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전기화학적 활성을 갖는 미생물들을 알아내기 위하여 농화배양 단계에서 시간에 따라 미생물연료전지미생물 군집 변화를 알아본 것이다. 접종원으로 하수처리장 혐기 소화액와 가축분뇨를 1 : 1로 혼합한 액을 사용하였다. 농화배양 과정에서 미생물 생장곡선에 따라 지체기, 대수성장기 그리고 정지기로 전류발생 패턴을 보면서 구분하였다. 전류가 안정적으로 발생되는 시점을 농화배양이 끝난 시점으로 판단하였으며, 이때 전류는 $0.84{\pm}0.06mA$가 발생되었다. 농화배양이 되어 가는 과정에서 미생물군집 변화를 전기영동(DGGE)에서 확인하여 시간에 따라 새롭게 나타나는 band나 농도가 높아지는 band 17개를 잘라내어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 지체기와 대수성장 단계에서는 Clostridium, Rhodocyclaceae, Bacteriodete 그리고 Uncultured bacterium 등이 검출되었고, 정지기에서는 Geobacter sp., Rhodocyclaceae, Candidatus, Nitrospira, Flavobactriaceae, 그리고 Uncultured bacterium 등이 검출되었다. Geobactor의 경우는 이미 전기활성 미생물로 알려져 있는 미생물 종으로 이를 포함하여 이 연구에서 검출된 다른 미생물들 중에도 전기활성이 있는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se studies wer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microbial community of anode of microbial fuel cell using swine wastewater in the enrichment step with the lapse of time. Microbial fuel cells enriched by a 1 : 1 mixture of anaerobic digestive juice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lives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것은 지체기에서 정지기로 가면서 농도가 높아지거나 새롭게 출현하는 band들 중에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데 관여하는 전기화학적 활성이 있는 미생물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각 단계에서 미생물군집 변화를 전기영동 기법을 이용하여 확인한 후 각 단계의 band 패턴을 비교 분석하고, 염기서열 분석을 적용하여 전기화학활성 미생물 군집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Jang8)의 연구(2012)결과를 바탕으로, 농화 배양단계에서 지체기, 대수성장기 그리고 정지기로 구분하여 음극부내 전극의 미생물 군집의 유사도 및 미생물군집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지체기에서 정지기로 가면서 농도가 높아지거나 새롭게 출현하는 band들 중에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데 관여하는 전기화학적 활성이 있는 미생물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의 혐기소화액과 가축분뇨를 혼합하여 미생물 연료전지의 전류발생 효율과 농화배양 단계의 미생물성장 곡선을 이용하여 접종원, 지체기, 대수성장기 그리고 정지기에서 미생물군집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어떤 미생물들이 전기화학적 활성을 갖는 미생물인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지금까지는 미생물연료전지에 관여하는 미생물이 너무나 많이 검출되어 어떤 미생물들이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을 갖는 것인지 파악하기 어려웠다.
  • 농화 배양되는 과정 중 미생물 생장곡선의 지체기, 대수성장기, 그리고 정지기 각 단계는 전류가 발생되는 양상으로 판단하였다. 이는 전류발생도 미생물 성장 곡선과 같이 S모양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발생되는 전류로부터 농화 배양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약 15일이 경과하면서 전류값이 안정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체기, 대수성장기 그리고 정지기로 구분하여 음극부내 전극의 미생물 군집의 유사도 및 미생물군집 변화를 알아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Jang8)의 연구(2012)결과를 바탕으로, 농화 배양단계에서 지체기, 대수성장기 그리고 정지기로 구분하여 음극부내 전극의 미생물 군집의 유사도 및 미생물군집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지체기에서 정지기로 가면서 농도가 높아지거나 새롭게 출현하는 band들 중에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데 관여하는 전기화학적 활성이 있는 미생물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각 단계에서 미생물군집 변화를 전기영동 기법을 이용하여 확인한 후 각 단계의 band 패턴을 비교 분석하고, 염기서열 분석을 적용하여 전기화학활성 미생물 군집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폐수 종류에 따라 전기활성미생물들은 다양할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것은 사용한 폐수가 가축분뇨를 N이온을 포함하고 있어 질소산화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운전할 때 이용 하는 폐수 종류에 따라 다른 미생물군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폐수 종류에 따라 전기활성미생물들은 다양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기화학적 활성미생물의 전기전달 메커니즘을 구명 하는 것은 어떤 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것인가? 1~5) 이 중 하나가 전기화학적 활성미생물의 전기전달 메커니즘을 구명 하는 것이다. 이것은 미생물로부터 전극으로 전자가 전달 되는 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6~8)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을 갖는 미생물들을 알아내는 것이 우선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다양한 기질(폐수)과 환경에서 미생물연료전지를 운전하면서 여기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이 어떤 미생물들인지, 또한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미생물은 어떤 것인지를 알아내기 위한 연구가 여러 그룹에서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Gil, G. C., Chang, I. S., Kim, B. H., Kim, M., Jang, J. K., Park, H. S. and Kim, H. J., "Operational paramete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Biosens. Bioelectron., 18, 327-324(2003). 

  2. Jang, J. K., Pham, T. H., Chang, I. S., Kang, K. H., Moon, H., Cho, K. S. and Kim, B. H.,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novel mediator- and membrane-less microbial fuel cell," Proc. Biochem., 39(8), 1007-1012(2004). 

  3. Liu, H. and Logan, B. E., "Electricity generation using an air-cathode single chamber microbial fuel cell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Environ. Sci. Technol., 38(14), 4040-4046(2004). 

  4. Logan, B.E., Hamelers, B., Rozendal, R., Schroder, U., Keller, J., Freguia, S., Aelterman, P. and Rabaey, K., "Microbial fuel cells: methodology and technology," Environ. Sci. Technol., 40(17), 5181-5192(2006). 

  5. Rabaey, K. and Verstraete, W., "Microbial fuel cells; novel biotechnology for energy generation," Trends Biotechnol., 23(6), 291-298(2005). 

  6. Gorby, Y. A., Yanina, S., McLean, J. S., Rosso, K. M., Moyles, D., Dohnalkova, A., Beveridge, T. J., Chang, I. S., Kim, B. H., Kim, K. S., Culley, D. E., Reed, S. B., Romine, M. F., Saffarini, D. A., Hill, E. A., Shi, L., Elias, D. A., Kennedy, D. W., Pinchuk, G., Watanabe, K., Ishii, S., Logan, B., Nealson, K. H. and Fredrickson, J. K., "Electrically conductive bacterial nanowires produced by Shewanella oneidensis strain MR-1 and other microorganisms," PNAS, 103(30), 11358-11363(2005). 

  7. Logan, B. E. and Regan, J. M., Electricity-producing bacterial communities in microbial fuel cells, Trends in Microbiol., 14(12), 512-518(2006). 

  8. Jang, J. K., Honh, S. H., Lee, M. H., Ryou, Y. S., Chang, I. S., Kim, J. G., Kang, Y. K. and Lee, E. Y., "Microbial carbon substrate utilization in microbial fuel cell using livestock wastewater," J. Kor. Soc. Waste Manage., 29(8), 712-719(2012). 

  9. He, Z., Kan, J., Wang, Y., Huang, Y., Mansfeld, F. and Nealson, K. H., "Electricity production coupled to ammonium in a microbial fuel cell," Environ. Sci. Technol. 43(9), 3391-3397(2009). 

  10. Kim, I. S., Chae, K., Choi, M. and Verstraete, W., "Microbial fuel cell: Recent advances, bacterial communities and application beyond electricity generation," Environ. Eng. Res., 13(2), 51-65(2008). 

  11. Lee, J., Phung, N. T., Chang, I. S., Kim, B. H. and Sung, H. C., "Use of acetate for enrichment of electrochemically active microorganisms and their 16S rDNA analyses," FEMS Microbial. Lett., 223, 185-191(2003). 

  12. Chae, K., Choi, M., Lee, J., Kim, K. and Kim, I., "Effect of different substrates on the performance, bacterial diversity, and bacterial viability in microbial fuel cells," Bioresource Technol., 100(14), 3518-3525(2009). 

  13. Zhang, Y., Min, B., Huang, L. and Angelidaki, I., "Electricity gener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response to substrate changes in microbial fuel cell," Bioresour. Technol., 102(2), 1166-1173(2011). 

  14. Giovannoni, S. J., Brischgi, T. B., Moyer, C. L. and Field, K. G., "Genetic diversity in sargasso sea bacterioplankton," Nature(London), 345(6270), 60-63(1990). 

  15. Head, I. M., Saunders, J. R. and Pickup, R. W., "Microbial evolution diversity and ecology: a decade of ribosomal RNA analysis of uncultivated microorganisms," Microbiol. Ecol., 35, 1-21(1998). 

  16. Muyzer, G., Waal, E. C. De, and Uitterlinden, A. G., "Profiling of complex microbial populations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amplified genes coding for 16S rRNA," Appl. Environ. Microbiol., 59(3), 695-700(1993). 

  17. Jang, J. K., Chang, I. S., Hwang, H. Y. Choo, Y. F. Lee, J. Cho, K. S., Kim, B. H., and Nealson, K. H., "Electricity generation coupled to oxidation of propionate in a microbial fuel cell," Biotechnol. Lett., 32(1), 79-85(2010). 

  18. Hong, S. H., Kim, S. H., Kang, H., Ryu, H. W. and Lee, S., "Effects of Pb and $CO_2$ on Soil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pinus densiflora-Lab," J. Ecol. Field Bio., 39(6), 551-558(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