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식이교육과 구내점막염 관리가 조혈모세포이식(HSCT) 환자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ntinuous Nutritional Education and Oral Mucositis Management on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Undergo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원문보기

종양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10 no.2, 2010년, pp.119 - 128  

박경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이병화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박호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ntinuous nutritional education and oral mucositis management on the nutritive status of patients who receive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Methods: After randomly allotting 72 patients who received HSCT to either an ex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HSCT 환자의 영양불량 가능성을 줄이는 중재방법으로 지속적인 식이교육과 구내점막염 관리를 제안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먼저 환자 개별 영양요구를 모니터하고 간호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SCT과 같은 고위험군 환자에게 적용되는 대사영양 프로필을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HSCT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식이교육과 구내점막염 관리서비스를 제공한 후 그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HSCT 성공을 위한 일 간호중재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식이교육과 구내점막염 관리가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영양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대상자는 2005년 4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서울 소재 C대학교 S병원에서 HSCT 환자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HSCT 환자의 식이교육과 구내점막염 관리를 위해 제공한 지속적이고 개별적인 간호중재의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지속적인 식이교육과 구내점막염 관리가 HSCT 환자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 즉, HSCT 치료기간 동안 환자 식사내용의 영양학적 수치와 칼로리를 한국영양협회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오심구토, 구내점막염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치료관련 요인도 통합하여 정규적으로 영양상태를 평가한다. 이 정보와 한국 혈액암 협회의 HSCT 환자 식이관리 지침을 근간으로 피드백을 주고 필요 시 영양과에 의뢰하거나 개별 영양 필요량에 도달하도록 식이를 권장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식이교육 내용은 HSCT 치료 경과에 따른 영양요구량과 영양섭취 필요성, 기호에 따른 대체가능한 식품 정보를 비롯한 허용식품과 제한식품, 저균식이 관리 방법을 포함한다.
  • 이상에서 지속적 식이교육과 구내점막염 관리 효과로 나타난 오심구토 점수와 총 단백질 양의 변화에 대하여 bonferroni 방법을 통해 다중비교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시점 간 평균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구체적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차와 2차 측정에 해당하는 전처치 동안의 오심구토 점수는 실험군이 1.

가설 설정

  • 12) 본 연구에서는 집중적인 간호중재 불구하고 구내점막염 상태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없었다. 더욱이 그전의 정상상태를 유지하던 구내점막염 점수가 3차 측정 시에 다소 증가하였다.
  • 30) 내장 단백질 수치 중에서는 알부민이 가장 좋은 영양지수라고 알려져 있지만 알부민은 반감기가 20일 정도로 비교적 길어서 단기간의 변화는 쉽게 감지되지 않으며 영양결핍의 초기에는 감소되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 총 단백질은 전처치 동안 감소하였다가 회복기간에 증가하였으나 알부민은 1차 측정 시부터 3차 측정 시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영양섭취가 증가하였음에도 수치가 회복되지 않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 Koretz 등6)은 자가이식과 동종이식 환자 19예를 메타분석한 결과 TPN 요법이 HSCT 환자에서 고혈당을 유발하며 수혈요구과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을 40% 이상 증가시켰다고 하였다. 즉 신체 저항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격적으로 영양보충이 필요하다는 가정하에 TPN이 과다하게 처방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TPN 처치는 부당한 비용을 유발할 뿐 아니라 HSCT 환자의 사망위험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지면서 환자의 구강 섭취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SCT 환자의 에너지 요구량과 공급량은? HSCT 환자의 에너지 요구량은 자가이식과 동종이식의 경우 모두 25-30 kcals/kg를 기본으로 하여 그것의 130-150%에 도달하도록 공급한다. 단백질요구량은 이식 과정에서의 이화 작용과 질소밸런스의 불안정성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1.
HSCT 환자에게 영양이 중요한 이유는? 영양불량은 암환자에 있어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치료를 중단해야 하는 주된 원인으로 암환자 사망의 31-87%를 차지한다.2) HSCT 환자는 이식 전 수차에 걸친 강도 높은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조사로 인해 식욕부진, 오심과 구토, 복통, 설사, 열, 구내 점막염, 미각의 변화, 구강 건조증 및 감염 등의 부작용을 경험하며 음식섭취 장애와 흡수 장애로 영양결핍이 심화될 수 있다.3)
조혈모세포이식 성공의 주 요소는? HSCT 성공의 주 요소는 감염과 영양을 위한 지지간호의 질이다. 영양불량은 암환자에 있어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치료를 중단해야 하는 주된 원인으로 암환자 사망의 31-87%를 차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HSCT Nurses Association. Current status of HSCT in Korea. J Korean HSCT Nurs Society 2005;7:8-13. 

  2. Pisachou E, Hann IM, Morgan G, Chessells JM. Early deaths in children under going marrow ablative therapy and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1994;14:975-80. 

  3. Cunningham BA, Lenssen P, Aker SN, Gittere KM, Cheney CL, Hutchison MM. Nutritional consideration during marrow transplantaion. Nurs Clin North Am 1983;18:585-96. 

  4. Carol PR. Nutrition Support of Blood or Marrow Transplant Recipients: How Much Do We Really Know? Nutritional Issues In Gastroenterology Series #26. Pract Gastroenterol 2005:84-97. 

  5. Randolph S. Bone Marrow Transplant therapy in the home. Caring Magazine 1992;Sep:68-71. 

  6. Koretz RL, Lipman TO, Klein S. AGA Technical Review on Parenteral Nutrition. Gastroenterology 2001;121:970-1001. 

  7. Stern JM, Bruemmer B, Moinpour CM, Sullivan KM, Lenssen P, Aker SN. Impact of a randomized, cotrolled trial of liberal vs conservative hospital discharge criteria on energy, protein, and fluid intake in patients who received marrow transplants. J Am Diet Assoc 2000;100:1015-22. 

  8. Smith LH, Besser SG. Dietary restrictions for patients with neutropenia: a survey of institutional practices. Onco Nurs Forum 2000;27:515-20. 

  9. Bok JN, Kim GS, Choi SE, Song BE. Continuous telephone follow- up for HSCT patients. J Korean HSCT Nurs Society 2003; 5:55-61.7. 

  10. Rosenberg SW. Oral Care of Chemotherapy Patients. Dtien-Clin North Am 1990;34:239-50. 

  11. So HS. Assessment of appetite and nutritional status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a prospective study. J Koran acad nurs 2001;29:1179-91. 

  12. Yang YH, Ghun SJ, Kim CI.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s with cancer during the chemotherapies. J Koran Acad Nurs 2001;31:978-87. 

  13. Graham KM, Pecoraro DA, Vontura M, Meyer CC. Reducing the incidence of Stomatitis using a quality assessment and improvement approach. Cancer Nurs 1993;16:117-22. 

  14. Cho GJ. The nutritional evaluation of Oncology In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dissertation]. Chung Nam Univ.;1993. 

  15. Hong JI, Jang UJ.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engraftment and the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s undergoing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or 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Korean J Community Nutr 2002;7:578-84. 

  16. Ernest JS, Rosenbaum H, Andrews A, Dollbaum CM, Ignoffo RJ.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therapy-induced oral and gastrointestinal mucositis. Int Society for Oral Onco 2004;100(9 Suppl):2026-46. Available at http://www.cancersupportivecare.com/mucositishandout.php. 

  17. Nutrition Department. Clinical manuals for nutrition part. 3rd ed. Seoul: Sain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0. 

  18. Andersson PR, Lena RH, Ingalill R. Steran R, Testing an oral assessment guide during chemotherapy treatment in a Swedish care setting: a pilot study. J Clin Nurs 1999;8:150-8. 

  19. Shin KY, Song MS. Efficacy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reducing nausea and vomiting, anxiety and symptom distress of cancer chemotherapy. J Korean Acad Nurs 1987;17:195-204. 

  20. Brodie DA, Eston RG. Body fat estimations by Electrical impedance and infrared interaction. Int J Sports Med 1992;13:319-25. 

  21. Kim SH, Shin HS, Im WK. A Study on the dietary nutrient intakes and blood profiles of smoking teenage girls living in a rural community in Korea. Korean J Nutr 2001;34:338-47. 

  22. McWhirter JP, Penningtion CR. Incidence and recognition of malnutrition in hospital. BMJ 1994;308:945-8. 

  23. Lipkin EW, Bell S.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the clinician's perspective. Clin Lab Med 1993;13:329-52. 

  24. Papas AS, RE Clark, Martuscelli G, O'Loughlin KT, Johansen E, Miller KB.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for the prevention of mucositis in patients undergo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03:31:705-12. 

  25. Lee RD, Nieman DC. Nutritional Assessment. 2nd ed. Chicago: Mosby Press;1996. 

  26. Park HJ.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undergo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atholic Univ.; 2000. 

  27. Nieweg R, Poelhuis EK, Abraham IL. Nursing care for oral complication ompociated with chemotherapy. Cancer Nurs 1992; 15:313-21. 

  28. Yang YH, Lee DS. The relationship of anorexia, nausea, vomiting, oral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 Korean acad nurs 2000;30:720-30. 

  29. Picou D, Waterlow JC. The effect of malnutrition on the metabolism of plasma albumin. Clin Sci 1962;22:459-68. 

  30. Hermann VM, Petruska P. Nutrition support in bone marrow transplant recipients. Nutr Clin Pract 1993;8:19-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