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조절방략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elf-Esteem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Emotion Regulation of Childre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8 no.5 = no.261, 2010년, pp.61 - 72  

조수현 (금정중학교) ,  이경님 (동아대학교 아동가족학과.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emotion regul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493 5th and 6th grad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maternal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directly affected children's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 존중감 및 정서조절방략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이들 관련변인들이 어떠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로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적 정서조절과 적응적 정서조절에 대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조절방략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이들 관련변인들이 정서조절능력에 대하여 어떠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박서정, 2004에 따르면, 정서조절능력이란? 정서조절능력이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 감정표현이 필요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긍정적이거나 부정적 감정표현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정서적인 자극 상황에서 유연하게 전략적으로 대처하고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능력이 포함된다(박서정, 2004). 아동이 부정적 정서나 감정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면 불안정하고 부적응적인 특성을 보이나 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상황에 적합하게 긍정적인 정서를 유지하고 표출할 경우 기능적이고 적응적인 정서조절을 보이게 된다.
Shaffer, 1999은 자아존중감이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하였는가? 먼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관련된 정의적요인으로 자아존중감이 주목을 받고 있다.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심리적 안녕과 성공적인 적응 및 사회적 행동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Shaffer, 1999) 자아존중감의 개인차는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리라 가정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들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긍정적 영향을, 부적응적 정서조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이경님, 2009),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능동적 정서조절 양식을 사용하며(민경환, 김지현, 윤석빈, 장승민, 2000),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동은 슬프거나 분노를 느끼는 등 부정적인 정서에 대하여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대처를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Carver, Scheier, & Weintraub, 1989).
정서조절능력이 아동의 정서발달과 바람직한 학교적응과 사회적 관계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힌 선행연구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많은 연구들에 의해 정서조절능력이 아동의 정서발달과 바람직한 학교적응과 사회적 관계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정서조절을 잘 하는 아동은 또래유능성이 높고 리더쉽이 있으며 자신이 속한 집단에 안정적인 소속감을 가지고 학교생활에도 잘 적응하며(박성연, 강지흔, 2005), 생활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유안진, 이점숙, 정현심, 2006). 반면 정서조절능력이 낮은 아동은 또래유능성이 떨어지며 충동적이고 공격성이 높고 우울등 내면화 행동문제를 표출하기도 하여(김미정, 2006; 한유진, 2006; 허정묵, 2005; Eisenberg, et al., 2001) 다양한 부적응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Rydell, Berlin, & Bohlin, 2003). 이처럼 정서조절능력이 아동의 바람직한 또래관계발달과 학교와 사회적 적응을 위한 선행요인이 되므로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관련된 중요한 요인을 밝히는 연구는 의의 있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계수(2007).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 출판사. 

  2. 김미정(2006).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도현심, 최미경(1998).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또래 경험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19(2), 19-33. 

  4. 문영숙(2002). 어머니의 애착유형, 자녀양육행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간호학술지, 5, 37-53. 

  5. 민경환, 김지현, 윤석빈, 장승민(2000). 부정적 정서조절 방략에 관한 연구: 정서 종류와 개인 변인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2), 1-16. 

  6. 박민정(2002).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박서정(2004).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 및 정서조절 능력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박성연, 강지흔(2005).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9. 박성연, 이숙(1990).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41-156. 

  10. 박영애(1995).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영애, 최영희, 박인전, 김향은(2002).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아동의 성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5(4), 43-60 

  12. 손재민(2004). 정서조절 방략 사용에서의 개인차: 인지적 재해석인과 정서표현 억제인의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송혜영(2007). 유아의 정서적.행동적 자기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오남희(2008). 부와 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유안진, 이점숙, 정현심(2006). 정서조절 양식과 부모 애착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1), 167-181. 

  16. 이경님(2009).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아동의 기질 및 자아존중감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6), 1209-1219. 

  17. 이숙, 최정미(2003).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또래수용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31-42. 

  18. 이혜련, 최보가(2005). 유아의 개인 및 부모특성과 정서이해와 정서조절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5), 1-14. 

  19. 임희수, 박성연(2002).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3(1), 37-54. 

  20. 한선화, 현온강(2006). 청소년의 정서성과 정서조절전략 및 자기통제력. 아동학회지, 27(6), 1-11. 

  21. 한유진(2006).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 및 또래관계의 질. 아동학회지, 26(4), 85-100. 

  22. 허정묵(2005).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및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유아의 공격성의 관계.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Bandura, A.(1977). Social Learning Theory. New York: General Learning Process. 

  24. Brown, J. D., Mankowski, T. A.(1993). Self-esteem, mood, and self-evaluation: Changes in mood and the way you see you.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267-283. 

  25. Calkins, S. D., Smith, C. L., Gill, K. L., & Johnson, M. C.(1998). Maternal interactive style across contexts: Relations to emotional,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regulation during toddlerhood. Social Development, 7, 350. 

  26. Carver, C. S., Scheier, M. F., & Weintraub, J. F.(1989).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267-283. 

  27. Eisenberg, N., Cumberland, A. L. Spinard, T. L., Fabes, R., Shepard, S. A., & Reiser, M.(2001). The relations of regulation and emotionality to children'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2, 1112-1134. 

  28. Eisenberg, N., & Fabes, R. A.(1994).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relation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anger behavior. Merill-Palmer Quarterly, 40(1), 138-156. 

  29. Gottman, J. M. & Katz, L. F.(1989).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s and health.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73-381. 

  30. Gross, J. J.(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 271-299. 

  31. Gross, J. J.(2001). Emotion regulation: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ogy, 39, 281-291. 

  32. Gross, J. J. & John, O. P.(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 348-362. 

  33. Malatesta, C., & Haviland, J.(1982). Learning display rule: The socialization of emotion expression in infancy. Child Development, 53, 991-1003. 

  34. Riegel, K. F.(1973). Dialectic operations: The final period of cognitive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16, 346-370. 

  35.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36. Rydell, A. M., Berlin, L., & Bohlin, G.(2003). Emotionality, emotion regulation, and adaptation among 5-to 8-year old children. Emotion, 3, 30-47. 

  37. Shaffer(1999). Developmental Psychology(5th ed). ; Childhood & Adolescence. Brooks/Cole. 

  38. Shields, A., & Cicchetti, D.(1995). The development of an emotion regulation assesment battery: Reliability and Validity among at-risk grade school children. Poster presental at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Indianapolis, I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