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과 밭 토양의 메탄생성과 메탄생성세균의 군집 비교
A Comparison of the Methane Production and the Community Structure for Methanogens in Rice Paddy and Dry Field Farming Soil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6 no.4, 2010년, pp.319 - 325  

김묘선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주환 (경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경량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름과 가을의 논과 밭 토양의 토양성분과 메탄 생성, 메탄 생성세균의 분포, 그리고 메탄생성세균의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토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계절에 따라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메탄생성세균의 분포조사에서 밭 토양보다 유기농법과 무농약농법을 사용하는 논 토양에 메탄생성세균이 더 많이 존재하였고, 수소와 포름산을 이용하는 메탄생성세균에 비해 아세트산을 이용하는 메탄생성세균 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메탄생성 실험에서 아세트산을 첨가한 경우 배양 2주까지 메탄생성이 증가되었고, 포름산과 수소를 첨가한 경우 배양 7주까지 메탄생성 양이 증가되었다. mcrA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학적 분석에서 논에는 다양한 메탄 생성세균의 cluster가 분포하는 반면, 밭에는 일부 cluster에 집중되어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il compositions, methane production, the number of methanogens, and the community structure of methanogens in rice paddy soils and dry field farming soils in the summer and autumn seas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oil compositions, any regul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은 친환경 농법으로 인정받은 유기농법과 무농약 농법, 그리고 농약을 사용하는 관행농법의 토양과 야채와 채소를 재배하는 밭과 비닐하우스의 토양 등 총 5종류의 토양을 작물의 성장이 가장 왕성한 여름과 추수후인 가을에 채취하여, 이들 토양에 존재하는 메탄 생성세균의 수를 MPN (most probable number) 방법으로 확인하고, 각 토양에서 발생하는 메탄 생성량을 측정하여 농법에 따른 메탄생성세균의 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 이들 토양에서 total DNA를 추출하고 메탄생성세균 특유의 조효소인 methyl coenzyme M reductase alpha- subunit (mcrA)로(26) 토양 내 메탄생성세균의 군집 구조를 비교하여 추후 농법에 따른 토양 내 미생물 지표로 메탄생성세균이 활용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은 친환경 농법으로 인정받은 유기농법과 무농약 농법, 그리고 농약을 사용하는 관행농법의 토양과 야채와 채소를 재배하는 밭과 비닐하우스의 토양 등 총 5종류의 토양을 작물의 성장이 가장 왕성한 여름과 추수후인 가을에 채취하여, 이들 토양에 존재하는 메탄 생성세균의 수를 MPN (most probable number) 방법으로 확인하고, 각 토양에서 발생하는 메탄 생성량을 측정하여 농법에 따른 메탄생성세균의 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 이들 토양에서 total DNA를 추출하고 메탄생성세균 특유의 조효소인 methyl coenzyme M reductase alpha- subunit (mcrA)로(26) 토양 내 메탄생성세균의 군집 구조를 비교하여 추후 농법에 따른 토양 내 미생물 지표로 메탄생성세균이 활용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논과 밭 토양에서 메탄생성세균 분포조사 결과는? 토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계절에 따라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메탄생성세균의 분포조사에서 밭 토양보다 유기농법과 무농약농법을 사용하는 논 토양에 메탄생성세균이 더 많이 존재하였고, 수소와 포름산을 이용하는 메탄생성세균에 비해 아세트산을 이용하는 메탄생성세균 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메탄생성 실험에서 아세트산을 첨가한 경우 배양 2주까지 메탄생성이 증가되었고, 포름산과 수소를 첨가한 경우 배양 7주까지 메탄생성 양이 증가되었다.
논과 밭의 토양에 분포하는 미생물 중 상층부에 존재하는 미생물보다 심층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농법의 미생물 지표에 더 적합할 것이라 생각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논과 밭의 토양에 분포하는 미생물은 농약이나 비료가 주입될 경우 이들을 분해하거나 적응하여 생존한다. 따라서 토양의 상층부에 존재하는 호기성미생물은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미생물 군집의 변화가 심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토양의 심층부에 속하는 혐기성 토양의 미생물 군집은 주변 환경 변화와 관계없이 미생물 군집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어 농법에 따른 미생물학적 차이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것이라 생각된다.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중 혐기 호흡 과정을 결정짓는 요소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는 산소를 최종수용체로 사용하는 호기 호흡과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혐기 환경에서 산소 이외의 무기물을 최종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혐기 호흡, 그리고 유기물을 최종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발효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31). 이 중 혐기 호흡 과정은 보통 탈질과정, 철과 망간과 같은 금속이온의 환원, 황산염 환원과 메탄 생성 순으로 일어나며, 이때 어떤 과정이 일어날 것인지는 산화 환원전위, 전자공여체와 수용체의 종류, 미생물 종류, 온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25). 그러나 대부분의 물에 잠겨 있는 혐기 환경은 질산염과 금속이온의 농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이 감소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ulakh, M.S., J. Bodenbender, R. Wassmann, and H. Rennenberg. 2000. Methane transport capacity of rice plants. II. Variations among different rice cultivars and relationship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Nutr. Cycl. Agroecosyst. 58, 367-375. 

  2. Castro, H.F. 2003. Microbial ecology of anaerobic terminal carbon mineralization in Everglades soils, with emphasis on sulfate reducing prokaryotic assemblages. Ph. D. thesis.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orida, USA. 

  3. Castro, H., A. Ogram, and K.R. Reddy. 2004.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methanogenic assemblages in eutrophic and oligotrophic areas of the Florida Everglades. Appl. Environ. Microbiol. 70, 6559-6568. 

  4. Chauhan, A., A. Ogram, and K.R. Reddy. 2004. Syntrophicmethanogenic associations along a nutrient gradient in the Florida Everglades. Appl. Environ. Microbiol. 70, 3475-3484. 

  5. Escoffier, S., B. Ollivier, J. LeMer, J. Garcin, and P. Roger. 1998. Evidence and quantification of thiosulfate reducers unable to reduce sulfate in rice field soils. Eur. J. Soil Biol. 34, 69-74. 

  6. Goffredi, S.K., R. Wilpiszeski, R. Lee, and V.J. Orphan. 2008. Temporal evolution of methane cycling and phylogenetic diversity of archaea in sediments from a deep-sea whale-fall in Monterey Canyon, California. ISME J. 2, 204-220. 

  7. Harada, N., M. Nishiyama, and S. Matsumoto. 2001. Inhibition of methanogens increases photo-dependent nitrogenase activities in anoxic paddy soil amended with rice straw. FEMS Microbiol. Ecol. 35, 231-238. 

  8. Hook, S.E., K.S. Northwood, A.D.G. Wright, and B.W. McBride. 2009. Long-term monensin supplementation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quantity or diversity of methanogens in the rumen of the lactating dairy cow. Appl. Environ. Microbiol. 75, 374-380. 

  9. Kim, H.S., J.S. Cho, and K.R. Park. 2009. Merhane production and T-RFLP patterns of methanogenic bacteria dependent on agricultural methods. Kor. J. Microbiol. 45, 17-25. 

  10. Krakat, N., S. Schmidt, and P. Scherer. 2010. Mesophilic fermentation of renewable biomass: Does hydraulic retention time regulate methanogen diversity. Appl. Environ. Microbiol. 76, 6322-6326. 

  11. Lamendella, R., J.W. Santo Domingo, A.C. Yannarell, S. Ghosh, G. Di Giovanni, R.I. Mackie, and D.B. Oerther. 2009. Evaluation of swine-specific PCR assays used for fecal source tracking and analysis of molecular diversity of swine-specific "Bacteroidales" populations. Appl. Environ. Microbiol. 75, 5787-5796. 

  12. Lee, K.B. 1997. Influence of different rice varieties on emission of methane in soil and exudation of carbohydrates in rhizosphere. J. Kor. Soc. Soil Sci. Fert. 30, 257-264. 

  13. Lee, K.B. 1999. Methane emission among rice ecotypes in Korean paddy soil. Korean J. Environ. Agricul. 18, 1-5. 

  14. Li, J., M. Wang, H. Yao, and Y. Wang. 2002. New estimates of methane emissions from Chinese rice paddies. Nutr. Cycl. Agroecosyst. 64, 33-42. 

  15. Lu, W.F., W. Chen, B.W. Duan, W.M. Guo, R.S. Lantin, R. Wassmann, and H.U. Neue. 2000. Methane emissions and mitigation options in irrigated rice fields in southeast China. Nutr. Cycl. Agroecosyst. 58, 65-73. 

  16. Lueders, T., K.J. Chin, R. Conrad, and M. Friedrich. 2001. Molecular analysis of methyl-coenzyme M reductase alphasubunit (mcrA) genes in rice field soil and enrichment cultures reveal the methnogenic phenotype of a novel archaeal lineage. Environ. Microbiol. 3, 194-204. 

  17. Luton, P.E., J.M. Wayne, R.J. Sharp, and P.W. Riley. 2002. The mcrA gene as an alternative to 16S rRNA in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methanogen populations in landfill. Microbiology 148, 3521-3530. 

  18. Mitra, A.P., P.K. Gupta, and C. Sharma. 2002. Refinement in methodologies for Methane budget estimation from Rice paddies. Nutr. Cycl. Agroecosyst. 64, 147-155. 

  19. Nakagawa, F., N. Yoshida, A. Sugimoto, E. Wada, T. Yoshioka, S. Ueda, and P. Vijarnsorn. 2002. Stable isotope and radiocarbon compositions of methane emitted from tropical rice paddies and swamps in Southern Thailand. Biogeochemistry 61, 1-19. 

  20. Oremland, R.S. and D.G. Capone. 1988. Use of "specific inhibitors" in biogeochemistry and microbial ecology. Adv. Microbial Ecol. 10, 285-383. 

  21. Orphan, V.J., L.L. Jahnke, T. Embaye, K.A. Turk, A. Pernthaler, R.E. Summons, and D.J. Des Marais. 2008. Characteriz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ethanogens and methanogenic biosignatures in hypersaline microbial mats of Baja California. Geobiology 6, 376-393. 

  22. Pei, C.X., S.Y. Mao, Y.F. Cheng, and W.Y. Zhu. 2010. Diversity, abundance and novel 16S rRNA gene sequences of methanogens in rumen liquid, solid and epithelium fractions of Jinnan cattle. Animal 4, 20-29. 

  23. Shin, Y.K. and S.H. Yun. 2000. Varietal differences in methane emission from Korean rice cultivars. Nutr. Cycl. Agroecosyst. 58, 315-319. 

  24. Steinberg, L.M. and J.M. Regan. 2008. Phylogenetic comparison of the methanogenic communities from an acidic, oligotrophic fen and an anaerobic digester treating municipal wastewater sludge. Appl. Environ. Microbiol. 74, 6663-6671. 

  25. Swift, M.J. 1982. Microbial succession during the decay of organic matter. In R.G. Burns and J.H. Slater (eds.) Experimental microbial ecology, pp. 164-177. Blackwell, Oxford. 

  26. Thauer, R.K. 1998. Biochemistry of methanogenesis: a tribute to Marjory Stephenson. Microbiology-UK. 144, 2377-2406. 

  27. Touzel, J.P. and G. Albagnac. 198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thanococcus mazei strani $MC_{3}$ . FEMS Microbiol. Lett. 16, 241-245. 

  28. Wang, Z.Y., Y.C. Xu, Z. Li, Y.X. Guo, R. Wassmann, H.U. Neue, R.S. Lantin, L.V. Buendia, Y.P. Ding, and Z.Z. Wang. 2000. A four-year record of methane emissions from irrigated rice fields in the Beijing region of China. Nutr. Cycl. Agroecosyst. 58, 55-63. 

  29. Ward, D.M. and M.R. Winfrey. 1985. Interactions between methanogenic and sulfate reducing bacteria in sediments, pp. 141-179. In H.W. Jannasch and P.J. Williams (eds.), Advances in Aquatic Microbiol. Academic Press, London, UK. 

  30. Wassmann, R. and M.S. Aulakh. 2000. The role of rice plants in regulating mechanisms of methane missions. Biol. Fertil. Soils 31, 20-29. 

  31. Wind, T. and R. Conrad. 1997. Localization of sulfate reduction in planted and unplanted rice field soil. Biogeochem. 37, 253-2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