓦松)으로 불리는 바위솔은 간염, 지혈, 습진, 화상 및 항암 효과가 있으며, 생체를 그대로 녹즙으로 이용하거나 가을철 수확된 전초 또는 환 등으로 가공한 후 이용되고 있다(Shin 등, 1994).
휴면을 타파하고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물호르몬으로 GA3을 이용한 경우 어떤 효과가 있는가? 또한 휴면을 타파하고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물호르몬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GA3(Amen, 1967; Kim, 1992) 와 BA(Kim, 1992)의 효과가 크게 인정받고 있다. GA3처리는 배의 휴면과 여타 원인에 의하여 유발되는 종자휴면을 타파하여 발아율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저온처리를 대체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oon 등, 1997). 발아율 향상을 위한 GA3의 적정 처리 농도 및 처리시간은 식물종에 따라 달라지는데(Bewley와 Black, 1982), Yoon 등(1997)은 약용작물 중 참당귀, 갯방풍 및 시호 등 산형과에 속하는 종들에 있어서 1-500mg・L-1까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높아졌다고 보고하였고, Kang 등(2001)은 활나물 종자를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n, R.D. 1967. The effect gibberellic acid and stratification on the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in Luzula Spicata. Physiol. Plant. 20:6-12. 

  2. Ball, V. 1998. Ball redbook (16th ed.), Ball publishing, Illinois, USA, p. 413-414. 

  3. Bewley, J.D. and M. Black. 1982. The release from dormancy. p.127-198. In J.D. Bewley and M. Black (eds.).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seeds. Springer-Verlag. Berlin, Heideberg, Germany. 

  4. Cho, D.H., C.H. Park, B.J. Park, S.E. Shin, K.C. Lee, C.Y. Yu, and S.D. Ahn. 1997.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temperature, and light on the germination in wild vegetable (Chwinamul) seeds. Kor. J. Plant Res. 10:39-44. 

  5. Choi, G.S., K.W. Park, and H.M. Kang. 2003. Effect of temperature, light condition, and priming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of Aster glehni FR. seed. J. Bio-environ. Cont. 12:132-138. 

  6. Choi, S.O. and M.S. Yang. 1992. Some biochemical component changes during the culture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 J. Plant Tissue Culture 19:209-212. 

  7. Heyenga, A.G., J.A. Lucas, and P.M. Dewick. 1990. Production of tumor inhibitory lignins in callus cultures of Podophyllum hexandrum. Plant Cell Rep. 9:382-385. 

  8. Jeong, H.W. 1991. Studies on the propagation on Korea native Aralia (Aralia elata Seemann).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9. Kang, J.H., J.S. Park, and J.W. Kim. 1995. Effect of long-day and night-break treatment on growth and anthesi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 J. Medical Crop Sci. 40:600-607. 

  10. Kang, J.H., Y.S. Ryu, and B.G. Cho. 1996. Effect of night-break period on growth and anthesis of Orostachys japonicus. Kor. J. Medical Crop Sci. 41:236-242. 

  11. Kang, J.H., Y.J. Kim, and B.S. Jeon. 2001. Effects of presown cold stratification, $KNO_{3}$ and acetone treatment on germination of Crotalaria sessiflora L. Kor. J. Medical Crop Sci. 9: 124-129. 

  12. Kang, J.H., S.H. Jeon, S.Y. Yoon, D.O. Hong, and S.C. Shin. 2005. Effect of different temperatures on growing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 J. Medical Crop Sci. 13:186-189. 

  13. Kim, H.D. and K.R. Park. 2005. Genetic variation in five species of Korean Orostachys (Crassulaceae). Kor. J. Plant Taxonomy 35:295-311. 

  14. Kim, K.S. 1992. Dormancy and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MS thesis. Seoul Nat. Univ., Seoul. Korea. 

  15. Kunjun, F. and H. Ohba. 2001. Crassulaceae. In Flora of china. Wu, Z. and P.H. Raven (eds.).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p. 202-268. 

  16. Kwon, T.R., J.H. Jo, Y.S. Kwon, S.P. Lee, and B.S. Choi. 1993. Study on seed treatments to facilitate germination of some wild edible greens. RDA. J. Agri. Sci. 35:416-421. 

  17. Lee, C.B. 1987. Plant taxonomy. Sin-Go Hyangmoonsa. Korea. p. 223-224. 

  18. Lee, C.H and N.Y. Han. 1994. Effect of cold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in Viola species native to Korea. J. Kor. Soc. Hort. Sci. 12:342-343. 

  19. Lee, K., H. Kim, and K. Park. 2003. Numerical taxonomy of Korean Orostachys (Crassulaceae). Kor. J. Taxon. 33:359-371. 

  20. Ohba, H. 1990. Notes towards a monograph of genus Orostachys (Crassulaceae). J. Jpn. Bot. 65:1-11. 

  21. Ohba, H. 2003. Orostachys. in illustrated handbook of succulent plants: Crassulaceae. Eggli, U. (ed.), Springer-Verlag, Heidelberg. p. 186-190. 

  22. Park, K.W., K.W. Park, Y.J. Lee, and H.S. Choi. 1996. Studies of seed germination of some wild greens and effect of chilling treatment on germination. J. Kor. Sci. Hort. 14 (Suppl. II): 148-149. (Abstr.) 

  23. Park, K.W., G.P. Lee, K.W. Park, and J.C. Jeong. 1998. Seed morphology of thirty Korean wild green species and effect of seed stratification on germination. Hort. Environ. Biotechnol. 39:129-134. 

  24. Salisbury, F.B. and C.W. Ross. 1992. Hormones and growth regulators: auxins and gibberellin. p. 485-503. In F.B. Salisbury and C.W. Ross ( $4^{th}$ eds.). Wadsworth Publishing Co., Belmont, CA, USA. 

  25. Shin, D.Y., Y.M. Lee, and H.J. Kim. 1994. Anatomy and artificial seed propagation in anti-cancer plant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 J. Crop Sci. 39:146-157. 

  26. Yang, Y.J. and Y.S. Kim. 1993. Seed germination of Korean wild medicinal plants: Capsella bursapastoris, Persicaria perfoliata and Commelina communis. J. Kor. Soc. Hort. Sci. 34:315-319. 

  27. Yoo, D.L., K.S. Cho, S.Y. Ryu, and I.C. Ryu. 1999. Effect of low temperature and gibberellin treatment for promoting seed germination on Hanabusaya asiatica. Kor. J. Soc. Hort. Sci. Tech. 17(Suppl. II):674. (Abstr.) 

  28. Yoon, S.T., D.J. Lee, and Y.H. Kim. 1997. The technology for increasing seed viability by priming treatment and plant growth regulators in medicinal plants. Kor. J. Int. Agri. 11:85-9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