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젤의 미생물 분해와 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bial Community and Microbial Degradation of Diesel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2 no.5, 2010년, pp.509 - 516  

최희철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조윤아 (서울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상일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태진 (서울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으로부터 농화배양된 두 미생물 군집의 디젤 분해 특성과 미생물의 군집 양상을 살펴보았다. 간균 형태를 띄는 두 군집은 육안으로 뚜렷히 구별되는 황색(YE-5)과 투명한 형태(WH-5)의 콜로니를 형성하였으며 1% 디젤 오염된 배지에서 26일간 배양하였을 때 디젤 분해율은 99.07 mg-Diesel/$L{\cdot}day$와 57.82 mg-Diesel/$L{\cdot}day$로 YE-5가 약 1.7배정도의 빠른 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YE-5에 의한 디젤의 분해양상은 $C_8-C_{24}$ 전반에 걸쳐고르게 분해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PCR-DGGE 기법을 이용하여 YE-5를 동정한 결과 Psedomonas, Klebsiella, Escherichia, Stenotrophomonas 등이 관찰 되었으며 모두 단백세균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고 YE-5에서만 Uncultured Stenotrophomonas sp.가 관찰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 디젤의 효과적 분해를 위해 적절한 군집의 조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Escherichia hermannii나 Uncultured Stenotrophomonas sp.와 같은 기 보고되지 않은 종들이 디젤 분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of diesel degradation and variations of microbial community with the soil enrichment cultures. The cultures has yellow(YE-5) and transparent color's(WH-5) colony on solid plate medium. The bacillus type of YE-5 and WH-5 cultures showed diesel degradation at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디젤에 오염된 토양 정화에 기여하는 토양 미생물 군집을 분리하여 농화 배양함으로서 미생물 군집들에 의한 디젤의 분해 양상과 더불어 디젤 분해과정에 기여하는 미생물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디젤 분해시 미생물의 군집 간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생물을 통한 디젤 오염된 토양의 효율적 복원을 위한 기초적 연구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디젤에 오염된 토양 정화에 기여하는 토양 미생물 군집을 분리하여 농화 배양함으로서 미생물 군집들에 의한 디젤의 분해 양상과 더불어 디젤 분해과정에 기여하는 미생물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디젤 분해시 미생물의 군집 간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생물을 통한 디젤 오염된 토양의 효율적 복원을 위한 기초적 연구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오염 정화기술 무엇에 더불어 많은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는가? 토양오염 정화기술은 1990년대 이후 대학이나 연구소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국내 토양정화 시장의 규모의 증가와 더불어 많은 기술적 발전을 이루어왔다. 환경부 및 관계부처에서는 법적 개선과 더불어 오염토양을 복원하기위한 토양 및 지하수오염 정화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집중 육성 하고 있으며, 최근에 이르러 오염토양 정화기술에 대한 현장 적용성을 갖춘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실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석유계탄화수소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석유계탄화수소는 연료나 섬유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양이 환경에 노출되고 또 오염을 유발하여 자연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석유계 탄화수소는 지하공간으로 유입되면 잔류물로 공극 사이에 갇히기도 하고 지하수면 위에 쌓이게 되거나 용해도에 따라 지하수 속으로 용해되어 진다.
1996년 시행된 토양환경보전법이 2002년과 2009년에 개정된 것은 어떤 조치로 이해되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토양환경보전법이 시행되었으며 토양환경영향평가 신설을 골자로 하는 개정이 2002년 이루어졌고 최근 규제물질을 세분화하고 벤조피렌과 같은 규제 물질을 신설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개정이 완료되어 2009년 6월 시행되고 있다. 이는 토양오염에 대한 증가하는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여 법적으로 또 제도적으로 엄격히 토양을 관리하고자 하는 일련의 조치로 이해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arinelli, F. and Durnford, D. S., "LNAPL thickness in monitoring wells considering hysteresis and entrapment", Ground Water, 34, 405-414(1996). 

  2. 윤상희, "2004년 특정오염유발시설 설치 및 관리현황 보고", 환경부(2005) 

  3. Vogel, T. M., "Bioaugmentation as a soil bioremediation approach", Curr. Opin. Biotechnol, 7, 311-316(1996). 

  4. Lindstrom, J .E., Prince, R. C., Clark, J. C., Grossman, M. J., Yeager, T. R., Braddock, J. F., and Brown, E. J., "Microbial populations and hydrocarbon biodegradation potentials in fertilized shoreline sediment affected by the T/V exxon Valdez oil spill", Appl. Environ. Microbiol., 57, 2514-2522(1991). 

  5. Ruberto, L., Vazquez, S.C., Mac Cormack, W.P., "Effectiveness of the natural bacterial flora, biostimulation and bioaugmentation on the bioremediation of a hydrocarbon contaminated Actartic soil", Interna Biodeterio. Biodegra, 52, 115-125(2003). 

  6. Lee, M, Kim, M. K., Singleton, I., Goodfellow, M., and Lee, S. T., "Enhanced biodegradation of diesel oil by a newly identified Rhodococcus baikonurensis EN3 in the presence of micolic acid", J Appl. Microbiol., 100, 325-333(2006). 

  7. Ahn, Y., Sanseverino, J., and Sayler., G. S., "Analyses Journal of Life Science 2009, Vol. 19. No. 5 663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degrading bacteria isolatedfrom contaminated soils", Biodegradation, 10, 149-157(1999). 

  8. Ahn, Y., Jung, H., Tatavarty, R., Choi, H., Yang, J. W., and Kim, I. S., "Monitoring of petroleum hydrocarbon degradative potential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in ozonated soil", Biodegradation, 16, 45-56(2005). 

  9. Johnsen, A. R., Wick, L. Y., and Harms, H., "Principles of microbial PAH-degradation in soil", Environ. Pollut., 133, 71-84(2005). 

  10. Stolz, A.,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xenobiotic- degrading sphingomonads", Appl. Microbiol. Biotechnol. 81, 793-811 (2009). 

  11. Stroud, J. L., Paton, G. I., and Semple, K. T., "Microbe-aliphatic hydrocarbon interactions in soil: implications for biodegradation and bioremediation", J. Appl. Microbiol. 102, 1239-1253(2007). 

  12. Mastral, A. M. and Callen, M. S., "A review on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 emissions from energy generation", Environ. Sci. Technol. 34, 3051-3057(2000). 

  13. Atlas, R. M., "Microbial degrad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Microbiol. Mol. Biol. Rev. 45, 180-209(1981). 

  14. Minnan, L., Jinli, H., Xuijuan, W., Jinzao, C., Chuannan, L., Fengzhang, Z., Liangshu, X.,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high H2-Producing strain Klebsiella oxytoca HP1 from a hot spring", Research In Microbiol., 156, 76-81(2005). 

  15. 환경부 토양지하수과,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송죽문화사, pp. 408-410(2007). 

  16. Vreas L., Forney L., Daae F. L., and Torsvik V., "Distribution of bacterioplankton in meromictic lake selenvannet, as determin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of PCR-Amplified gene fragments coding for 16S rRNA", Appl. Environ. Microbiol., 63(9), 3367-3373(1997). 

  17. Pedro, M. S., Haruta, S., Hazaka, M., Shimada, R., Yoshida, C., Hiura, K., Ishii, M., and Igarashi, 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es of microbial community from field-scale composter", J.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91(2), 159-165 (2001). 

  18. Ueno Y., Haruta S., Ishii M. and Igarashi Y., "Characterization of a microorganism isolated from the effluent of hydrogen fermentation by microflora:",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92(4), 397-400(2001). 

  19. Hollibaugh J. T., Bano N. and Ducklow H., "Widespread distibution in polar oceans of a 16S rRNA gene sequence with affinity to Nitrosospira-like ammonia-oxidizing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68(3), 1478-1484(2002). 

  20. Hung C. H., Cheng C. H., Cheng L. H., Liang C. M., Lin C. Y., "Application of Clrostridium-specific PCR primers on the analysis of dark fermentation hydrogen-producing bacterial community", Int. J. Hydrogen Energy, 33(5), 1586-1592(2008). 

  21. Auch, A. F., Henz, S. R., Holland, B. R., and Goker, M., "Genome BLAST distance phylogenies inferred from whole plastid and whole mitochondrion genome sequences", BioMed Central Ltd(2006). 

  22. Felgenstein, J.,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etic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1985). 

  23. Kimura, M.,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 Mol. Evol., 16, 111-120(1980). 

  24. Saitou, N., and Nei, M., "The neighbou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1987). 

  25. 김지영, 조경숙, "유류분해 근권세균의 디젤 분해 특성과 실시간 PCR을 활용한 토양에서의 거동 모니터링", 2006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대한환경공학회, pp. 1377-1384(2006). 

  26. 이수진, 송인근, 김영준, "인공오염토양에서 분리한 디젤분해세균의 동정 및 특성", 유기물자원화학회, 14(3), 148-156(2006). 

  27. Li, Y. Q., Liu, H. F., Tian, Z. L., Huazhu, L., Wu, Y. H., and Tang, H. Q., "Diesel Pollution Biodegradation: Synergetic Effect of Mycobacterium and Filamentous Fungi", Bio. Env. Sci., 21, 181-187(2008). 

  28. 박천보, 허병기, 윤현식, "유류 오염지역으로부터 분리된 균주를 이용한 디젤유의 분해", 한국생물공학회지, 16(6), 632-637(2001) 

  29. Boopathy, R., "Anaerobic biodegradation of no. 2 diesel fuel in soil: a soil column study", Biores. Technol., 94, 143-151(2004). 

  30. Liu, P. W. G., Whang, L. M., Yang, M. C., and Cheng, S. S., "Biodegradation of diesel-contaminated soil: A soil column study", J. Chinese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39, 419-428(2008). 

  31. 김란희, 강동효, 이순복, 이상섭,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한 절삭유의 흡착", 2006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대한환경공학회, pp. 1636-1643(2006). 

  32. 안민정, 한윤전, 임현섭, 최기현, 권오범, 최영출, 정병철, "디젤유 분해균주의 특성 및 토양 배양",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39(2), 108-113(2003). 

  33. 조미선, Rene, E. R., 박홍석, 김수홍, "디젤분해미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온도 영향", 춘계학술발표회, 한국폐기물학회, pp. 376-379(2006). 

  34. 최창석, 이태진, 박진희, 김영식, 김진우, "stenotrophomonas maltophilia에 의한 방향족 화합물의 분해 특성", 페기물자원화, 11(4), 130-137(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