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디젤 분해 세균 Gordonia sp. SD8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Diesel-Degrading Bacterium, Gordonia sp. SD8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8 no.3, 2010년, pp.335 - 339  

홍선화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지영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조경숙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디젤로 오염된 토양에서 디젤 분해능이 우수한 Gordonia sp. SD8을 분리하였고, 이 균주의 디젤 분해특성을 액상과 토양에서 조사하였다. SD8은 유일 에너지원과 탄소원으로 디젤을 이용하여 생장 가능하였다. SD8 균주의 성장과 디젤 분해속도에 미치는 디젤 농도 영향을 조사한 결과, 20,000 mg-TPH $L^{-1}$농도에서 최대 비성장속도($0.67{\pm}0.05\;d^{-1}$)와 최대분해속도($1,727{\pm}145$ mg-TPH $L^{-1}\;d^{-1}$)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 균주는 40,000 mg-TPH $L^{-1}$의 고농도 디젤을 분해할 수 있었으며, $30^{\circ}C$에서 비성장속도와 디젤분해속도가 가장 빨랐다. 디젤로 오염된 토양 정화에 미치는 Gordonia sp. SD8 접종 효과를 조사한 결과, 17일 경과 후, SD8을 접종하지 않은 대조군 토양의 디젤 잔류 농도는 $8,150{\pm}755$ mg-TPH kg-dry $soil^{-1}$이었으나, SD8을 접종한 경우에는 3,724 mg-TPH kg-dry $soil^{-1}$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Gordonia sp. SD8는 향후 디젤 등을 포함한 석유계 탄화수소화합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데 활용 가능한 유용 미생물 자원임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iesel-degrading bacterium, Gordonia sp. SD8, was isolated from soil contaminated with petroleum, and its diesel degradation was characterized in a soil as well as a liquid culture system. SD8 could grow in the mineral salt medium supplemented with diesel as a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The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ranzetti 등[6]은 디젤 오염 토양에서 분리한 Gordonia sp. BS29을 이용하여, 지방족 탄화수소(n-hexadecane, n-heptadecane, pristane, neicosane, n-octacosan, squalene)와 방향족 탄화수소(phenanthrene, anthracen, pyrene)의 제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53일 동안 지방족 탄화수소는 균주에 의해 30-89% 제거 되었고, 특히 n-hexadecane과 같은 고분자의 탄화수소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oremediation에는 어디서 분리된 미생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가? Bioremediation에 사용하는 미생물은 오염된 지역에서 분리한 미생물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18, 29]. 예를 들어 석유로 오염된 토양에서 분리한 Rhodococcus strain F9과 D79는 원유를 이용하여 성장하고, Pseudomonas strain JA5와 B45도 탄화수소를 이용하여 성장할 수 있었으며[28], 유류로 장기간 오염된 토양에서 분리한 Rhodococcus sp.
bioremediation은 어떤 기술인가?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bioremediation 기술은 TPH를 포함한 환경에 잔존하고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18-20]. 미생물이 오염된 토양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독성물질에 내성이 강하고 오염물질을 유일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18].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채취한 산림토양을 인공오염토양으로 만들기 위해 어떤 처리를 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는가? 분리 균주를 이용한 디젤오염 토양 처리실험을 위해, 인공오염토양은 서울 소재 이화여자대학교의 산림토양을 채취하여 준비하였다. 채취한 토양은 2 mm 체로 쳐서 돌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산림토양과 마사를 2:1(w/w)로 섞어 준 후, 디젤(20,000 mg-TPH kg-dry soil-1)로 인공 오염 시킨 후, 4일간 서늘한 곳에 두고 하루에 한 번씩 토양을 위아래로 섞어 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renskotter, M., D. Broker, and A. Steinbuchel. 2004. Biology of the metabolically diverse genus Gordonia. Appl. Environ. Microbiol. 70: 3195-3204. 

  2. Ashok, B. T., S. Saxena, and J. Mussarat. 199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ou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degrading bacteria from soil near an oil refinery. Lett. Appl. Microbiol. 21: 246-248. 

  3. Bento, F. M., F. A. O. Camargo, B. C. Okeke, and W. T. Frankenberger. 2005. Comparative bi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by natural attenuation, biostimulation and bioaugmentation. Bioresour. Technol. 96: 1049-1055. 

  4. Dean-Ross, D., J. Moody, and C. E. Cerniglia. 2002. Utilisation of mixture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y bacteria isolated from contaminated sediment. FEMS Microbiol. Ecol. 41: 1-7. 

  5. Franzetti, A., G. Bestetti, P. Caredda, P. La-Colla, and E. Tamburini. 2008. Surface-active compounds and their role in the access to hydrocarbons in Gordonia strains. FEMS Microbiol. Ecol. 63: 238-248. 

  6. Franzetti, A., P. Caredda, C. Ruggeri, P. La-Colla, E. Tamburini, M. Papacchini, and G. Bestetti. 2009. Potential application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by Gordonia sp. strain BS29 in soil remediation technologies. Chemosphere 75: 801-807. 

  7. Haritash A. K. and C. P. Kaushik. 2009. Biodegradation aspect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 review. J. Hazard. Mater. 169: 1-15, 2009. 

  8. Hong, J. H., J. S. Kim, O. K. Choi, K. S. Cho, and H. W. Ryu. 2004. Characterization of a diesel-degrading bacterium, Pseudomonas aeruginosa IU5, isolated from oil-contaminated soil in Korea. World J. Microb. Biot. 21: 381-384, 2004. 

  9. Huang, X. D., Y. El-Alawi, J. Gurska, B. R. Glick, and B. M. Greenberg. 2005. A multi-process phytoremediation system for decontamination of persistent total petroleum hydrocarbons(TPHs) from soils. Microchem. J. 91: 139-147, 2005. 

  10. Koo, S. Y. and K. S. Cho.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Serratia sp. SY5. J. Microbiol. Biotechn.19: 1431-1438. 

  11. Lee, E. H. and K. S. Cho. 2009a. Effect of substrate interaction on the degradation of methyl tert-butyl ether,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by Rhodococcus sp. J. Hazard. Mater. 167: 669-674. 

  12. Lee, E. H., J. Kim, K. S. Cho, Y. G. Ahn, and G. S. Hwang. 2009b. Degradation of hexane and other recalcitrant hydrocarbons by a novel isolate, Rhodococcus sp. EH831. Environ. Sci. Pollut. Res. 17: 64-77. 

  13. Lee, J. J., S. K. Rhee, and S. T. 2001. Degradation of 3- Methylpyridine and 3-Ethylpyridine by Gordonia nitida LE31. Appl. Environ. Microbiol.67: 4342-4345. 

  14. Liu, L., X. W. Li, S. J. Liu, and Z. P. 200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PAHs-degrading strain Gordonia sp. He4 and its dynamics during bioremediation of phenanthrene polluted soil. Huan. Jing. Ke. Xue. 28: 617-22. 

  15. Macek, T. M. and J. Kas. 2000. Exploitation of plants for the removal of organics in environmental remediation(research review paper). Biotechnol. Adv. 18: 23-34. 

  16. Margesin, R., D. Labbe, F. Schinner, C. W. Greer, and L. G. Whyte. 2003. Characterization of hydrocarbon-degrading microbial populations in contaminated and pristine Alpine soils. Appl. Environ. Microbiol. 69: 3085-3092. 

  17. Margesin, R. and F. Schinner. 2001. Bioremediation (Natural Attenuation and Biostimulation) of Diesel-Oil-Contaminated Soil in an Alpine Glacier Skiing Area. Appl. Environ. Microbiol. 67: 3127-3133. 

  18. Marques, A. V., S. C. Cunha des Santos, R. D. C. Casella, R. L. Vital, C. V. Sebastin, and L. Seldin. 2008. Bioremediation potential of a tropical soil contaminated with a mixture of crude oil and production water. J. Microbiol. Biotechn. 18: 1966-1974. 

  19. Medina-Bellver, J. I., P. Marin, A. Delgado, A. Rodriguez- Sanches, E. Reyes, J. L. Ramos, and S. Marques. 2005. Evidence for in situ crude oil biodegradation after the Prestige oil spill. Environ. Microbiol. 7: 773-779. 

  20. Philp, J. C., S. M. Bamforth, I. Singleton, and R. M. Atlas. 2005.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toration: A role for bioremediation, In R. M. Atlas, and J. Philp (eds.). Bioremediation. ASM Press, Washington, DC. U.S.A. pp. 1-48. 

  21. Prince, R. C. and M J. Grossman. 2003. Substrate Preferences in Biodesulfurization of Diesel Range Fuels by Rhodococcus sp. Strain ECRD-1. Appl. Environ. Microbiol. 69: 5833-5838. 

  22. Rehmann, K., H. P. Noll, C. E. W. Steiberg, and A. A. Kettrup. 1998. Pyrene degradation by Mycobacterium sp. Strain KR2. Chemosphere 36: 2977-2992. 

  23. Reichenauer, T. G. and J. J. Germida. 2008. Phytoremediation of Organic Contaminants in Soil and Groundwater. Chem. Sus. 1: 708-717. 

  24. Romero, M. C., M. C. Cazau, S. Giorgieri, and A. M. Arambarri. 1998. Phenanthrene degradation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a contaminated stream. Environ. Pollut. 101: 355-359. 

  25. Tam, N. F. Y., C. L. Guo, W. Y. Yau, and Y. S. Wong. 2002. Preliminary study on biodegradation of phenanthrene by bacteria isolated from mangrove sediments in Hong-Kong. Mar. Poll. Bull. 42: 316-324. 

  26. Torsvik, V., L. Ovreas, and T. F. Thingstad. 2002. Prokaryotic diversity-magnitude, dynamics, and controlling factors. Science 296: 1064-1066. 

  27. Valeria, P. A., R. B. Vieira, F. P. Franca, and V. L. Cardoso. 2007. Biodegradation of effluent contaminated with diesel fuel and gasoline. J. Hazard. Mater. 140: 52-59. 

  28. Van Hamme, J. D. and O. P. Ward. 2003. Physical and metabolic interactions of Pseudomonas sp. strain JA5-B45 and Rhodococcus sp. strain F9-D79 during growth on crude oil and effect of a chemical surfactant on them. Appl. Environ. Microbiol.67: 4874-4879. 

  29. Watanabe, K. 2001. Microorganisms relevant to bioremediation. Curr. Opin. Biotechnol. 12: 237-241. 

  30. Wei, Q. F., R. R. Mather, and A. F. Fotheringham. 2005. Oil removal from used sorbents using a biosurfactant. Bioresour. Technol. 96: 331-334. 

  31. Yuan, S. Y., L. C. Shiung, and B. V. Chang. 2002. Biodegrad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y inoculated microorganisms in soil. Bull. Environ. Contam. Toxicol. 69: 66-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