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 종류와 광 조건이 희귀특산식물 연화바위솔 및 울릉연화바위솔 규격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Type and Light Condition on Seedling Quality of Rare and Endemic Plants Orostachys iwarenge and Orostachys iwarenge for. magnu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7 no.2, 2014년, pp.174 - 182  

이수광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이동준 (울릉군 농업기술센터) ,  김효연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구자정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희귀식물 연화바위솔과 희귀특산식물 울릉연화바위솔의 종 보존을 위해 양질의 규격묘 생산방법을 구명하고자 토양종류와 광 조건이 규격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화바위솔과 울릉연화바위솔 모두 클라스만 토양에서 우수한 생육특성을 나타냈다. 광 조건에 따른 연화바위솔의 생육특성은 무차광 처리와 적색과 청색 LED 혼합처리조건에서 우수한 생육특성을 보였으며, 울릉연화바위솔은 LED 혼합처리조건과 50% 차광처리조건에서 우수한 생육특성을 나타냈다. 울릉연화바위솔은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사토에서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각각의 생육특성과 생존율간의 상관분석 결과 연화바위솔은 초장과 엽장, 지상부생체중 사이에 0.8 이상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울릉연화바위솔도 초장과 엽폭, 엽장 사이에 0.8 이상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 사이에 0.65 이상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초장이 지상부 생육특성을 대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화바위솔과 울릉연화바위솔 모두 1차 측정 생존율과 2차 측정 생존율 사이에 0.8 이상의 상관관계를 보여 초기 유묘 초장과 생존율 관리가 양질의 규격묘 획득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화바위솔과 울릉연화바위솔을 3월 중순에 파종하여 30일 후 지상부 2 mm, 지하부 3 mm 이상 되는 유묘를 클라스만 상토가 충진된 72구 트레이에 이식하고 적색과 청색의 LED 혼합처리조건에 35일 간 육묘하면 초장과 근장이 각각 2.5~4 cm, 3~5 cm 이상 되고 엽수가 11매 이상 되는 규격묘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il type and light condition on seedling quality of rare and endemic plants Orostachys iwarenge and Orostachys iwarenge for. magnus. The best seedling quality of O. iwarenge and O. iwarenge for. magnus seedling were shown in Klasmann soil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 종류와 광 조건이 연화바위솔과 울릉연화바위솔 규격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릉연화바위솔과 연화바위솔의 차이는 무엇인가? iwarenge for. magnus)은 꽃이 연꽃을 닮아 연화바위솔이라 불리며 울릉연화바위솔은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식물로 잎이 넓은 타원형이고 수술이 주황색인 점이 연화바위솔과의 차이점이다(Lee, 2006).
연화바위솔과 울릉연화바위솔의 생육특성은 광 조건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그 결과 연화바위솔과 울릉연화바위솔 모두 클라스만 토양에서 우수한 생육특성을 나타냈다. 광 조건에 따른 연화바위솔의 생육특성은 무차광 처리와 적색과 청색 LED 혼합처리조건에서 우수한 생육특성을 보였으며, 울릉연화바위솔은 LED 혼합처리조건과 50% 차광처리조건에서 우수한 생육특성을 나타냈다. 울릉연화바위솔은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사토에서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기존에 진행되었던 바위솔속 식물에 관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바위솔속 식물은 약용, 지피조경 및 실내분화용으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증식 및 재배와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어 현재까지 차광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Lee and Bang, 1998; Kim et al., 2003; Hong et al., 2006)과 분화재배를 위한 연구(Chon et al., 2011; Jeong et al., 2012) 등이 진행된 바 있다. 하지만 대량 생산을 위한 기초 단계인 규격묘 생산과 그 특징을 구명한 연구는 아직까지 진행된 바 없이 농가에서 경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ng, G.W. and Y.H. Kim. 2012. LED for plant growth regulators for the study of light on the device. J. Dig. Pol. and Man. 10:267-272 (in Korean). 

  2. Choi, J.M., J.W. Ahn, J.H. Ku and Y.B. Lee. 1997.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seedling growth of red-pepper in plug system. J. Kor. Soc. Hort. Sci. 38:618-624 (in Korean). 

  3. Chon, Y.S., S.W. Lee, K.J. Jeong, S.H. Ha, J.H. Bae and J.G. Yun. 2011. Growth and quality affected by light intensity, potting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 in potted Orostachys 'Nungyu bawisol'. J. Bio-Envir. Control. 20:357-364 (in Korean). 

  4. Hong, D.O., C.W. Lee, H.Y. Kim, J.H. Kang, Y.S. Ryu and S.C. Shin. 2006. Shading effect on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ean J. Medical Crop Sci. 14:239-243 (in Korean). 

  5. Jeon, S.H. 2006.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by controlling daylengths, different temperatures and transplanted seedling sizes.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p. 5 (in Korean). 

  6. Jeong, K.J., Y.S. Chon, K.O. Choi, S.H. Ha and J.G. Yun. 2012. Proper light intensity, potting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 for potted Orostachys iwarenge for. magnus. Korean J. Hor. Sci. Technol. 30:357-362 (in Korean). 

  7. Kang, J.H., K.J. Jeong, K.O. Choi, Y.S. Chon and J.G. Yun. 2010.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as affected by low temperature and GA in Orostachys 'Jirisan' and 'Jejuyeonhwa' seeds, Korea native plant. Korean J. Hor. Sci. Technol. 28:913-920 (in Korean). 

  8. Kim, S.K., B.Y. Ryu and C.H. Lee. 2003. Effect of shading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everal Orostachys species native to Korea. J. Korean Inst. Inte. Land. Archi. 5:1-9 (in Korean). 

  9. Kim, Y.B., Y.H. Hwang and W.K. Shin. 1999. Effects of root container size and seedling age on growth and yield of tomato. J. Kor. Soc. Hort. Sci. 40:163-165 (in Korean). 

  10. Klasmann-Deilmann GmbH. 2013. Easy Growing. Geeste, Germany. pp. 2-14.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Geobook, Gyeonggi, Korea. p. 191 (in Korean). 

  12. Kumar, G.N.M., F.E. Larsen and K.A. Schekel. 2009. Propagating Plants from Seed. A pacific northwest extension publication. Washington State University. USA. pp. 5-12. 

  13. Lee, J.S. and K.J. Bang. 1998. Effect of daylength and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iwarenge. J. Kor. Soc. Hort. Sci. 39:83-85 (in Korean). 

  14. Lee, Y.N. 2006. New Korean Illustrated Plant Book 1. Kyohaksa, Seoul, Korea. pp. 490-494 (in Korean). 

  15. Li, C.H., J.D. Lim, M.J. Kim and C.Y. Yu. 2003. Effects of $GA_3$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survival rate of Acanthopanax senticosus Maxim. Korean J. Medical Crop Sci. 11:207-211 (in Korean). 

  16. Park, S.Y., S.I. Kim and J.H. Jeong. 2004. Effect of compositions of media on growth of plug seedlings in several Korean native wild herbaceous plants. Flower Res J. 12:247-253 (in Korean). 

  17. Park, I.S., G.J. Lee, D.S. Kim, S.J. Chung, J.B. Kim, H.S. Song, D.H. Goo and S.Y. Kang. 2007. Mutation breeding of a spray Chrysanthemum 'Argus' by gamma-ray irradiation and tissue culture. Flower Res J. 15:52-57 (in Korean). 

  18. Park, J.H., S.H. Kim, H.R. Son, W.C. Jang and J.C. Kim. 2012. Comparison of growth and constituent of Ostericum praeteritum Kitag. by seedling cultivation methods. Korean J. Plant Res. 25:586-590 (in Korean). 

  19. Sinjushin, A.A. and J.A. Akopian. 2011. On seedling structure in Pisum L., Lathyrus L. and Vavilovia Fed. (Fabeae: Fabaceae). Wulfenia 18:81-93. 

  20. Son, K.H., J.H. Park, D.I. Kim and M.M. Oh. 2012. Leaf shape index, growth, and phytochemicals in two leaf lettuce cultivars grown under monochromatic light-emitting diodes. Korean J. Hor. Sci. Technol. 30:664-672 (in Korean). 

  21. Son, M.S., J.Y. Song and B.R. Jeong. 2011. Environment in apartment verandas at three floors, and change in growth of selected ornamental plants under simulated light intensities. Korean J. Agric. Life Sci. 45:43-51 (in Korean). 

  22. Song, C.Y. and E.K. Song. 2012. Effects of indoor position and LED on growth of two grafted cacti and one succulent planted in a pot. Flower Res J. 20:64-7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