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에 영향을 미치는 봉의꼬리(Pteris multifida Poir.)와 쑥(Artemisia princeps Pamp.)의 혼합식재 비율
Effect of Mixed Planting Ratios of Pteris multifida Poir. and Artemisia princeps Pamp. on Phytoremediation of Heavy Metals Contaminated Soil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0 no.2, 2017년, pp.160 - 166  

권혁준 (국립생물자원관) ,  정선아 (충북대학교 축산.원예.식품공학부 원예학전공) ,  신소림 (국립생물자원관) ,  이철희 (충북대학교 축산.원예.식품공학부 원예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논토양에서 봉의꼬리(P. multifida)와 쑥(A. princeps)의 식재 비율을 1:0, 8:1, 6:1, 4:1로 달리하여 재배함으로써 토양 내 중금속별 효율적인 식물상 정화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중금속별 식물 건물중 1kg 당 축적량을 분석한 결과, 비소와 카드뮴의 경우에는 봉의꼬리 단일 식재구의 봉의꼬리 지상부에서 각 169.82와 $1.70mg{\cdot}kg^{-1}DW$로 가장 많았다. 납은 8:1 식재구의 봉의꼬리 지상부에서 $12.58mg{\cdot}kg^{-1}DW$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구리와 아연의 축적량은 8:1 식재구에서 재배한 쑥의 지상부에서 각 33.94, $61.78mg{\cdot}kg^{-1}DW$로 가장 많았다. 단위 면적당($1m^2$) 토양에서 수확한 식물의 각 중금속별총흡수량은 중금속의 종류와 관계없이 쑥의 생산량이 가장 많았던 봉의꼬리와 쑥 4:1 식재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efficient phytoremediation model in the paddy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by cultivating Pteris multifida and Artemisia princeps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1:0, 8:1, 6:1, 4:1).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heavy metal accumulation of each pla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논토양에서 봉의꼬리(P. multifida)와 쑥(A. princeps)의 식재 비율을 1:0, 8:1, 6:1, 4:1로 달리하여 재배함으로써 토양 내 중금속별 효율적인 식물상 정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중금속별 식물 건물중 1㎏ 당 축적량을 분석한 결과, 비소와 카드뮴의 경우에는 봉의꼬리 단일 식재구의 봉의꼬리 지상부에서 각 169.
  • 이에, 본 연구는 중금속 축적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봉의 꼬리와 쑥의 혼합비율에 따른 생육 특성 및 중금속 축적능을 분석하여 토양 정화에 효과적인 식재 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토양의 중금속 정화가 시급한 곳으로 알려진 J 제련소 인근 논토양의 효과적인 중금속 정화를 위한 식물상 정화기법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중금속 축적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봉의 꼬리와 쑥의 혼합비율에 따른 생육 특성 및 중금속 축적능을 분석하여 토양 정화에 효과적인 식재 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토양의 중금속 정화가 시급한 곳으로 알려진 J 제련소 인근 논토양의 효과적인 중금속 정화를 위한 식물상 정화기법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봉의꼬리란 무엇인가? 봉의꼬리(Pteris multifida Poir.)는 국내에 자생하는 상록성 양치식물로 발암물질로 알려진 비소에 대한 축적능이 매우 우수하고(Du et al., 2005; Ju, 2011; Wang et al.
봉의꼬리의 효능은? 봉의꼬리(Pteris multifida Poir.)는 국내에 자생하는 상록성 양치식물로 발암물질로 알려진 비소에 대한 축적능이 매우 우수하고(Du et al., 2005; Ju, 2011; Wang et al., 2006, 2007; Wei et al., 2007), 다양한 비소 오염원과 농도에서 식물상 정화기법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종으로 알려진 자생식물이다(Han et al., 2014; Kwon et al.
쑥이 축적할 수 있는 중금속 종류에는 어떤 게 있는가? ) 은 번식력이 강한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초장이 60∼120㎝ 정도이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군생하여 토양의 배수성과 통기성을 향상시킨다(Lee, 1975). 또한, 카드뮴 및 아연 등의 중금속 축적능이 우수하며(Kim et al., 1999), Co, Sc, Mo, Pb, Cu 등의 축적도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다(Song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ker, A.J.M. and R.R. Brooks. 1989. Terrestrial higher plants which hyperaccumulate metallic elements- a review of their distribution, ecology and phytochemistry. Biorecovery 1:81-126. 

  2. Brown, S.L., R.L. Chaney, J.S. Angle and A.J.M. Baker. 1994. Phytoremediation potential of Thlaspi caerulescens and bladder campion for zinc and cadmium contaminated soil. J. Environ. Qual. 23:1151-1157. 

  3. Choi, M.K. and M.H. Chiang. 2003.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and heavy metal accumulation of Artemisia princeps and Helianthus annuus in the abandoned zinc mine area for phytoremediation. Korean J. Hort. Sci. Technol. 21:451-456 (in Korean). 

  4. Choi, M.K., M.H. Chiang. Y.H. Cho, S.G. Lee and M.H. Chiang. 2002. Ameliorating effects of soil conditioners on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in abandoned zinc mine area.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5(2):25-27 (in Korean). 

  5. Cui, Y.J., Y.G. Zhu, R.H. Zhai, D.Y. Chen, Y.Z. Huang, Y. Qiu and J.Z. Liang. 2004. Transfer of metals from soil to vegetables in an area near a smelter in Nanning, China. Environ. Int. 30:1-18. 

  6. Du, W.B., Z.A. Li, B. Zou and S.L. Peng. 2005. Pteris multifida Poir., a new arsenic hyperaccumulator: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Int. J. Environ. Pollut. 23:388-396. 

  7. Han, J.H., H.J. Kwon and C.H. Lee. 2014. Effect of arsenic types in soil on growth and arsenic accumulation of Pteris multifida. Korean J. Plant Res. 27:344-353 (in Korean). 

  8. Jeong, S.K., T.S. Kim and H.S. Moon. 2010.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uptake by plants: based on plant species, types of heavy metals, and initial metal concentration in soil. J. Soil Groundwater Environ. 15(3):61-68 (in Korean). 

  9. Ju, Y.K. 2011. Selection of plants for 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Department of Horticulture, M.S. Thesis, Chungbuk Nat'l. Univ., Korea (in Korean). 

  10. Jung K.C., B.J. Kim and S.G. Han. 1993. Survey on heavy metals contents in native plant near old zinc-mining sites. Korean J. Environ. Agric. 12:105-111 (in Korean). 

  11. Jung, G.B., W.I. Kim. J.S. Lee and K.M. Kim. 2002. 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ion with heavy metal by long-term cultivation. Korean J. Environ. Agric. 21:31-37 (in Korean). 

  12. Jung, M.C., J.S. Ahn and H.T. Chon. 2001.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sequential extraction of trace elements from mine wastes around various metalliferous mines in Korea. Geosystem. Eng. 4:50-60. 

  13. Kim, J.G. and S.H. Lee, 1999. Phytoremediation. Korean J. Environ. Agric. 29:58-88 (in Korean). 

  14. Kim, J.G., S.K. Lim, S.H. Lee, Y.M. Yoon, C.H. Lee and C.Y. Jeong. 1999. Evaluation of heavy metal pollution and plant survey around inactive and abandoned mining areas for phyto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Korean J. Environ. Agric. 18:28-34 (in Korean). 

  15. Kim, S.H. 2002. Effects of manure compost and sulfur treatment on heavy metal uptake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n mining area soil. Department of Agriculture, M.S. Thesis, Korea Univ., Korea (in Korean). 

  16. Kor. Ministry Environ. 2009. Official test method enac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17. Krishnaraj, S., M.A. Dixon and P.K. Saxena. 2000. Scented geraniums: a model system for phytoremediation. Korean J. Plant Tiss. Cult. 27: 325-337. 

  18. Kumino, T., K. Saeki, K. Nagaoka, H. Oyaizu and S. Matsumoto. 2001. Characterization of copper-resistant bacterial community in rhizosphere of highly copper-contaminated soil. Eur. J. Soil Biol. 37:95-102. 

  19. Kwon, H.J., J.S. Cho and C.H. Lee. 2013. Effect of shading treatment on arsenic phytoremadiation using Pteris multifida in paddy soil. Korean J. Plant Res. 26:68-74 (in Korean). 

  20. Kwon, H.J., J.S. Cho and C.H. Lee. 2014a. Effect of sulfur powder and citric acid on arsenic phytoremediation using Pteris multifida in forest soil. J. Korean Environ. Res. Tech. 17:1-12 (in Korean). 

  21. Kwon, H.J., J.S. Cho and C.H. Lee. 2014b. Screening for heavy metals accumulation ability of twelve Pteridophyta species at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J. Korean Soc. People Plant Environ. 17:203-210 (in Korean). 

  22. Kwon, H.J., J.S. Cho and C.H. Lee. 2015. Effect of arsenic concentrations in soil on growth and arsenic accumulation of Pteris multifida. J. Korean Soc. People Plant Environ. 18:273-280 (in Korean). 

  23. Lee, S.J. 1975.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lk medicine. Korean J. Raw Med. 6:75 (in Korean). 

  24. Lee. B.K., I.H. Koh and H.A. Kim. 2005. The partitioning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soils of Ulsan by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s. Korean Soc. Environ. Eng. 27:25-35 (in Korean). 

  25. Marks, P.J., W.J. Wujcik and A.F. Loncar. 1994. Remediation technologies screening matrix and reference guide (2nd Edition). DOD Environmental Technology Transfer Committee, USA. p. 611. 

  26. Muller, H.W., F. Oort, B. Gelie and M. Balabane. 2000. Strategies of heavy metal uptake by three plant species growing near a metal smelter. Environ. Pollut. 109:231-238. 

  27. Oh, W.K. 2006. A feasibility study on Pteris multifida Pior. for the phytoremediation of arsenic contaminated mine soi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M.S. Thesis, Seoul Univ., Korea. 

  28. Song, S.H., Y.R. Kang and I.C. Kim. 2005.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the floras derived from granite and coal bearing shale areas in Keumsan. Korean J. Plant Res. 18:251-256 (in Korean). 

  29. Suh, J.T., D.L. Yoo, H.S. Lee, C.W. Nam and S.J. Kim. 2006. Effects of culture soil combinations on growth of Pteris multifida, Cyrtomium falcatum and Cheilanthes argentea. Korean J. Plant Res. 19:517-520 (in Korean). 

  30. Suh, J.T., D.L. Yoo, H.S. Lee, C.W. Nam and S.J. Kim. 2006a. Effects of shading degree on the growth of Pteridophyte on rain-shelter. Korean J. Interior Landscape 8(2):23-27 (in Korean). 

  31. Wang, H.B., M.H. Wong, C.Y. Lan, A.J.M. Baker, Y.R. Qin, W.S. Shu, G.Z. Chen and Z.H. Ye. 2007. Uptake and accumulation of arsenic by 11 Pteris taxa from Southern China. Environ. Pollut. 145:225-233. 

  32. Wang, H.B., M.H. Wong, C.Y. Lan, A.J.M. Baker, Y.R. Qin, W.S. Shu, G.Z. Chen, Z.H. Ye, W.S. Shu, W.C. Li, M.H. Wong and C.Y. Lan. 2006. Arsenic uptake and accumulation in fern species growing at arsenic-contaminated sites of Southern China: field surveys. Int. J. Phytoremediation 8:1-11. 

  33. Watanabe, M.E. 1997. Phytoremediation on the brink of commercialization. Environ. Sci. Technol. 31:182-186. 

  34. Wei, C.Y., C. Wang, X. Sun and W.Y. Wang. 2007. Arsenic accumulation by ferns: a field survey in Southern China. Environ. Geochem. Health 29:169-177. 

  35. Yeo, S.J. and S.J. Kim. 1997. Heavy metal speciation in soil from the Janghang smelter area. J. Miner. Soc. Korean 10:139-1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