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소아청소년 비만에서 허리둘레-신장비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e Waist Circumference-to-Height Ratio in Screening for Obes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원문보기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v.13 no.2, 2010년, pp.180 - 192  

길주현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이미나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이혜아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박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서정완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2005년 소아청소년 신체 계측조사의 원자료를 분석하여, 비만을 진단하기 위한 WHTR 최적 절단값을 구하고, 허리둘레와 BMI 기준과 비교하여, 성별, 연령별 참고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간편한 단일지표로서 WHTR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소아청소년 신체 계측조사 자료에서 신장, BMI, 허리둘레를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WHTR 값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WHTR이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한 범위를 선정하기 위해 2~5세, 6~18세의 연령군으로 나누어 연령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6~18세의 소아청소년에서, ROC분석을 시행하여 비만 진단 지표로서 WHTR, 허리둘레의 정확도를 비교하였고, BMI로 정의한 과체중과 비만을 진단하기 위한 WHTR의 최적 절단값을 구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STATA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 과: 1. WHTR은 연령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001). 특히, 6~18세 연령군에서 2~5세 연령군에 비해 연령에 따른 WHTR의 변화의 폭이 작았고, 연령과의 상관성이 더 약하였다(남아 r=.0.16 vs .0.53, 여아 r=.0.14 vs .0.56). WHTR은 6~18세에서 허리둘레에 비해 연령과의 상관성이 더 약하였다(남아 r=.0.16 vs 0.66, 여아 r=.0.14 vs 0.65). 2. BMI로 정의한 비만과 과체중군을 진단하는 데 있어서 WHTR의 AUC가 허리둘레의 AUC에 비해 유의하게 더 컸고, 정확도가 더 좋았다(p<0.0001). 3. 연령에 구애받지 않는 WHTR의 최적 절단값을 구하기 위하여 6~18세의 연령군에서 ROC 분석을 시행하였다. 비만군(BMI 95 백분위수 이상)에 해당하는 최적 절단값은 남아 0.51, 여아 0.49, 과체중 및 비만군(BMI 85 백분위수이상)에 해당하는 최적 절단값은 남아 0.48, 여아 0.47이었다. BMI 백분위수와 무관하게 아시아 성인 비만의 기준인 BMI 25 kg/$m^2$ 이상을 적용하였을 때, 최적 절단 값은 남아 0.49, 여아 0.48이었다. 모든 값은 AUC 0.9 이상으로 매우 정확한 지표였다. 4. 비만군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WHTR 최적 절단값과 허리둘레${\geq}$90백분위수를 비교했을 때, WHTR의 민감도가 더 좋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6~18세 소아청소년에서 성별, 연령별 참고치를 찾을 필요가 없으며, 연령에 따른 상관성이 약하여 허리둘레보다 민감하고, 비만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실용적 기준으로 WHTR (남아 0.51, 여아 0.49)을 제시하였다. WHTR은 일반인도 쉽게 사용 할 수 있어, 비만을 조기에 선별하고 중재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usefulness of the waist circumference-to-height ratio (WHTR) in screening for obes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Data, including body 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WC), and height,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growth surveys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6∼18세의 연령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0.5보다 더 정확한 최적 절단값을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소아청소년의 대규모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WHTR의 유용성을 처음으로 분석한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소아청소년에서 허리둘레를 일상적으로 측정할 것을 제안하며, 대사증후군을 예측할 수 있는 WHTR 최적 절단값에 대한 연구, BMI 기준과의 비교 연구, 종단적 코호트 연구 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또한 비만 소아청소년에서 허리둘레를 재는 부위에 따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도가 달라지며, 가장 가는 허리둘레, 늑골 하부연과 장골 정점의 중간의 허리둘레, 이 두 가지 방법이 대사증후군 발생과 가장 연관성이 크다는 보고가 있었다39). 이번 연구에서는 피검자의 상체 중 가장 가는 허리둘레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WHTR이 단일지표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허리둘레를 측정하는 방법이 통일되어야 하고, 허리둘레를 맥박이나 체중, 키를 재는 것과 마찬가지로 항상 측정하도록 권장하여야 한다10).
  •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한국 소아청소년 신체발육 및 표준치 제정사업에서 처음으로 허리둘레를 측정하게 되었으므로24,25), 아직까지 WHTR에 대한 대규모 분석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소아청소년 신체 계측조사의 원자료를 분석하여, 비만을 선별하기 위한 WHTR의 최적 절단값을 구하고, 이를 허리둘레와 BMI 비만기준과 비교하여, 성별, 연령별 참고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간편한 단일지표로서 WHTR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청소년기 비만이 안 좋은 이유는? 5배 가량 증가하였다2,3). 소아청소년기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고4),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성인질환이 조기에 심하게 나타나게 되며, 특히 복부 비만은 심혈관계 질환 발생의 예측인자이다5-7). 또한 소아청소년기에 천식과 골절의 위험도가 높고, 고혈압, 인슐린 내성, 고지혈증 등의 대사위험인자가 이미 발견되고 있으며8,9), 이외에도 학업성취, 정신심리적인 건강, 학교생활에의 적응 등에서 다양한 심신의 문제를 일으킨다10). 따라서, 소아청소년기 건강을 지키고 비만 연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과체중과 비만을 선별하여 조기에 중재하는 것이 중요하다10).
과체중과 비만은 일반적으로 무엇으로 정의하는가? BMI는 체지방과의 연관성은 좋으나11), 근육량이 많거나 키가 작은 경우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고, 체지방 분포를 반영하지 못하여 복부비만을 선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11,12). 과체중과 비만은 일반적으로 BMI나 상대체중을 이용한 비만도로 정의하고 있으나, BMI 25 kg/m2나 30 kg/m2, 표준체중의 120% 이상 등 단일비만기준을 사용하는 성인10,13)과는 달리, 소아청소년에서는 인종에 따른 연령별, 성별 표준체중이나 BMI 백분위수를 참고하여 판단하므로, 일반인이 비만여부를 쉽게 알 수 없다.
체질량지수의 단점은? 다양한 비만의 기준이 있으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비만을 선별하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BMI는 체지방과의 연관성은 좋으나11), 근육량이 많거나 키가 작은 경우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고, 체지방 분포를 반영하지 못하여 복부비만을 선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11,12). 과체중과 비만은 일반적으로 BMI나 상대체중을 이용한 비만도로 정의하고 있으나, BMI 25 kg/m2나 30 kg/m2, 표준체중의 120% 이상 등 단일비만기준을 사용하는 성인10,13)과는 달리, 소아청소년에서는 인종에 따른 연령별, 성별 표준체중이나 BMI 백분위수를 참고하여 판단하므로, 일반인이 비만여부를 쉽게 알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Li C, Ford ES, Mokdad AH, Cook S. Recent trends in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height ratio among US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s 2006;118:1390-8. 

  2. Oh KW, Jang MJ, Lee NY, Moon JS, Lee CG, Yoo MH, et al.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1997 and 2005. Korean J Pediatr 2008;51:950-5. 

  3. Kim YS, Park MJ. Time trend in height, weight, BMI and waist circumference of Korean adolescen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1998, 2001 and 2005. 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2007;12:142-9. 

  4. Guo SS, Roche AF, Chumlea WC, Gardner JD, Siervogel RM. The predictive value of childhood body mass index values for overweight at age 35 y. Am J Clin Nutr 1994;59:810-9. 

  5. Savva SC, Tornaritis M, Savva ME, Kourides Y, Panagi A, Silikiotou N, et al.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to-height ratio are better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children than body mass index.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0;24:1453-8. 

  6. Daniels SR, Morrison JA, Sprecher DL, Khoury P, Kimball TR. Associ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irculation 1999;99:541-5. 

  7. Barlow SE; Expert Committee. Expert committee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preven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 and adolescent overweight and obesity: summary report. Pediatrics 2007;120(4 Suppl):S164-92. 

  8. Cho KY, Park H, Seo JW.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metabolic syndrome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8; 11:150-9. 

  9. Yom HW, Shin JS, Lee HJ, Park SE, Jo SJ, Seo JW. The metabolic syndrome in obese children.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4;7:228-38. 

  10. Seo JW.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Pediatr 2009;52:1311-20. 

  11. Kim JH, Lim IS. Correlation of measurements for body fat in obese children. Korean J Pediatr 2004;47:485-90. 

  12. Maynard LM, Wisemandle W, Roche AF, Chumlea WC, Guo SS, Siervogel RM. Childhood body composition in relation to body mass index. Pediatrics 2001;107:344-50. 

  13. Inoue S, Zimmet P, Caterson I, Chunming C, Ikeda Y, Kim YS, et al.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The International Diabetes Institute, 2000. Available from: URL//http://www.diabets.com.au/pdf/obesity_report.pdf 

  14. Taylor RW, Jones IE, Williams SM, Goulding A. Evaluation of waist circumference, waist-to-hip ratio, and the conicity index as screening tools for high trunk fat mass, as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in children aged 3-19 y. Am J Clin Nutr 2000;72:490-5. 

  15. Weili Y, He B, Yao H, Dai J, Cui J, Ge D, et al. Waist-to-height ratio is an accurate and easier index for evaluating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Obesity (Silver Spring) 2007;15:748-52. 

  16. Hara M, Saitou E, Iwata F, Okada T, Harada K. Waist-to-height ratio is the best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Japanese school children. J Atheroscler Thromb 2002;9:127-32. 

  17. Hsieh SD, Yoshinaga H, Muto T. Waist-to-height ratio, a simple and practical index for assessing central fat distribution and metabolic risk in Japanese men and wo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3;27:610-6. 

  18. Park SH, Choi SJ, Lee KS, Park HY.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to-height ratio as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adults. Circ J 2009;73:1643-50. 

  19. Kahn HS, Imperatore G, Cheng JY. A population based comparison of BMI percentiles and waist-to height ratio for identifying cardiovascular risk in youth. J Pediatr 2005;146:482-8. 

  20. Ashwell M, Lejeune S, McPherson K. Ratio of 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may be better indicator of need for weight management. BMJ 1996;312:377. 

  21. Ashwell M, Hsieh SD. Six reasons why the waistto- height ratio is a rapid and effective global indicator for health risks of obesity and how its use could simplify the international public health message on obesity. Int J Food Sci Nutr 2005;56:303-7. 

  22. McCarthy HD, Ashwell M. A study of central fatness using waist-to-height ratios in UK children and adolescents over two decades supports the simple message - 'keep your waist circumference to less than half your height'. Int J Obes (Lond) 2006;30:988-92. 

  23. Sung RY, So HK, Choi KC, Nelson EA, Li AM, Yin JA, et al.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to-height ratio of Hong Kong Chinese children. BMC Public Health 2008; 8:324. 

  24. Lee DH, Hong YM, Lee KY, The committee for public health statistics, the committee for nutrition. 1998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Seoul: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1999. 

  25. Moon JS, Lee SY, Nam CM, Choi JM, Choe BK, Seo JW, et al.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re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and an outlook. Korean J Pediatr 2008;51:1-25. 

  26.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The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Growth Standard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commentary for the development of 2007 growth charts). Government report online . Seoul: Division of Chronic Disease Surveillance; 2007 Nov. Available from: URL://www.cdc.go.kr/webcdc/ 

  27. Greiner M, Pfeiffer D, Smith RD.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for diagnostic tests. Prev Vet Med 2000;45:23-41. 

  28. Fluss R, Faraggi D, Reiser B. Estimation of the Youden Index and its associated cutoff point. Biom J 2005;47: 458-72. 

  29. Byun JS, Kim MJ, Hwang YW, Kim MJ, Kim SY, Hwang IH. The usefulness of waist/height ratio as an obesity index. J Korean Acad Fam Med 2004;25:307-13. 

  30. Maffeis C, Pietrobelli A, Grezzani A, Provera S, Tato L. Waist circumferenc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prepubertal children. Obes Res 2001;9:179-87. 

  31. Revenga-Frauca J, Gonzalez-Gil EM, Bueno-Lozano G, De Miguel-Etayo P, Velasco-Martinez P, Rey-Lopez JP, et al. Abdominal fat and metabolic risk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J Physiol Biochem 2009;65:415-20. 

  32. Hsieh SD, Yoshinaga H. Do people with similar waist circumference share similar health risks irrespective of height? Tohoku J Exp Med 1999;188:55-60. 

  33. Stephen RD, Philip RK, Morrison JA. The utility of body mass index as a measure of body fatnes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ifferences by race and gender. Pediatrics 1997;99:804-7. 

  34. Quak SH, Furnes R, Lavine J, Baur LA; Obesity Working Group.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8;47:254-9. 

  35. Hsieh SD, Yoshinaga H, Muto T, Sakurai Y, Kosaka K. Health risks among Japanese men with moderate body mass index.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0;24: 358-62. 

  36. Ashwell M. The Ashwell Shape Chart-a public health approach to the metabolic risks of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8;22(3 Suppl):S213. 

  37. Lin WY, Lee LT, Chen CY, Lo H, Hsia HH, Liu IL, et al. Optimal cut-off values for obesity: using simple anthropometric indices to predict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aiwa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2; 26:1232-8. 

  38. Viggiano D, De Filippo G, Rendina D, Fasolino A, D'Alessio N, Avellino N, et al.; O.Si.M.E. Study Group. Screening of metabolic syndrome in obese children: a primary care concer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9; 49:329-34. 

  39. Johnson ST, Kuk JL, Mackenzie KA, Huang TT, Rosychuk RJ, Ball GD. Metabolic risk varies according to waist circumference measurement site in overweight boys and girls. J Pediatr 2010;156:247-52. 

  40. Wang J, Thornton JC, Bari S, Williamson B, Gallagher D, Heymsfield SB, et al. Comparisons of waist circumferences measured at 4 sites. Am J Clin Nutr 2003;77: 37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